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07 20:27:01
Name nexon
Subject [질문] 금으로 치아 치료(?)하는 게 무난하고 좋은지요...?


안녕하세요..

제가 치아 일부가 깨져서 치과에 갔더니 그 부분을 금으로 때우는 게 좋겠다고 하시더라구요 @@

원래 금으로 크라운 처리(?)를 하는 식으로 치아 치료를 하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혹시 예전 충치 치료후 아말감으로 메우던 것을 레진으로 메우는 식으로 달라진 것처럼

치아 일부를 메우는 것에 금 외에 다른 재료를 쓰는 경우는 없는지요...?

아니면 더 좋은 재료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그냥 금이 무난한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꿈꾸는사나이
25/03/07 20:39
수정 아이콘
치기공 하는 친구가 있는데 저도 똑같이 물어봤더니 금이 가장 좋다고 했습니다.
스터너
25/03/07 21:26
수정 아이콘
금이 제일 좋다고는 하지만 미관상 안좋잖아요. 진짜 진짜 안보이는곳이 아니라면 치아색과 같은걸로 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25/03/07 21:35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도 기능(건강상, 내구력, 수명 등)상 금이 킹왕짱 인데
미관상 문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거 라고 들었습니다
25/03/07 21:57
수정 아이콘
제가 20년전에 충치치료 할때 금값이 지금처럼 비싸지가 않아서 금으로 때우는게 치아색상 나는 재료로 때우는 것보다 쌌었어요.
그때 치과선생님이 금으로 때우면 거의 반영구적으로 쓸수있다고 금을 강추하셨었는데 제가 미관상의 이유로 더 비싸게 주고 치아색 나는 재료로 떼우고 요즘 약간 후회하고 있습니다.
25/03/07 22:14
수정 아이콘
금이 몹시 좋은재료이기는하나 이미 금값이 지나치게 올랐고 앞으로는 더 오를것이기에 치과재료로서 금은 이제 끝났다고보셔도 됩니다.
이미 치과들 금 안쓰는곳 많아요

지금 치과 재료들은 대부분 치아색상나는 세라믹이나 레진계열의 재료들이 주류가 되어갑니다.
25/03/07 22:25
수정 아이콘
@.@ 금이 좋은 재료라는 것을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25/03/08 09:39
수정 아이콘
금을 쓰는게 좋겠더라구요. 제가 어금니쪽인가? 하여튼 그쪽을 레진인가 도자기였나? 그런걸로 했는데..이게 깨졌더라구요..뭔가 딱딱한거 씹다가 그런거 같긴한데.....금이라면 이러진 않았을거니..
25/03/08 10:15
수정 아이콘
금인레이는 보철물 자체로서 적합도나 내구력면에서 우수하나 하방에 crack을 유발합니다. 최근 트렌드는 나이 많으신 분들이나 대구치에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어요.

https://m.blog.naver.com/ychaeum/222067655352 (본인과 전혀 관련없는 블로그입니다.)
25/03/09 00: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헛 이런 이슈도 있군요; 금으로 하려고 했는데 또 고민이 되네요;;;
망고베리
25/03/08 11:35
수정 아이콘
레진은 5년만에 깨졌는데 금은 20년 넘게 쓰고 있습니다.
스트렙실
25/03/08 12:54
수정 아이콘
커버해야 하는 부위가 너무 넓고 깊은 경우 금은 시릴 수 있습니다. 알고 싶지 않았어요.. 다른 치과갔더니 이 자리는 금으로 안 하는 편이 좋았을텐데 하고 안타까워하셨습니다.
앵글링x스키밍
25/03/10 23:43
수정 아이콘
아예 씌우는 크라운 치료에서는 금이 금색이라는 것만 제외하면 가장 만능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2025년 현재 금이 너무 비싸져서 기공료가 거진 20-30만원 이상 차이난다는게 가장 큰 문제겠어요.

다만 내부를 떼우는 류의 '인레이' 치료에서는 2025년 현재 금은 크게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1) 인레이 주변 자연치질의 균열 발생 가능성이, 레진 계열로 수복한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작은 크기의 수복이라면 인레이의 형태에 맞춰서 본인 치아 삭제량이 과해집니다.
3) 크고 깊은 수복에서는 오히려 과하게 삭제한 곳이 전부 금으로 들어가면 위의 스트렙실님 케이스 처럼 오히려 열전도가 잘되서 불편할 수도 있긴 하겠죠.
+ 보통 그래서 깊은 부위에는 내부에 이장재를 깔고 금니를 올리게 됩니다. 금니로 떼우셨다고 오롯이 전부가 금니는 아닐수 있단 이야기이기도 합니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470 [질문] 셀프 법인 해산 청산 질문 BISANG2195 25/04/29 2195
180469 [질문] sk사태 통신사만 바꿔도 괜찮을까요? [9] 튤립닭발2389 25/04/29 2389
180468 [질문] 이런 기구를 찾습니다 [4] 늅늅이1721 25/04/29 1721
180467 [질문] FRP PE 재질에 알맞는 본드/프라이머/테이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DogSound-_-*680 25/04/29 680
180466 [질문] 아빠가 스미싱 문자를 받으신거 같아요. [8] 콩순이1529 25/04/29 1529
180465 [질문] 노트북 대강 사려고 하는데 갤럭시북/LG그램 어떤거 사면 될까요? [4] 김유라1336 25/04/29 1336
180464 [질문] 건조기 선반을 만들려고 하는데요 [2] 쿠라1306 25/04/29 1306
180463 [질문] 게임 소울라이크 장르에 대한 질문 [6] 샤르미에티미1411 25/04/29 1411
180462 [질문] 제가 쓰던 번호를 다른 사람이 갖게되면 카톡은 어떻게 되나요? [4] 주여름3041 25/04/28 3041
180461 [질문] 스크린골프 관련 질문 [5] 無欲則剛2517 25/04/28 2517
180460 [질문] 카니발 하브 vs 가솔린 어떤걸 골라야할까요? [11] 총사령관3480 25/04/28 3480
180459 [질문] 노인 발목수술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2546 25/04/28 2546
180458 [질문] sk 해킹 대처방안이 궁금합니다. [4] APONO3400 25/04/28 3400
180457 [질문] 지금 skt로 바꾸는 것이 안전할까요? [5] 키스 리차드5238 25/04/28 5238
180456 [질문] 33 원정대 설정 바보같은 질문 [8] LeNTE1942 25/04/28 1942
180455 [질문] (스포있음)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영화 결말 질문드립니다 [5] 1618 25/04/28 1618
180454 [질문] pc 견적 문의드립니다. [4] 어제내린비1993 25/04/27 1993
180453 [질문] pcx125년식 카울교체 질문입니다 [4] 트리거2686 25/04/27 2686
180452 [질문]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직접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16] 쿼터파운더치즈2927 25/04/27 2927
180451 [질문] 한덕수 총리 스펙 질문입니다 [18] 고진감래4052 25/04/27 4052
180450 [질문] 성인 이후 성장판을 열 수 있을까요? [4] 앵글로색슨족2886 25/04/27 2886
180449 [질문] IF 질문 드립니다.(축구 관련 뻘 질문) [3] 원스1377 25/04/27 1377
180448 [질문] 홀덤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9] 라리1682 25/04/27 16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