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28 08:34:13
Name 수지짜응
Subject [질문] 해외 정치인들이나 재벌들이 암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나요?
외국 조사를 접할 경우가 많지 않으니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체감상
외국 상류층이나 국내도 재벌가에서는
5~60대에 암으로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현저히 낮은것같은데요..

이게 맞는걸지 맞다면 이유가 뭘지
주치의가 쉴세없이 관리해주니 앵간한 병은 조기에 찾는건지, 2~3기 암도 관리 꾸준히 돈 퍼부으면 유지정도는 잘 되는건지..

자게도 그렇고 주변에도 하나 둘 암 선고 받는 분들이 계시다보니 답답한 마음에 질문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소익선
25/02/28 08:37
수정 아이콘
예전에 본 기사인데
재벌들이 폐암에 잘 걸려 죽는다고 합니다.
재벌들이 특별하여서 폐암에 잘 걸리는게 아니라 다른 암들이 건강검진 등으로 조기에 판별하여 치유하지만
폐암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폐암으로 많이 죽는다고 합니다.
덴드로븀
25/02/28 09:0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암 조발생률>
35-64세 10만명당 538명
65세 이상 10만명당 1,552명

주변도르 느낌 때문인거지 국민전체로 보면 사실 암이 아무나 막걸리는 그리 흔한 병이라고 보긴 힘듭니다.

그리거 당연히 재벌가면 건강검진에 몇십 몇백 쓰는게 어려운것도 아니니 초기발견이나 치료도 빠르게 가능할테구요.
몽키매직
25/02/28 12:43
수정 아이콘
조발생률은 매해발생하는 숫자 개념이라서 예를 들어 65세 이상에서 85세까지로 계산하면 곱하기 20을 해야되는 그런 숫자입니다.
사망자 기준으로 사망원인 분류하면 요즘은 고령자 사망 중 암이 원인인 사망이 1/3 이 넘긴 합니다.
봉그리
25/02/28 09:34
수정 아이콘
좋은 관찰력이십니다. 그래서 보건 연구자님들께서 미리 연구를 해놓으셨습니다... 재벌은 엄격한 정의가 어려우므로 잘 모르겠지만요.
보통 보건연구에서는 소득수준을 건보료 구간으로 나눕니다. 건보료를 많이 내는 계층일수록 암 생존률이 유의하게 낮은가?는 이미 많이 연구가 되는 주제입니다. 자료 뽑기도 쉽고..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51811 한글자료라 보기는 쉬우시겠지만 유료라서 읽어보지는 않았습니다.
https://publichealth.jmir.org/2024/1/e55011 (한국자료, 영문) 의료급여 계층만 암생존률이 유의하게 낮고 다른 계층은 비슷하다는 내용입니다.
수지짜응
25/02/28 11:20
수정 아이콘
사실 궁금한건 그냥 상위층이 아니고
아예 재벌이나 왕가, 귀족 수준의 암 발병 후 관리가 궁금한거라..
이런 정보는 왠지 다 비공개일 것 같아서요 ^^;
25/02/28 10:00
수정 아이콘
음 비서가 있는 사람이라면 정기검진 받게 챙길테니 조기진단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기다리다
25/02/28 12:19
수정 아이콘
한국 재벌은 김승연 회장 부인이 61세에 암으로 죽은게 최근사례고 해외까지 넓히면 유튜브 ceo가 50대에 폐암으로 죽었죠
25/03/01 15:45
수정 아이콘
스티브 잡스도 췌장암으로 죽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942 [질문] 기아차 순정네비, 안드로이드 오토 질문 [16] Right2365 25/03/06 2365
179941 [질문] 첫 자취 청소기 중고로 구매하려고 하는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호비브라운1802 25/03/06 1802
179940 [질문] 도쿄 여행 4인 가족 숙소 추천부탁드립니다 [9] 아이유디너쇼2109 25/03/06 2109
179939 [질문] 애플워치 셀룰러 - SKT 데이터 공유일 경우 다른 번호 사용 가능한지? [2] 서쪽으로가자2088 25/03/06 2088
179938 [질문] 근미래 우주배경 sf? 같은 만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카오루1364 25/03/06 1364
179936 [질문] 과거에는 남/녀로 나눠놓은 지지율 조사가 거의 없지 않았나요? [10] 수지짜응1674 25/03/06 1674
179935 [질문] 140cm 지디 vs 170cm 흔남 월수입 250 [28] 장규리2249 25/03/06 2249
179934 [질문] 인터넷 방송 보면서 무슨 게임 하시나요?(또는 뭐하시나요?) [14] 너T야?1615 25/03/06 1615
179933 [질문] 케이스티파이 온라인 주문 해보신 분 계신가요? [4] 주니뭐해1336 25/03/06 1336
179932 [질문] 아이 위치추적기 질문드립니다 [14] 쉬군2058 25/03/06 2058
179931 [질문] 아이 어린이집 등원도우미 써보신 분 계실까요? [7] 세인트2722 25/03/06 2722
179930 [질문] 3월말 4월초에 2주간 지낼만한 해외 여행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16] 풍월량2258 25/03/06 2258
179929 [질문] 단백뇨가 의심되서 병원에 가려고하는데요! [9] Medici2962 25/03/06 2962
179928 [질문] 백종원에 대한 인터넷 여론이 영향이 얼마나 있을까요? [65] 형리4753 25/03/05 4753
179927 [질문] 야채즙, 과일쥬스가 간/신장에 안 좋은지요..? [13] nexon3277 25/03/05 3277
179926 [질문] 전한길 선생님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21] 꿀행성3761 25/03/05 3761
179925 [질문] bmw 차량 배터리 교체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9] 싱싱싱싱2184 25/03/05 2184
179924 [질문] 경력직 면접에서 중요한 포인트 조언 부탁 드립니다. [6] Alfine1880 25/03/05 1880
179923 [질문] 30만원 안팍의 그래픽 카드 중 와우용으로 쓸만한 게 있을까요? [10] 파이어폭스1962 25/03/05 1962
179922 [질문] 넓고 얕은 인간관계 vs 좁고 깊은 인간관계 [21] 2283 25/03/05 2283
179921 [질문] 유투브 뮤직 쓰는 초등 자녀 폰에 가사 보이나요? [2] 뚱이1619 25/03/05 1619
179919 [질문] 갤럭시 5070 TI 두 제품 차이 질문 [2] 아침1882 25/03/05 1882
179917 [질문] 유료 생성형 AI(챗GPT 등) 추천부탁드립니다 [6] 페르마1645 25/03/05 16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