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1/06 00:44:34
Name 원스
Subject [질문] 아시안컵 우승 vs 월드컵 8강
안녕하세요. 한국 국대 축구 매니아 입니다.

PGR 에 축구 좋아하시는 분들 많으니 개인적인 의견이 궁금합니다.

1. 아시안컵 우승 vs 월드컵 8강 어느게 더 난이도가 높을까요??
최근 22년안에 월드컵 8강 이상은 1번이 갔지만 몇 십년 동안 우승 못한 아시안컵 우승의 난이도가 높을까요??

2. 아시안컵 우승 vs 월드컵 8강 어느게 더 기쁠까요??
아무리 대륙컵이라고 해도 우승 트로피가 좋을 지 세계 무대에서 8강 안에 드는 게 기쁠 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참고로 저는 둘 다 아시안컵 우승을 꼽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1/06 00:45
수정 아이콘
참고로 월드컵 16강이랑 비교하려다 그러면 압도적으로 아시안컵 우승의 우세가 점쳐져서 8강으로 올려 봤습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4/01/06 00:55
수정 아이콘
비교도 안된다고 봅니다 월드컵 8강이 훨씬 어렵다고 생각하구요
우리나라가 우승 못한거지 이라크 일본 호주 카타르 이런나라도 우승할 수 있는게 아시안컵이죠 우리나라 전력이라면 사실 지금까지 우승을 못한게 이상한거지 난이도가 높은건 아니라고 봅니다
후자도 2번이라고 보구요 관심도 수준이 차원이 다르기도 하고 이름 생소한 선수들이랑 붙어서 우승한것보다 메시 호날두 모드리치 이런 선수들 나오는 대회에서 그런 선수들 속한 국가와 비벼서 8강가는게 훨씬 반응좋고 짜릿하죠
이것도 역대 월드컵, 아시안컵 응원 및 반응만 봐도 답이 나온다고 생각해요~
손금불산입
24/01/06 00:58
수정 아이콘
월드컵 8강이 훨씬 어렵죠. 아시안컵이 사실 그렇게 대단한 대회가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수십년 우승을 못한데다가 우승 없는 손흥민 이런 특수한 사정들이 겹쳐서 그렇지...
스토리북
24/01/06 01:31
수정 아이콘
월드컵 8강이죠. 고민의 여지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간단하게는 아시안컵 우승국이 월드컵 8강에 몇 번 들었나 보면 됩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4/01/06 01:35
수정 아이콘
8강요. 근데 지금은 현실적으로 쏜한테 줄수있는 컵은 아시안컵이 유일한 느낌이라 지금은 아시안컵이요.
24/01/06 01:38
수정 아이콘
난이도 명예 모두 월드컵 8강이 훨씬 값어치 있습니다. 그런데 아시안컵도 쉬운 대회는 아닙니다. 대회 위상이 떨어져서 한국이 우승을 안 한 것도 아니고요.
힐러리 한
24/01/06 01:41
수정 아이콘
게임이 안되죠
승률대폭상승!
24/01/06 01:44
수정 아이콘
월드컵도 못나가는 나라들이 우승하는게 아시안컵
개념은?
24/01/06 02:00
수정 아이콘
어려운건 월드컵 8강인데, 갠적으로 이번엔 우승하는거 한번 보고싶네요. 월드컵 4강도 봣는데 아시안컵 우승은 한번도 못봤어서..
24/01/06 03:04
수정 아이콘
독일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데가 월드컵 아닌가요 크크
24/01/06 09:30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는 입구컷 당하는 대회죠
24/01/06 05:05
수정 아이콘
지금 감정으로는 아시안컵인데,
객관적으로는 월드컵 8강이네요 크크
24/01/06 10:31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 표입니다.
철판닭갈비
24/01/06 09:13
수정 아이콘
전 토너먼트 우승이 실력만으로는 안되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해서 아시안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4/01/06 09:22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 아시안컵은 축구계에서 대륙컵이 월드컵 다음 가는 위상이라고 하니(대회 우승한 지 오래되었다고도 하니) 그냥 그런가 보다 하며 뒤늦게 그 분위기에 발맞춰 따르는 느낌이 강하지 축구 팬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보편적으로는 여전히 크게 와닿는 건 없는 대회라고 봅니다.
마술사
24/01/06 09:45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우승은 월드컵16강 정도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8강은 넘사벽
마음속의빛
24/01/06 10:31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은 다 해볼만한 상대들.
월드컵은 살력차가 큰 팀이 다수 존재. (대진운 간절)

아시안컵 우승 < 월드컵 8강
교대가즈아
24/01/06 10:39
수정 아이콘
이번 모로코가 4강 찍기전까지 아프리카 최고 기록이 월드컵 8강이었죠. 아시아 월드컵 최고 성적은 한국의 4강, 북한의 8강이고..
브라질도 02년 이후로 홉에서 열린 14월드컵 빼면 전부 8강에서 마무리.. 아르헨티나는 주작으로 우승한 78년과 메시, 마라도나가 없던 월드컵은 최고 성적 8강이죠.

우리가 흔히 축구 강국이라 생각하는 멕시코도 8강이 최고성적이고 그것도 2번 밖에 안 될겁니다. 스페인도 10월드컵 우승 빼면 거의 8강이 최고 성적..
유럽과 남미 외에 8강에 여러번 진출한다면 다크호스, 손에 꼽히는 강팀이라 생각합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4/01/06 10:46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은 우승을 할수있을지 없을지 논해야하는 대회이지만 월드컵은 본선에서 과연 1승은 할 수 있을까? 이런수준이라 난이도 측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16강 진출했던해도 잘해서 진출했다기보단 항상 정말 경우의수 따져서 겨우겨우 올라갔던터라 자력 16강 진출만해내도 엄청 기쁠것 같네요.

우리나라는 2002년 이전에는 본선에서 단 1승도 못했던 나라고 2002년이후로도 1승이상 해본적이 없는 대회가 월드컵입니다..
24/01/06 11:26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 우승 : 이란, 호주, 일본 다 이기면(혹은 이중 몇팀) 우승

월드컵 8강 : 포르투갈, 우루과이,가나 or 독일, 멕시코, 스웨덴
이런팀들 상대로 조별리그 통과 + 저런 팀들중 조별리그 뚫고 16강 올라온팀 상대로 한번 더 승리
(16강 단골 : 프랑스, 잉글랜드, 네덜란드, 포르투갈, 멕시코, 독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등)
Liberalist
24/01/06 11:26
수정 아이콘
이번에 아시안컵 못 들고 월드컵 8강 가는거라면 저는 월드컵 8강 고르겠습니다. 월드컵 앞에서 그깟 아시안컵 따위...
롤판에 대응해보자면 마이너리그팀에게 리그 우승컵과 월즈 8강 이상 진출 중 어디를 고를래 묻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프라임에듀
24/01/06 11:58
수정 아이콘
아시아 1등 < 전세계 8등
다리기
24/01/06 12:22
수정 아이콘
손흥민도 월드컵 8강을 더 원할 것 같습니다
용노사빨리책써라
24/01/06 12:42
수정 아이콘
16강도 아시안컵 이길것 같습니다
완전범죄
24/01/06 12:58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이 있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국대 축구는 월드컵 올림픽 아시안게임 이것만 있는줄
알았는데
24/01/06 15:31
수정 아이콘
오히려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은 일반적으로 국가대표 팀이라고 부르는 A대표팀 경기가 아니라 연령별 대회죠.
A대표팀에서 가장 큰 대회는 월드컵과 아시안컵입니다. 아시안컵에서 성적이 좋았던 적이 많지 않아서 주목을 못 받다 보니 그런거지...
광개토태왕
24/01/06 13:04
수정 아이콘
당연히 월드컵 8강이죠
대회의 가치 수준이 천차만별인데요
무딜링호흡머신
24/01/06 13:05
수정 아이콘
몇년전 리버풀에게 리그우승 vs 챔스우승 물어보는 느낌입니다

근데 당시 리버풀팬분들은 리그우승 고름 크크
카바라스
24/01/06 20:22
수정 아이콘
16강이면 비빌만한데 8강은 절대안됨
24/01/06 22:4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축구 모르는 분들은 아시안컵이란 게 있는지도 모르는 분도 많을걸요? 뭐 아시안컵과 아시안게임을 구분 못 하는 분도 많으실거고...
대표팀이나 축협에서 뭘 중요하게 생각하냐와 별개로 전 국민적인 기쁨이나 행복의 총합으로 따지면 월드컵 8강은 커녕 16강에도 못 비빈다고 봅니다.
아시안컵 우승한다고 이번 월드컵 16강 진출만큼 이슈 될 거라곤 전혀 생각되지 않네요.
앙금빵
24/01/07 00:38
수정 아이콘
난이도는 월드컵 8강이지만 남는건 그래도 우승컵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379 [질문] 아는 형님이 이렇게 말하면 어떨 것 같은가요? [27] 짐바르도6838 24/01/09 6838
174378 [질문] 동네의원 해당과목 전문의 여부가 얼마나 중요한가요? [19] 앗흥5803 24/01/09 5803
174377 [질문] 알뜰폰 자주 갈아타면 신용점수를 못올리나요? 쏘쏘쏘5055 24/01/08 5055
174376 [질문] 2월말 3월초 제주도 여행 질문 입니다! [5] 원스5593 24/01/08 5593
174375 [질문] 체코, 헝가리, 오스트리아 여행에서 신용카드 사용? [10] 호비브라운5260 24/01/08 5260
174374 [질문] 유모차나 카시트는 어떤브랜드를 쓰고계시나요? [85] 천우희5678 24/01/08 5678
174373 [삭제예정] 이번주말 타이페이 여행 복장 질문입니다 [9] 삭제됨3368 24/01/08 3368
174371 [질문] 게임하실 때 패드 진동,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 [27] 평양냉면6628 24/01/08 6628
174370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유유할때유5716 24/01/08 5716
174369 [질문] 카드번호를 잘못 입력해서 다른사람 카드로 결제되는게 가능한가요? [7] 쌍둥이아빠5740 24/01/08 5740
174368 [질문] 게임용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4] 하임4883 24/01/08 4883
174367 [질문] 스탠바이미 쓰시는분? (스탠바이미고x) [14] Grundia5569 24/01/08 5569
174366 [질문] 개발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6] 황신강림5613 24/01/08 5613
174365 [삭제예정] 20대 중반 연애 이별 조언 부탁드려요 [39] 삭제됨5580 24/01/08 5580
174364 [질문] 소개팅 하는 분과 당일치기로 목요일 근교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39] 의문의남자6766 24/01/08 6766
174363 [질문] 종이신문 보고 싶은데요 [9] 이리세5071 24/01/08 5071
174362 [질문] 다리뼈가 갑자기 아파요ㅠㅠ [11] 하리네5140 24/01/08 5140
174361 [질문] 대출 질문 입니다. [9] 하이킹베어4865 24/01/08 4865
174360 [질문] EA play pro 이용하시는분 계신가요? [3] BlueSKY--4717 24/01/07 4717
174359 [질문] SSD NVME 2230 PC에 연결하는데 연결이 안되요 [8] 어센틱6004 24/01/07 6004
174358 [질문] 스픽 어플 해보신 분들 후기 부탁 드립니다 [3] Alfine6709 24/01/07 6709
174357 [질문] 채권형 ETF의 매도물량은 누가 받아주는건가요? [5] 예루리5518 24/01/07 5518
174356 [질문] 우리카드 해외결제 변경? [3] raztuns4965 24/01/07 4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