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6 16:54:37
Name SaiNT
Subject [질문] 각 나라별로 '1억'과 비슷한 개념이 얼마정도 될까요?
https://pgr21.co.kr/humor/511637
유게의 위 글을 보고 문득 생각이 났는데

물가는 올라도 한국 문화에서 1억이라는 것이 상징하는 무언가가 있잖아요?

통계적으로 어떤지는 몰라도, 급여소득자한테 '연봉 1억'이라는 것이
적어도 제가 사회 생활 한 시점부터 지금까지 심리적으로 고연봉의 상징으로 통용되고
스포츠에서도 연봉이나 계약금이 억대를 찍었느냐가 하나의 의미 있는 마일스톤으로 여겨지고요

각 나라 화폐마다 비슷한 개념이 있을테고 아무래도 1단위로 떨어지는 숫자가 상징성이 있을텐데,
숫자를 맞추다보면 우리처럼 연봉이 아니더라도 월급이나 주급 같은걸로 상징이 생길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 나라 문화든 아시는게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無欲則剛
25/02/06 1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은 1000만이 딱 맞는 개념입니다. 연봉 천만이면 뭐 자랑까지 아니지만 어디가서 부끄럽지는 않다 이런 느낌
중국은 글쎄말입니다. 베이징 상하이같은데서는 연봉 백만위안이 어떤 초엘리트의 상징같은걸로 나오는거 같던데 한국의 1억보다는 훨씬 더 높은 선이죠.
25/02/06 17:07
수정 아이콘
미국은 6 figure salary같은 개념이 있습니다.
슬래쉬
25/02/06 17:07
수정 아이콘
미국은 1 grand 이려나요?
엔지니어
25/02/06 17:07
수정 아이콘
달러를 쓰는 영미권 쪽에서도 한화 1억에 비슷한 가치인 10만불(물론 요즘 미국 달러는 1억 4~5천쯤 되지만...)을 의미있는 숫자로 보는 것 같습니다. 흔히 한국에서 억대 연봉이라고 부르는 것 같이 미국쪽에서도 6 figure salary라고 많이들 부르구요.

물론 한국에서 억대연봉의 비율(6.7%)과 미국에서 10만불 버는 사람의 비율(18%)은 3배 가까이 차이가 나서 한국만큼 희귀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6 figure 정도면 의미있는 숫자로 보는 것 같긴 합니다.
그말싫
25/02/06 17:08
수정 아이콘
미국에도 6 figure salary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한국서도 억대연봉이 예전 같은 임팩트는 아닌 것 처럼 6 figure도 그렇긴 한데 여전히 대충 6 figure 번다 하면 나름 고소득자의 기준이 되긴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02 [질문] 이자소득 종합소득세 관련 문의 [2] Right5822 25/02/12 5822
179701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13] INTJ5121 25/02/12 5121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4829 25/02/12 4829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3758 25/02/12 3758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4469 25/02/12 4469
179697 [질문] 첫차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10] 친절겸손미소3723 25/02/12 3723
179696 [질문] GD 콘서트 팬클럽 선예매 질문 [2] No Fear3486 25/02/12 3486
179695 [질문] 피지알러가 아닌 사람이 보는 피지알은 어떤 사이튼가요? [25] 윌슨 블레이드4301 25/02/12 4301
179694 [질문] NAS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4] 고요3266 25/02/12 3266
179693 [질문] 영외마트(px) 신상 양주 추천 [7] 로켓5914 25/02/12 5914
179692 [질문] 태블릿PC 추천부탁드립니다. [7] 마사루.3689 25/02/12 3689
179691 [질문] 오사카 덴덴타운에 엘든링 굿즈 있을까요? [5] 부딪힘주의3786 25/02/12 3786
179690 [질문]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6] 제노스브리드3382 25/02/12 3382
179689 [질문] 거실과 작은방에서 각각 와이파이 속도와 핑 지터 괜찮은지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6] Succession3739 25/02/12 3739
179688 [삭제예정] (문제시) 5만원 내기인데 투표 부탁드립니다 [50] 마르틴 에덴4791 25/02/12 4791
179687 [질문] 매매하려는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합법여부 관련 질문 [9] Mrs. GREEN APPLE3912 25/02/12 3912
179686 [질문] 집에 누수가 되면서 컴이 맛이 갔어요... [7] 웃어른공격3496 25/02/12 3496
179685 [질문] 애플 매직 트랙패드 윈도우 사용 관련 [2] 파란토마토3243 25/02/12 3243
179684 [질문] 현 상황에서 제일 합리적으로 구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는 뭘까요? [11] 바밥밥바3816 25/02/12 3816
179683 [질문]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성능은 좋은데 하루에 2번정도씩 냉동센서가 깜빡거리며 경고음이 납니다 [2] Succession3152 25/02/12 3152
179682 [질문] 몸에서 수분 흡수를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23] 회색사과3779 25/02/12 3779
179681 [질문] 유튜브 영상 캡쳐해서 올리는건 수작업인가요? [14] CoMbI COLa3744 25/02/12 3744
179680 [질문] 카페 음료 중 차tea는 왜 그리 비싼가요 [14] 새님4789 25/02/12 47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