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3/23 14:26:45
Name No.99 AaronJudge
Subject [질문] 우리나라 전문직 중 해외 이민에 용이한게 어떤 게 있을까요?
전문직이라 하면 크게
문과 전문직- 변변회세노관감법(변호/변리/회계/세무/노무/관세/감평/법무)
이과 전문직- 의치한약수
그리고 건축사 등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해외(미국/호주/영국 등..)로 이민 갈 때 그 나라에서 유사한 자격증을 취득하기 용이하거나 아예 인정받고 넘어갈 수 있는 게 어떤 게 있으려나요..?

지금 당장 생각나는건 AICPA 정도..긴 한데..

전문직은 캐파가 정해져 있는 특성상 그렇게 이민이 쉽지는 않고 오히려 STEM 석박이 쉽긴 더 쉽다! 라는 말도 들었는데 이건 맞는 말인지도 궁금합니다..!

너무 넓은 범위에서 포괄적으로 질문을 드린 것 같아서 죄송하네요…
그래도 조금이나마 답변을 주신다면 매우 감사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돔페리뇽
24/03/23 14:35
수정 아이콘
의료인 기준으로는 간호사가 가장 쉬운듯요?
사람되고싶다
24/03/23 14:42
수정 아이콘
AICPA도 한국 스펙용이지 본토에선 써먹긴 힘들겁니다. 우리나라처럼 자격증만 따면 모든 걸 짠 하고 보장해주는 나라가 아니다보니. 관련 학과 우수하게 졸업해서 경력 있는 사람이 자격증까지 따서 쓰는 느낌이랄까. 미국 변호사도 마찬가지. 애초에 자격이 그 주 안에서만 통용되는데다 로스쿨이 넘쳐나서 본토 하위권 로스쿨 출신도 이래저래 힘들다는 얘기까지 나오니 뭐.

'한국 자격증으로 외국에서 잘 먹고 잘 살겠다~'는 제가 알기론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외국에서 남의 나라 자격증을 쳐줄 이유가 없어서. 진짜 그냥 STEM 석박이 훨 나을 것 같네요.
No.99 AaronJudge
24/03/23 14:4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STEM이 정말 사기인것같더라구요 보면 볼수록 크크크 미국도 그 방면 인재는 다다익선이니
랜슬롯
24/03/23 14: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 어렵습니다. 왜냐면요 전문직이라는게 결국에 전문직인이유는 따기 힘들기때문이거든요 대부분의 나라에서. 변호사 의사등,

그나마 간호사가 좀 쉬운편인데 이건 육체적인 부분이 같이 들어가니까 그렇고.
저는 윗분이랑 생각이 다르게 "그나마" 회계사가 가능성이있다고 보는데, 예를 들어서 뭐 멕시코나 영국이나 뭐 미국에 가서 일을한다 손칠떄, 그 회사의 본사가 미국이나, 혹은 예를 들어서 영국에 있는 한국회사다라고 하면 회계 기준은 감사나 회계 기준에 있어서 한국 회사 기준을 따르는 경우도 있어서요.
회계사가 그 나라의 회계 시험을 통과하지 않더라도 일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제법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어려운건 윗분말씀이 맞습니다. 미국이나 캐나다등 다른 나라에서 졸업한 학교/살고 있는 주에 우대권을 주는 것도 허다하고,
언어적인 장벽은 뭐 말할 필요가 없고, 동일한 능력이면 현지인을 채용하지 외국에서 온 전문직을 채용하지 않죠. 한국에서 의사하시다가 시험보시고 외국와서 의사하시는 분하고 친해져서 이야기해본적있는데, 절대 하지말라고 몇번이나 말씀하실정도로 절차도 무지막지하게 까다롭고 복잡한거같더군요.

현실적으로 언어/문화/기타 등등 문제를 고려안했을때 가능성 있음 - 간호사
그 다음 그나마 가능성 있음 - 회계사등
현실적으로 까마득할정도로 어려움 - 의사등
apothecary
24/03/23 15:00
수정 아이콘
캐나다 기준으로는 약사가 영어능력 요구점수가 제일 낮습니다. 아엘츠 기준 6.5면 되어서...간호사는 7.0이구요..
물론 시험은 처음부터 다 다시봐야 해서. 시험보는데만 한 2년 걸릴거고..인턴도 해야 하긴 하지만;;
시험볼 자격을 주고 영주권을 쉽게 내준다고는 했지, 면허를 쉽게 따게 해준다곤 안했다 수준이긴 합니다.

약사기준으로 오히려 미국은 반대로 시험자체는 쉬운데, 인턴 및 취업을 위한 취업비자를 쉽게 내준다고는 안했다 같은 개념이고.
그렇더라구요.

들어가는 노력대비 벌어들일 돈을 생각하면, 역시 STEM으로 박사해서 미국에서 돈버는게 젤 나을겁니다.
농담곰
24/03/23 15:06
수정 아이콘
미주나 유럽은 모르겠는데 호주는 영어+기술직이 영주권+성공적인 정착이 젤 쉬울겁니다 흐흐
24/03/23 16:54
수정 아이콘
간호사 쉽습니다
24/03/23 17:03
수정 아이콘
잘 먹고 잘 사는 건 모르겠고,
넘어가서 바닥 깔아주면서 사는 거 기준으로는 간호사, 회계사는 쉽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의사는 시험 봐야 한다고 해서 조금 난이도가 있을 거 같네요.
소금물
24/03/23 19:09
수정 아이콘
전문직 기준 부터가 애매한데 보통 간호사는 전문직으로 안보지 않나요? 그거 빼면 간호사는 몸으로 일하는거고 한국인처럼 몸 굴려가면서 일하는거 생각하면 간호사는 꽤나 쉽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영어가 꽤 걸리긴 하겠죠.
의사도 아는 분 한 분 미국 가는거 보니 그리 어려워 보이지는 않는데.. 다만 미국 의사시험을 따로 준비해야되고 거기서 뽑아줘야 되고 하니까 얼마나 한국에서의 위치를 내려놓냐가 문제겠죠.(간호사같은 경운 한국에서도 대우가 많이 높지는 않을테니)
약사도 가려면 갈만한 걸로 알아요. 그러고보니 저기 위에 아포세카리님이 북미에서 현역이신걸로 흐흐.

문과쪽은 주변에 판검사는 있어도 미국 간 사람은 없어서 잘 모르겠는데, 상식적으로 법은 법 자체가 크게 다르니 새로 해야 할것이 너무 많아서 이민이 힘들 것 같아요. 과학은 그래도 만국 공용이잖아요. 의학은 좀 달라도 베이스는 같을거고.

반면에 stem이야 뭐.. 엄청나죠. 삼전 다니는 친구는 미국 가면(반도체법때문에 못감) 자기 스펙이면 연봉 최소 3억 받을 수 있는데 반도체법때문에 못간다고.. 과학쪽은 사람 상대하는게 주 업무도 아니니 영어가 네이티브급이 아니라도 괜찮고요.
24/03/24 08:17
수정 아이콘
문과기준은 회계사 맞을겁니다.
실제로 넘어가서 잘 사는 친구들도 있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733 [질문] 주린이 질문입니다..(토스증권, 미국주식) [8] 속보2655 24/04/12 2655
175716 [질문] 미국 ETF는 어떤 방식으로 사면 좋은가요?(+재테크조언) [13] 구급킹3344 24/04/11 3344
175610 [질문] 대체역사잘알소환글 - 국공내전에서 국민이 승리했다면? [15] HolyH2O2554 24/04/03 2554
175517 [질문] 만화를 찾습니다. [6] 어제내린비2874 24/03/27 2874
175458 [질문] 우리나라 전문직 중 해외 이민에 용이한게 어떤 게 있을까요? [10] No.99 AaronJudge2754 24/03/23 2754
175254 [질문] '일본은 한국과 가까워지지 않으려 한다'는 주장은 사실일까요? [11] 사람되고싶다2578 24/03/09 2578
175234 [질문] 아마존 고객센터에 이메일로 문의할 수 있나요? beloved1506 24/03/07 1506
175190 [질문] (진짜뻘글) 캡틴 아메리카가 러-우전쟁 참전하면 [32] Garnett212876 24/03/04 2876
175176 [질문] 북한이 미국 유럽급 저출산이라는게 말이 된다고 보시나요? [13] 보리야밥먹자3398 24/03/03 3398
175060 [질문] 혹시 사회초년생을 위한 기본경제강의같은거 있을까요? [6] 마지막처럼2860 24/02/24 2860
175046 [질문] 미국 자동차 스크래치 및 찌그러짐 보험처리 [2] 휵스2121 24/02/23 2121
174951 [질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코시엔3177 24/02/17 3177
174936 [질문] 미국인들도 한국인들만큼 개인주식투자가 활발한가요? [5] 보리야밥먹자4680 24/02/16 4680
174898 [질문] 미국 레지던트 앞에 붙은 Dr.가 박사인가요? [9] 앗흥4188 24/02/14 4188
174680 [삭제예정] 미국 경제 소프트랜딩 성공한 적이 있나요? [2] Cielo Sereno3001 24/01/30 3001
174624 [질문] 한우가 많이 수출되지 않는 이유는 공급이 적기 때문인지요...? [18] nexon5665 24/01/25 5665
174473 [질문] 경제력=군사력이 아닌가요?(feat. 러시아) [22] Garnett215668 24/01/15 5668
174410 [질문] k-매카시즘의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 [9] Keepmining5250 24/01/10 5250
174383 [질문] 한국의 전세제도는 다른 선진국에서 왜 하지 않나요? [40] 보리야밥먹자7268 24/01/09 7268
174357 [질문] 채권형 ETF의 매도물량은 누가 받아주는건가요? [5] 예루리5450 24/01/07 5450
174308 [질문] 미국지역 치안 관련 질문입니다. [5] 우주전쟁5226 24/01/03 5226
174198 [질문] 미국 일하러 가는 친형에게 도움이 될 선물이 있을까요? [6] 삭제됨5102 23/12/27 5102
174154 [질문] 다들 통근시간 얼마나 걸리시나요? [40] 칭찬합시다.6607 23/12/24 66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