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05 10:42:03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질문] 한국에서 주식투자자들 중에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많나요?
국장 미장 닛케이 다 안가리고요

저는 빚내서 주식해본적 한번도 없고 앞으로도 절대 그러지 않을 생각입니다만

빚내서 주식한다는건 미장에서 티큐 속슬에 전재산 몰빵하다 요즘같은 장에 왕창 날려먹는것처럼 위험해보이는데

한국 내 주식투자자들 한정으로 그렇게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유의미하게 많나요?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계신다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래쉬
25/04/05 10:55
수정 아이콘
일단 저는 하는 중입니다 (주변에도 대부분 그러시고요)
저는 레버리지는 안합니다
25/04/05 1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ews.nate.com/view/20190106n01249?mid=n1101

옛날 기사긴 하지만 참고해보시지요. 지금은 훨씬 더 많아졌을 것 같네요.

그리고 저건 양지(?)에서 통계에 잡히는 숫자일 뿐, 음지에서 통계에 안 잡히는 숫자는 파악이 불가능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예컨대 예전에 저의 친척들 중에 한 분이 급하게 돈 들어갈 일이 터졌다면서 저희 아버지로부터 큰돈을 빌려갔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주식하시다 날린 적이 있었죠.

증권사에서 고객들 예수금 출처를 일일이 묻지 않으니까요.
나그네큰꺅도요
25/04/05 11:08
수정 아이콘
일단 주식담보대출을 쓰든가, 신용대출을 받아서 그걸 다이렉트로 주식에 꽂는 경우만 생각하면 요새 많이 늘었다 해도 과반이 넘거나 하진 않을거고요. 하지만 총 포트폴리오에 대출이 남아있는데 주식 현물도 보유하고 있다면 결국 빚으로 주식 산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유의미하게 주식 투자하는 사람중에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 드물겁니다.
덴드로븀
25/04/05 11: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05313?sid=101
[빚투하던 2030은 고금리 맞고 퇴장…그 자리엔 간 커진 5060] 2023.10.2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66882?sid=101
[50세 이상 중장년층 주식 빚투, 2년새 18% 늘어] 2024.10.29.
8월 말 전체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17조8829억원으로 같은 기간 8.3%(1조3787억원)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50세 이상 투자자의 빚투 증가세가 강한 것이다.
한편 20∼39세 투자자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022년 2조3772억원에서 올해 8월 말 2조1614억원으로 9% 감소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30327?sid=101
[거래대금·빚투 회복中…돌아오고 있는 서학개미들] 2025.03.07.
일명 '빚투'로 불리는 신용거래융자잔고 또한 늘어나고 있다.
신용거래융자잔고는 지난 5일 기준 18조3537억원으로 연초(15조6823억원) 대비 3조원 수준 증가했다.
위탁매매미수금은 8926억원에서 9368억원으로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잔고는 그냥 코스피/코스닥 추세에 따라 움직이는 느낌이고, 전체 주식 참여자 중 비율은 대다수라고 보긴 힘듭니다.
우리나라 주식 활동계좌수가 몇백만 단위고 빚투하다 담보 부족이 뜨는 계좌가 만개 단위 정도로 움직이는 느낌이네요
25/04/05 11:17
수정 아이콘
있어요. 주변에서도 봤구요. 얼마나 많은진 모르겠네요.
회색사과
25/04/05 11:23
수정 아이콘
꽤 있죠. 

그리고 대출로 주식하는게 레버리지하는 거랑 비슷해보이지만 
진동하는 횡보장에서 녹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25/04/05 11:50
수정 아이콘
부동산도 대부분 레버리지인것처럼 주식도 많습니다.(신용대출 포함)
이민들레
25/04/05 15:20
수정 아이콘
대출금이 있는 상황에서 보유한 주식이 있다면 대출받아 투자하는거나 마찬가지인 셈이죠.
25/04/05 19:43
수정 아이콘
주식 커뮤가면 신용미수 몰빵하는 사람이 90프로 이상이고 안 그런 사람은 찾을 수 없습니다.

현금으로 하다가 원금손실이 너무커지니 물타고 싶은데 돈이 없으니 신용써서 물타고 다시 주식이 내리면 신용은 담보율 유지 안하면 반대매매가 나가니 카드론이나 집담보 대출 땡겨서 여기서 또 빚을 내고 버티디가 또 한번 주식이 내려 담보율이 부족하면 이젠 스탁론으로 넘어갔다가 스탁론 쓰고도 또 주식이 내려 이미 원금이 아니라 가진 재산 모두다 날라가고 수억원의 빚쟁이가 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주식세계는 본인 재산이 1000만원만 있어도 1억 넘게 빌려주니 뉴스에 나오자나요...

https://www.fnnews.com/news/202504011550341839

한국증시 반대매매 100억원 이상 속출이란 말이 전부 빌려서 주식한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본인돈으로 하는 이상 상장폐지가 아니고선 아무리 주식이 내려도 반대매매 당하는 일은 없습니다.
신비주의자
25/04/05 21:32
수정 아이콘
증권사에서 신용같은거 하는건 당연히 위험한데, 낮은 금리로 대출이 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수익률이 높으니까요. 장투라면 어제처럼 몇번 더 빠진다고 해도 여전히 이득일수도 있고요. 비율이야 정확히 알 방법은 없겠지만 어느정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마술사
25/04/06 20:52
수정 아이콘
그 기준이면 홍라희 이부진 이서현도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281 [질문] 노래방 매너 관련 [18] 와구와구하지망1925 25/04/09 1925
180280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맥주귀신949 25/04/09 949
180279 [질문] 도쿄 2박3일 여행 일정 봐주실 수 있을까요? [23] 퍼블레인904 25/04/09 904
180278 [질문] 항우울제마다 부작용이나 효과가 크게 다를까요? [11] 깃털달린뱀2408 25/04/08 2408
180277 [질문] 인테리어 비용 지급 관련 문의 [14] 모드릿2589 25/04/08 2589
180276 [질문] 통영,거제도, 진해 쪽에서 1박할 예정인데 가볼만한 명소나 맛집 있을까요? [12] 보로미어2384 25/04/08 2384
180275 [질문] 딸내미가 구글계정을 탈취당했습니다. [6] 미네랄은행4169 25/04/08 4169
180274 [질문] 버스 시간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질문 [5] 스핔스핔2521 25/04/08 2521
180273 [질문] 자녀 양육에 있어서 학군의 중요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38] 로피탈2762 25/04/08 2762
180272 [질문] 포켓몬 1세대,2세대 리메이크를 기다리는건 미련한짓일까요? [13] 나를찾아서1446 25/04/08 1446
180271 [질문] 헤드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슈퍼디럭스피자1169 25/04/08 1169
180270 [질문] 이메일 보이스피싱, 바이러스를 챗지피티로 대처할 수 있을까요. [2] APONO720 25/04/08 720
180269 [질문] 저렴하고도 흔들리지 않는 책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일신1332 25/04/08 1332
180267 [질문] 프리징과 0x800f081f 오류 [7] 공룡1668 25/04/07 1668
180266 [질문] 무소음 탁상용 선풍기 추천부탁드립니다. [6] kogang20011691 25/04/07 1691
180265 [질문] 5월2일 임시공휴일은 가망이 없을까요? [22] 로즈마리4773 25/04/07 4773
180264 [질문] 유니티 구독 결제가 원래 취소를 이렇게 하나요? [1] Haru2199 25/04/07 2199
180263 [질문] 여자가 멜 노트북 백팩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포의부하2231 25/04/07 2231
180262 [질문] 책 제목 문의 드립니다. [3] 김꼬마곰돌고양1616 25/04/07 1616
180261 [질문] 7월에 단통법이 폐지되면 휴대폰 가격이 싸질까요? [5] 큐알론2428 25/04/07 2428
180260 [질문] 4월 넷째주 월요일이 28일이 맞나요? [6] 노래하는몽상가1683 25/04/07 1683
180259 [질문] 연말정산 혜택이 있다고해서 연금저축과 IRP를 하려는데요.. [16] 라리1950 25/04/07 1950
180258 [질문] 국내에는 롤 선수들 평점 사이트가 없나요? [3] FlutterUser1132 25/04/07 11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