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05 15:46:57
Name 스토리북
Subject [질문] 가족간 금전거래 (수정됨)
가족에게 4억 정도의 현금을 몇달간 빌려주려고 합니다.
2억은 이자 없이 빌려주더라도 법정이율로 1000만원 미만이므로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다고 듣기는 했는데,
그렇다면 4억을 6개월간 빌려주는 것 역시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을까요?
혹시 조언을 주실 수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4/04/05 15:50
수정 아이콘
잡으려고 작정하면 잡힙니다. 세무서의 의지에 달린 문제라 100% 안전한가 하면 아니오 가 답이고, 증여세 2중으로 물게 될 수도 있고 증여세 규모도 커서 리스크 감수하지 마십시오. 차용증 쓰시고 전체 금액에 대해서 법정 이자 4.6% 에 맞게 통장 이체 하십시오.
스토리북
24/04/05 15:52
수정 아이콘
2억 현금 1년 법정이자가 1000만원 이하라 법적으로 무이자가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질문은 4억 현금 6개월이면 여전히 법정이자가 1000만원 이하니 무이자가 가능한지 여쭤본 것입니다.
불법을 저질러도 되는지 여쭤본 것은 아닙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몽키매직
24/04/05 16:00
수정 아이콘
불법인 것은 아니고요. 세무서의 온도차에 따라서 잡으려면 잡는 경우가 많아서 법정 이자 1000만원 이내도 걸리는 경우가 없지 않습니다. 나는 작은 리스크는 감수하겠다 하시면 고 하시고 운이 나쁘면 걸릴 수도 있는거고요, 리스크 감수 안하겠다 하시면 법정 이자 맞춰서 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법정 이자가 부담 스러우신 거라면 차라리 통장으로 이자 받은 다음에 그걸 현금으로 뽑아서 도와주고 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세무조사로 잡겠다 작정하면 그냥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으로 일단 다 추징해버리고 소명은 알아서 하라 그러는 식으로 나오는데 환장합니다. 통장에 이자 거래가 있었다 없었다 차이만 해도 커요. 1000만원 이내라도 괜히 소액이라도 이자 명목으로 이체내역 남겨놓으라고 하는거 아닙니다.
스토리북
24/04/05 16:08
수정 아이콘
그럴 수도 있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43년신혼1년
24/04/05 16:08
수정 아이콘
법정 이자 기준이 실제로 지급할 이자가 아니라 1년 이자를 말하는거 아닌가요?
2억 현금 1년 법정이자가 1000 만원이면
4억 현금 1년 법정이자는 2000 만원이 될거 같은데요..
실제로 빌리는 기간이 2개월이든, 6개월이든 1년 이든지 간에 법정이자 기준은 1년으로 2000 만원 이자로 처리될거 같습니다.
스토리북
24/04/05 16:14
수정 아이콘
"연간 받지 않은 이자가 천만원을 넘는다면" 등의 문구로 설명하더라고요. 밖이라 아직 자세히 알아보지는 못했습니다만.
24/04/05 15:55
수정 아이콘
연간 천만원이 넘어가면 증여가 되는거니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토리북
24/04/05 16:40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알아 보겠습니다.
Gorgeous
24/04/05 16: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금액이 생각보다 큰데 저라면 차용증 꼭 쓰고 법정이자 통장으로 이체 받고 현금 뽑아서 돌려주던가, 필요한걸 사주던가 할거 같네요.

세무서에서 소명하라 들어오는건 일단 [우리(세무서)는 이 건을 증여로 볼건데 니가 소명하는거에 따라 일시차용으로 볼 수도 있어]라고 생각하고 들어오는거라 소명 안되면 바로 추징 들어옵니다. 돈 빌려주면서 굳이 리스크까지 질 이유가 있을까 싶습니다.
스토리북
24/04/05 16:40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그렇게 하려고 합니다.
24/04/05 17: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칙오브 원칙대로면
법정이자도 이자소득세를 원천징수해서 내야합니다. 이렇게까지 잘안하고 몰라서 그렇죠..
그러니까 가족분이 이자의 일부(15%정도)를 국세청에 신고해서 내고, 남은 부분을 글쓴이님에게 이자로 주어야하는게 원칙이란 소리죠..
이렇게 이자소득세까지 내고나면 증여로볼 소지가 아예 없다고 봐도 되죠.. 무조건 차용이긴합니다.
그래서 본문처럼해도되냐 안되냐고 물으신다면 일반인이 100%장담은 못합니다..
사실 잘 안잡긴 할텐데 제가 아마 될거라고 해도 나중에 문제생기면 제가 책임져줄수도 없는거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013 [질문] 애케플 전면 디스플레이 수리 기준 [4] 허느4822 24/04/30 4822
176012 [질문] 세면대 수동 폽업을 교체 하려고 하는데 살짝 난관이 발생 했는데 ㅠㅠ [6] 블랙리스트4706 24/04/30 4706
176011 [질문] 자판기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음료를 판매합니다. [14] ggg2347185 24/04/30 7185
176010 [질문] 유튜브 뮤직에서 Killing in the Name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4] 4507 24/04/30 4507
176009 [질문] 애들이 콘센트 플러그 못 뽑게 하는 장치 없나요? [5] 앗흥5512 24/04/30 5512
176008 [질문] 스타크래프트1 싱글모드 [6] 빠르6217 24/04/30 6217
176007 [질문] 이런 사람들은 그냥 극 T인가요 아니면.. 정말 공감능력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57] 수지짜응7073 24/04/30 7073
176006 [질문] 사진 포함] 앞니가 깨졋는데 해당 부위만 치료가 가능할까요? [6] Alfine4515 24/04/30 4515
176005 [질문] 일본 도쿄 3박4일 여행 갑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22] EY6530 24/04/30 6530
176004 [질문] 가족사진 출력해서 액자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6] 대발5408 24/04/30 5408
176003 [질문] 정신의학과 선택 기준은 뭘 봐야하나요? [7] 연필깍이6756 24/04/30 6756
176002 [질문] 법알못이 법조인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8] 유러피언드림6526 24/04/29 6526
176001 [질문] 이 PC 반본체 어떻게 보시나요? [9] 길갈5723 24/04/29 5723
176000 [질문] 공용 와이파이를 이용한 카카오톡 감찰 가능한가요? [9] 6583 24/04/29 6583
175999 [질문] 발목골절 일은 언제부터 할 수 있을까요? [6] 정공법5854 24/04/29 5854
175998 [질문] (ABS 관련)9이닝 전부 류현진이 던지고, 모든 타석에 황재균이 들어오면 [6] 수지짜응6408 24/04/29 6408
175997 [질문] 주차된 오토바이 마후라에 동네 아이가 상처를 입은 경우 책임? [25] 삭제됨9906 24/04/29 9906
175996 [질문] 영어학원 오픈. 여러분들의 선택은? [10] 교자만두6281 24/04/29 6281
175995 [질문] 시스템에어컨 분해청소 주기가 어떻게 되나요? [7] Mikopap6039 24/04/29 6039
175994 [질문] 외국계 회사 줌 인터뷰를 보는데 회사 정보가 없을 때 [5] Alfine5231 24/04/29 5231
175993 [질문] 어플이 국가인식을 이상하게 할때 시도해볼 방법? 아빠는외계인5048 24/04/29 5048
175992 [질문] 코로나 후유증 후각 과민해지신분들 있나요 [13] 늅늅이5053 24/04/29 5053
175991 [질문] 상처 났을때 흉안질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6] 그때가언제라도4857 24/04/29 48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