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1/04 12:34:07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한달에 모바일게임에 14000원 현질하면 많이 쓰는편인가요? (수정됨)
저는 어느 모바일게임에 한 번에 7천원, 그것도 정말 어쩌다 3배수 쿠폰이 나왔을 떄만 그걸로 그렇게 현질하고

그마저도 그러는게 한달에 딱 두번을 절대 넘어가지 않아서 결국 한달에 14000원 정도 현질하는 셈인데

저 정도면 모바일 게임에 돈 많이 쓰는편인가요?

근래 모 국내 게임회사의 괴작들같이 현질을 어나더레벨로 안하면 제대로된 플레이 자체가 안되는 게임들은 예외로 해주시고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끼공듀
24/01/04 12:37
수정 아이콘
뒤에 0이 하나 더 붙어도 많이 쓰는 것은 아닐껍니다.
Jurgen Klopp
24/01/04 12:39
수정 아이콘
소과금 축에도 못들걸요
늘새로워
24/01/04 12:39
수정 아이콘
소소한데요? 요즘 학생들도 그보다 많이 쓸걸요?
그린티미스트
24/01/04 12:41
수정 아이콘
취미생활이고 14,000면..그냥 공짜 아닌가요..
24/01/04 12:45
수정 아이콘
모든것은 수입에 비례한다지만

성인남성 기준 한달 15000원 정도는 쓸수있죠 충분히

20년전 바람의나라 한달 정액도 2만9천원쯤 했었는데요
Rorschach
24/01/04 12:47
수정 아이콘
영화 한 편 값이니 많이 쓰는건 아니죠. 요즘 어디가서 냉면 한 그릇 먹어도 12000원씩 하는데요 흐흐
24/01/04 12:48
수정 아이콘
극장 가서 영화 한 편 봐도 그거보다 많이 나오는거 생각하면 많다고는 못 말하죠
류지나
24/01/04 12:52
수정 아이콘
원신 같은 게임에서라면 달 14000원은 무과금하고 동급 취급 받습니다.
덴드로븀
24/01/04 12:53
수정 아이콘
https://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948
[모바일게임 유저 줄고, 1인당 과금은 늘었다] 2022.03.11

1인당 거래액 최고점은 작년 11월로, 1인당 3만 원에 가까운 금액이다.
현재 역시 2만 3천원 가량으로 전년에 비해 높은 거래액이 표시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611794?sid=102
[韓 모바일게임 지출 '세계 1위'…이용자 90% 이상이 MZ세대] 2021.10.04.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으로 올 상반기 기기 1개당 게임 소비 지출액은 월평균 13달러(약 1만5185원)로 집계

모바일게임 과금러 평균치 보다 약간 아래 정도의 금액인것 같습니다.
은때까치
24/01/04 14:00
수정 아이콘
저거 과금러가 아니라 유저 (=과금러+무과금러) 1인당 과금액 같은데요?
그래프엔 문제가 없는데 그걸 해석한 기사에 오류가 있는걸로 보입니다.
코기토
24/01/04 12:59
수정 아이콘
지금 금액은 청소년이어도 부모님들이 인정해주실만한 건전한 액수라고 생각합니다.
24/01/04 13:01
수정 아이콘
한끼 밥+커피 값인데 충분히 쓸 수 있다고 봅니다. 술담배 하시면 조금 줄이면 되고 안하시면 술담배도 안하는데 그정도 충분히 쓸 수 있고요.
24/01/04 13:05
수정 아이콘
그정도는 무과금급..
24/01/04 13:09
수정 아이콘
무과금인데요?
은때까치
24/01/04 13:10
수정 아이콘
무과금과 과금 사이에는 넘을수 없는 인식의 간격이 있어서 이걸 평균 금액으로 따지는게 맞나 싶긴 하지만
과금러 사이에서는 저 돈은 대단히 매우 적게 쓰는거긴 하죠. 진짜 커피 2잔값이니까요.
전체 게이머 중에서는 대충 중간 정도 (0원이 절반정도 있을테니), 과금러 중에서는 하위 1%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24/01/04 13:15
수정 아이콘
거의 무과금이죠..
24/01/04 13:20
수정 아이콘
저도 그정도 쓰는데.. 한창때 다른게임 할때는 한달 10만원도 쓰고 했던 기억이 있기는 합니다.
주관적으로 한달 10만원까지가 소과금과 일반과금의 경계가 아닌가 싶어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1/04 13:22
수정 아이콘
10만원 밑으론 무과금임 솔직히 크크
24/01/04 13:26
수정 아이콘
이게 가능한 거군요.. 돈계속 쓰게되서 모바일 게임 아예안하는 크
파르셀
24/01/04 13:28
수정 아이콘
전혀요
아이힌트
24/01/04 13:29
수정 아이콘
10만원 밑으로는 무과금이라고 생각합니다. 30만원 밑으로는 소과금이구요
플레인
24/01/04 13:37
수정 아이콘
사실상 무과금이죠. 미성년자셔도 가능
24/01/04 13:41
수정 아이콘
14000원 이면 치킨 한 마리도 안 되는데...무과금이죠
전 꽤 과금하다가 육아 중이라.....이제 기본 정도 패키지만 하는데 1달에 10 정도 합니다
절대불멸마수
24/01/04 14:21
수정 아이콘
게임현질에 한푼도 안쓰는 유저가 50%정도 된다고 댓글에서 읽었는데,

1원 이상이면 중간값을 넘는거죠.
사실 모든 사람이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니, (대충 절반 한다고 보면)
1원 현질을 하는 순간 상위 25%가 되는 걸로 생각되네요.

그게 큰 금액이냐 적은 금액이냐는 개인의 소득을 고려해서 답변해야겠지만요
왕립해군
24/01/04 14:22
수정 아이콘
패스 하나 사는 수준이면 뭐..
24/01/04 14:47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선 하위권
현실에선 평균이상일겁니다.
페로몬아돌
24/01/04 15:02
수정 아이콘
과금 취급도 안해줄겁니다 크크크
아따따뚜르겐
24/01/04 15:05
수정 아이콘
14000원이면 게임 하나 월정액 넣는 수준인데, 보통 모바일 게임 하는 사람들 여러개 합니다.
24/01/04 15:16
수정 아이콘
아니요 저는 이달에 이미 15만원 박았습니다 띠로리..
애기찌와
24/01/04 15:34
수정 아이콘
14,000원이면..스팀으로 게임모으기하는 게이머들에게도 못미치는 축이 아닐까요 하물며 모바일 가챠라면..
24/01/04 15:38
수정 아이콘
무과금이라 보시면됩니다... 소과금도 아니세요...
모나크모나크
24/01/04 15:47
수정 아이콘
저게 많은 거면 모바일 게임 회사들 다 망합니다 ㅠ.ㅠ
24/01/04 15:51
수정 아이콘
무과금입니다
24/01/04 15:51
수정 아이콘
월정액 유저고 보통 이 유저 과금액이 5천~2만입니다.진짜 딱 즐기는 것만큼 내고 계시는 겁니다.
Far Niente
24/01/04 17:24
수정 아이콘
이걸 소과금도 아니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인 걸로 봐선 상식이 무너진 사회 같습니다..
24/01/04 17:38
수정 아이콘
게임(남의 저작물)을 이용하는데에 돈을 쓰는것이 잘못된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바로섰기에 상식이 제대로 선 사회라고 봅니다.
Far Niente
24/01/04 17:41
수정 아이콘
무슨 무과금을 복돌이처럼 말씀하시는 데 모바일 게임에 돈을 쓰는 건 선택이죠
말씀하신 건 패키지게임에나 해당되는 얘기고 흔히 말하는 '과금'은 게임을 사는 게 아니라 게임 내 재화를 사는 개념인데
가챠에 수백씩 녹이는 게 상식이 제대로 선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24/01/04 18: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이 가챠에 수백씩 녹인다고 하면 위의 댓글들 모두 뭐라고 했겠죠.
하지만 월 17000원을 쓰는데 소과금도 아니라고 표현하는걸 상식이 무너진 사회라고 말씀하시는게 이상한거죠.
Far Niente
24/01/04 18:14
수정 아이콘
월 17000원은 과금도 아니라는 생각에 의아해하는 게 이상한건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과금은 과금이고 그게 상식인데.
24/01/04 18:22
수정 아이콘
위에 과금도 아니라고 하는말을 액면그대로 받아들이시면 곤란하죠. 보통 과금한다라는 단위 대비 지극히 적다라고 에둘러서 표현한걸 [17000원을 쓴건 돈을 아예 안쓴것이다]라고 해석하시면 어쩝니까
위에 그런식으로 댓글단 수많은 분들이 숫자도 셀줄 멍청이들이라 그런게 아니잖아요
24/01/04 18:51
수정 아이콘
맥주 그게 술이냐?라고 하는거랑 같은겁니다.
애주가들에겐 음료수처럼 느껴져서 한 말이지만 실제로 술이 아니다라는 뜻은 아니잖아요
열혈둥이
24/01/06 18:12
수정 아이콘
한달 취미생활에 만칠천원쓰는데 많이 쓰는 건가요? 라고 물었을때도 같은 대답이 나올거같은데
님은 그때도 상식이 무너진 사회라고 생각하실것같나요?
편견은 누가 가진지 다시한번 생각해보시죠
24/01/04 21:04
수정 아이콘
사회수준이 올라갔고 취미생활로 돈을 쓰는 범위도 굉장히 늘어났죠.
예전에 아이나 결혼으로 소비되던 돈들이 이제는 절반넘게 본인들에게 쓰이고 있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이게 상식적일 수도 있습니다.

"어 나 취미에 한달에 만칠천원써" "그게 돈쓰는거냐?!" 이런거죠.

오히려 이런 커뮤니케이션이 상식일 수도 있습니다. 그냥 커먼센스죠.
저기다 대놓고 돈썼잖아 이게 돈쓴거아니냐고 따지면서 와 상식이 무너졌네 하면 이게 더 이상해지는게 아닐까요.
24/01/04 22:38
수정 아이콘
치킨 3만원시대에 이미 상식은 무너진 사회 맞습니다.
14000원 과금한거 가지고 호들갑 떨거 까지야... 1400만원 과금한것도 아니고....
Far Niente
24/01/04 2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2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네~ 다음
24/01/07 06:07
수정 아이콘
사회 무너지기 쉽네요
24/01/04 20:58
수정 아이콘
무과금이네요 혹시 엠파이어앤퍼즐이라는 게임을 아십니까?
라라 안티포바
24/01/04 22: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달에 1.4만원이면...
패키지게임 다작하는 웬만한 분들보다 적게쓰실것같은데요;
같은 예산이면, 세일가 3.5만원짜리 게임사면 2.5개월간 아무 게임도 구매못하는 셈입니다.

아 작성자분을 늦게봤네요. 이분이셨구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355 [질문]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에 뜨는 검은 점/면 이슈 [4] 엔지니어6422 24/01/07 6422
174353 [삭제예정] 사회성을 어떻게 길러야 할까요? [14] 202310037225 24/01/07 7225
174352 [질문]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 질문 [17] Arya Stark6524 24/01/07 6524
174351 [질문] 다음 문장은 어떻게 해석하는 게 맞는 것일까요..? [20] nexon6035 24/01/06 6035
174350 [질문] 삼성 셰리프 TV 구매 할까요? [5] 고요5794 24/01/06 5794
174349 [질문] 갤럭시 모든 걸 백업하는 방법은 없나요? [5] 앗흥5245 24/01/06 5245
174348 [질문] 교통사고 병원 질문입니다.(인천) [3] 언제나맑게삼4904 24/01/06 4904
174347 [삭제예정] 어르신들 편한 신발 추천좀 부탁드려요 [8] 삭제됨5107 24/01/06 5107
174346 [질문] 군산 1박2일로 가는데 아버지께서 다닐만한 곳? [21] 픽킹하리스5076 24/01/06 5076
174345 [질문] 2년 전 공사로 누수 발생했는데 공사업체에 책임 이야기 가능할까요? [1] AquaMarine5984 24/01/06 5984
174344 [질문] 수염 레이저제모 질문 (다양합니다) [5] Scour4969 24/01/06 4969
174343 [질문] 글카설정 백그라운드응용프로그최대프레임속도 질문드립니다. [2] 스핔스핔4834 24/01/06 4834
174342 [질문] 아시안컵 우승 vs 월드컵 8강 [31] 원스5845 24/01/06 5845
174341 [질문] 조립PC 전원이 안들어오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2] 박수5590 24/01/05 5590
174340 [질문] 친구에게 중고차 구매 질문입니다 [21] rDc665775 24/01/05 5775
174339 [질문] ost로 발매되지 않은 곡을 구하려면...? [3] 짐바르도4303 24/01/05 4303
174338 [질문] 자소서 참고할만한 사이트 없을까요? [3] 불독맨션4732 24/01/05 4732
174337 [질문] 노트북 모니터 연결 질문입니다. 박용택_334808 24/01/05 4808
174336 [질문] 비행기를 결제했는데 4,5일 뒤에 한번 더 결제되었습니다. [2] 5264 24/01/05 5264
174335 [질문] 애매한 규모의 회사는 인사고과 평가도 애매하네요 [4] 앗흥5458 24/01/05 5458
174334 [질문] 현재 개발중인 PC MMORPG 게임에 어떤게 있나요? [7] 라리5030 24/01/05 5030
174333 [질문] 신발 건조기나 신발 살균기 써보신 분 계신가요? [5] Aquaris5415 24/01/05 5415
174332 [질문] USB type C 용도관련 [6] 평화왕5756 24/01/05 57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