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21 14:05:33
Name 종이컵
Subject [질문] 윷놀이 도개걸윷모 규칙 알고계신가요?
수학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경우의 수 단원에서 종종 '걸'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라 이런 류의 문제가 나오는데
앞면 뒷면 갯수에 대한 설명이 문제집에는 언급되지 않을때가 종종 있습니다.

저는 윷놀이를 거의 해본적이 없어서
대략 나무막대기 4개 던져서 앞면 뒷면 나온걸로 말을 움직이며 하는 보드게임이다 정도로만
알고 있지 도개걸윷모가 앞면 몇개 뒷면 몇개 잘 모릅니다.
따로 검색해서 기억하고 학생들에게도 알아둬 라고 얘기는 하고 있기는 합니다만
저 규칙을 모를수도 있지 라고 생각은 하는데 문제집에 따로 언급이 없어도 될 정도로
당연한 상식인건지 요즘 젊은층은 모르는 사람이 많을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요

심리학인가 통계학에서 정확한 용어는 모르겠는데 사람들은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분야는 다른사람들도 그 정도로 알고 있을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잖아요
그런 부분까지 궁금함이 같이 생겨서 피지알 여러분들은
윷놀이에서 앞면 갯수에 따라 말이 움직이는 규칙을 알고 있다없다//한국인의 몇퍼센트쯤은 알고 있을거 같다
라는 의견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지도에 대한 모집단의 범위는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초등학교 고학년(5학년 정도)부터 20대 후반 까지 정도로 설정을 해볼께요

저 개인적으로는 잘모른다//30% 정도 알거 같은데?
라는 의견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버벌진트
24/02/21 14:08
수정 아이콘
80프로 이상아닐까 생각합니다
이혜리
24/02/21 14:08
수정 아이콘
음.. 이게 30대 넘어가면 95% 이상 알 것 같은데 요즘에는 명절에 윷놀이 안하기도 해서 초등학생즈음 되면 윷놀이 규칙까지 잘 아는가? 빽도라든지 말 움직이는 코스라든지 로 물어보면 아는 사람이 50%도 안 될 것 같습니다.
합격기원
24/02/21 14:09
수정 아이콘
저는 조심스레 90% 이상 보겠습니다
24/02/21 14:09
수정 아이콘
근데 윷놀이라는게 TV에서도 자주 노출이 되는 전통놀이중 하나라서, 직접 하지는 않아도 생각보다 다양한 경로로 알게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하다못해 유치원같은곳에서도 윷놀이의 존재나 기본규칙같은건 전통문화 차원에서 가르치거든요. 물론 그때 배우는걸 다 기억하진 못하겠지만요. 의외로 윷놀이를 직접 안하더라도, 윷놀이의 규칙이나 도개걸윷모를 접할 기회는 많다고 봅니다.
덴드로븀
24/02/21 14:11
수정 아이콘
이걸로 여론조사를 돌린다면

30대 이상에선 8~90% 정도로 [규칙을 알고있다] 라고 답할것 같고,
10~20대에선 6~70% 정도가 [규칙을 알고있다] 라고 답할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입니다.
24/02/21 14:15
수정 아이콘
10~20대도 인방많이보면 알만합니다. 생각보다 스트리머들이 명절컨텐츠로 윷놀이 많이 해요
24/02/21 14:35
수정 아이콘
저희 아들이 유치원 다니는데 배우더라구요.
24/02/21 14:37
수정 아이콘
윷놀이는 온라인 보드 게임 같은걸로도 많이 해서 말씀하신 연령에서 최소 과반은 알 것 같네요.
회색사과
24/02/21 14:58
수정 아이콘
수학 문제라고 하면 적어도 해당 정보를 주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이민들레
24/02/21 16:42
수정 아이콘
제 나이대에선 80프로이상 알거 같은데..
마술사
24/02/21 20:57
수정 아이콘
알고있다//90%이상 안다
43년신혼1년
24/02/21 21:13
수정 아이콘
알고 있다 /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인 전체로 설정하면 70% 이상은 알고 있을거 같네요.
24/02/21 23:33
수정 아이콘
전 요즘 10대들도 90퍼는 알고있다고 생각합니다
24/02/22 00:38
수정 아이콘
전 절반정도는 모를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런쪽 문제들 좋아하지 않습니다
과목과 상관없는 지식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로 난이도 차이가 심하게 난다면
문제를 풀면서 얻는 목적에 크게 벗어나는 거죠
강문계
24/02/22 08: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경우의 수에서 또한 자주 나오는 주사위로 바꿔서 생각해보면
주사위의 "X" 면이 나올 확률 이라는 문제에서
"정육면체이고 각 면에 1~6의 숫자가 쓰인" 주사위 라고 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
윷놀이에 대한 설명이 안 나와 있다면 출제자는 윷놀이도 주사위와 비슷한 인지도라고 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일단은 윷놀이도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소개하기는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089 [질문] 쩌는 그림을 발견했습니다. 이런 화풍을 뭐라고 부를까요? [3] brpfebjfi4861 24/02/26 4861
175087 [질문] 코스트코에서 락토프리 우유를 샀는데 우유가 달아요. [7] 개가좋아요5100 24/02/26 5100
175086 [질문] 차긁힘...이 정도 자가로 처치가능할까요? [9] 우주전쟁4107 24/02/26 4107
175085 [질문] 컴퓨터가 안켜집니다... [11] Polkadot4504 24/02/26 4504
175084 [질문] 4월 임산부와 일본 여행지 추천(후쿠오카 or 오사카) [7] 나무자전거4311 24/02/26 4311
175083 [질문] 파묘...500만 넘을까요? [31] 로각좁4769 24/02/26 4769
175082 [삭제예정] 가까운 휴양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아롬4775 24/02/26 4775
175081 [질문] 진로 관련 문의 [5] 알로라나옹4973 24/02/26 4973
175080 [질문] 20개월 아기와 교토에 4일정도 여행 예정입니다. [24] 카즈하4892 24/02/26 4892
175079 [질문] 미니마우스 인형의 영어대사.. 알아들을 수가 없습니다. [7] 無我3965 24/02/26 3965
175078 [질문] React 공부? 방법 추천 부탁드립니다. [2] 김카리3919 24/02/26 3919
175077 [질문] 주니어 개발자가 읽을만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5] Kaestro4609 24/02/25 4609
175076 [삭제예정] 데스크 스크린 쓸만한가요? [4] 조헌3961 24/02/25 3961
175075 [질문] 2200정도로 살만한 중고 SUV 뭐가 제일 나을까요? [27] 마스쿼레이드5700 24/02/25 5700
175074 [질문] 영어 잘 하시는 분들은 미드 자막 없이 들으면 몇 퍼센트정도 알아들으시나요? [10] Bronx Bombers5223 24/02/25 5223
175073 [질문] 제주도 갈만한 곳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9] T.F)Byung44830 24/02/25 4830
175072 [질문] 견적 드래곤볼 하는데 600w 파워로 가능한지.. [2] 엔쏘3847 24/02/25 3847
175071 [질문] 인덕션 추천좀 해주세요! [18] Alcohol bear5212 24/02/25 5212
175070 [질문] 자동차 카탈로그를 보다가 든 뻘의문......(...) [6] 카페알파4710 24/02/25 4710
175069 [질문]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15] 재이소이4899 24/02/25 4899
175068 [질문] pc 견적 이대로 결제해도 될까요? [8] 여유를갖자5574 24/02/25 5574
175067 [질문] 호텔 룸 업그레이드는 어떻게 받는건가요? [17] 공부맨5849 24/02/24 5849
175066 [질문] iplay50 pro mini 디즈니플러스 설치안됨 도움요청합니다 ㅠㅠ [6] 조지아캔커피4097 24/02/24 40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