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25 09:47:02
Name 파란토마토
Subject [질문] 등단의 개념이 궁금합니다!
보통 작가로 등단했다고 하면
신춘문예, 윤동주 문학상, 이상 문학상 같은 곳에서
상을 받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요, 이 외에도 등단이라고 하는개념이 따로 있나요?

여러가지로 찾아봐도 잘 나오지 않아 피지알에 여쭤봅니다

추가 질문도 있습니다!
윤동주 문학상도 종류가 여러 종류이던데,
아류? 가짜? 도 있는 걸까요?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주시는 분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센스
24/04/25 09:50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상을 받은 다음에 돈을 받으면 등단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상을 받은 다음에 돈을 내야 하면 뭐... 그런 것이지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4/04/25 09:51
수정 아이콘
이상문학상은 기성 문학인(소설)들이 대상일 걸요.
관심 있으시면 서점 가셔서 문예지들 살펴보시면 신인문학상 공모전 같은 게 출판사별로 있습니다.
24/04/25 10:13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문예지(출판사), 신문 등의 문학상 등에서 수상하는 경우를 등단이라고 합니다.
다만 윗 분 말씀처럼 소형 문예지나 문학상의 경우 소위 등단 장사라고 당선되면 등단 비용을 받아서 문제가 되고 있죠.
짐바르도
24/04/25 10:46
수정 아이콘
매우 흐릿합니다. 그래서 등단 장사도 많고... 등단의 급을 나누는 풍조도 있고요.
24/04/25 11:20
수정 아이콘
- 좁게는 중앙일간지의 신춘문예(중앙일보처럼 명칭이 좀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와 메이저 문예지의 신인상을 수상한 경우를 말합니다.
- 이 '좁음'이 필요한 이유는 듣도보도 못한 문예잡지에서 돈 내고 수상하거나, 심지어 문예잡지나 협회 같은 걸 거의 자기가 만들다시피해서 셀프수상해놓고 등단작가입네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자칭 시인 중에 그런 경우가 꽤 많았습니다. (장르는 다르지만 사진계에서도 그런 일이 흔했습니다.)
- 근거도 기준도 명확하지 않으니 당연히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부당한 급 나누기 자체도 문제고, 건실한 중소매체가 좋은 작품을 발굴해냈음에도 조명되지 않거나 하는 경우도 있고요. 다만 이제는 등단했답시고 엄청 쳐주는 것도 없는 시대라 딱히 문제로서 대두되지 않는 느낌이네요.
- 여담으로 제 주변의 마이너 매체 등단자들은 안 알아준다고 억울해하는 반응보다는 스스로도 '에이 내가 무슨 등단작가야 그냥 신인상 하나 받은 건데' 같은 식의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네요.
- 그리고 앞서 언급되었다시피 유명 문학상들은 기성작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고들어라
24/04/25 11:45
수정 아이콘
엉뚱한 이야기 일 수 있는데 최근 피아조아 작가의 '시간을 달리는 소설가' 에서 초반 부분이 이런 등단을 소재로 했습니다.
과거로 돌아온 주인공이 등단 안하고 베스트 셀러 작가가 되어 버리는 내용이죠.
왓두유민
24/04/25 15:26
수정 아이콘
왜 동탄으로 본 것일까요...
위원장
24/04/25 16:58
수정 아이콘
문예지가 너무 많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4/25 17:44
수정 아이콘
공인 자격증 딱지를 붙여주는 거라고 생각하면 무리 없습니다. 언론지나 문예지에서 이 사람은 실력이 있는 작가라고 도장 찍어주는, 일종의 스펙이라 보면 됩니다. 예전엔 전업 작가가 될려면 등단을 통하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했고, 루트가 다양해진 요즘에도 이런 등단이란 스펙이 있으면 어필하는데 편하니까요. 그래서 등단 장사 같은 것도 있는거고... 자격증 장사 처럼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980 [질문] 11명 탑승한 어선이면 톤수가 얼마나 될까요. [3] 아밀다3189 24/04/28 3189
175979 [질문] 문명5 테크트리 질문입니다 [7] 마제스티2649 24/04/28 2649
175978 [질문] 아이폰 3년 쓰면 다소 오래 쓰는 편인가요? [28] Garnett213598 24/04/28 3598
175977 [질문] 아르바이트를 하다 다쳤을때 어떻게 해야 되나요? [3] LA이글스2853 24/04/28 2853
175976 [질문] 갤럭시 폰 쓰고있는데 불편한게 있어요. [4] 라리2754 24/04/28 2754
175975 [질문] 코너킥 준비도중 수비팀이 파울을 하면 어떻게 되나요??? [4] 아카데미3063 24/04/28 3063
175974 [질문] 송파/강동/성남 근처 사진 찍을만한 장소 있을까요? [8] 니체2446 24/04/28 2446
175973 [질문] 임야 사서 개인 숲을 꾸민다면?? [2] 다크템플러4177 24/04/28 4177
175972 [질문] 혹시 댓글에서 엔터키 안눌리시는 분 있나요? [12] 라이징패스트볼3101 24/04/28 3101
175970 [질문] 블랙핑크 노래 찾습니다 [3] 월터화이트3338 24/04/27 3338
175968 [질문] 뉴징스 앨범 뽐뿌가와서 질문 [5] HolyH2O3023 24/04/27 3023
175967 [질문] 아버지 핸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유니꽃3681 24/04/27 3681
175966 [질문] 세면대 폽업 배관을 그라인더로 잘라야 하는데 [8] 블랙리스트3961 24/04/27 3961
175965 [질문] (요리)찌개에 들어가는 국거리용 소고기가 조리후 먹어보니 딱딱해서 질문드립니다. [13] 보로미어3251 24/04/27 3251
175964 [질문] 임차권 등기 관련 궁금한 점 [15] 3441 24/04/27 3441
175963 [삭제예정] 사기 의심 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8] 삭제됨3830 24/04/27 3830
175962 [질문] LOL) 원딜은 피지컬 딸리면 비추하는 라인인가요? [21] jip4952 24/04/26 4952
175961 [질문] 금투세는 일반적인 전국민 찬성률? 의견은 어떨까요? [20] LG의심장박용택3839 24/04/26 3839
175960 [질문]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께 물어보고 싶은 증상이 있습니다. [9] 독각3337 24/04/26 3337
175959 [질문] 시트커버형(?) 통풍시트 쓸만 할까요? [3] 친친나트2771 24/04/26 2771
175958 [질문] 맛있는 뼈치킨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미카3851 24/04/26 3851
175957 [질문] 서울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음식이 있을까요?(혼밥) [27] 사람되고싶다3525 24/04/26 3525
175956 [질문] 갤럭기 s8 빅스비 키 비활성화 하는법 없나요? [5] 제니2813 24/04/26 28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