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31 08:22:16
Name 조헌
Subject [삭제예정] [운전면허] 1종 보통과 수동운전이 가능하다는것의 메리트가 있을까요? (수정됨)
앞으로 성인이 될 친구들에게 수능 치자마자 당장 운전면허부터 따라고 조언해 왔습니다.

특히 남자는 (가능하다면) 1종 보통이라는 지론을 설파하고 다녔는데, 시대가 바뀜에 따라 수동변속기 차량이 거의 전멸함에 따라 제 지론에 스스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특히 앞으로는 더 희귀해질텐데 말이죠.

물론 저희때야 남자들이 대부분 1종 보통으로 면허를 땄는데 저 역시 군대에서 두돈반 몰 때 말고는 딱히 수동변속기를 써 본적이 없네요.
그리고 1종 관련해서도 딱히 큰 차량을 몰 것이 아니라면 소용이 있을까 싶기도 하고요.

앞으로 관련 직종에 종사할게 아니면 굳이 남자들이 1종 보통, 수동에 집착할 필요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그네틱코디놀이
23/12/31 08:27
수정 아이콘
1종은 단체 여행 갈때 스타리아를 끌수있냐 정도 차이. 수동은 국내에서 의미없을거 같고요.
콘칩콘치즈
23/12/31 08:40
수정 아이콘
무의미요. 그냥 2종오토따고 정말정말 스포츠차에 관심이 생기거나(극소수) 아니면 대형운전해야할때 추가로 따면 됩니다.
23/12/31 08:49
수정 아이콘
요새는 포터도 거의다 오토라 굳이뭐..
23/12/31 09:00
수정 아이콘
1종보통 따도 수동을 만날일이 없어요
도전과제
23/12/31 09:16
수정 아이콘
특수한 경우만 아니면 별 의미 없을 거 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관련 직종 종사자 아니면 굳이 1종 보통, 수동에 집착할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다만 저는 시골 지방직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는데 재난재해, 행사지원, 불법광고물, 불법적치물 관련 업무라든지 기타 일을 하려면 트럭을 몰아야 하는 업무들이 있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데 죄다 스틱 차량이라 스틱 운전을 못하니 불편함이 좀 있네요...
23/12/31 09:16
수정 아이콘
전 1종 땄는데 면허장 이후 수동차를 한 번도 안 몰았더니
클러치와 기어를 어떤 타이밍에 어떤 방식으로 조작했는지 전혀 기억이 안 나요...
23/12/31 09:21
수정 아이콘
1종보통 땄는데 군대에 운전병으로 갈 때 말곤 수동을 몰아본적이 없네요. 운전병으로 다녀와서 보험료 혜택을 조금 받았으니 도움이 아예 안되진 않았네요.
네이버후드
23/12/31 09:29
수정 아이콘
여행갈때 필요
ANTETOKOUNMPO
23/12/31 09:38
수정 아이콘
면허 자체는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제3자 입장에서는 면허 딸 때까지 큰 차를 가지고 연습을 더 많이 할테니, 미숙한 운전자가 줄어든다는 점에서는 좋을 것 같습니다.
페로몬아돌
23/12/31 09:40
수정 아이콘
정말 가끔 수동 몰일이 있긴 합니다. 근데 그게 나일 필요는 없죠 크크크
배고픈유학생
23/12/31 09:43
수정 아이콘
2종 15년차인데 1종 쓸일 한번도 없었습니다
Splendid
23/12/31 10:01
수정 아이콘
혹시나 유럽에서 렌트할일 없다면 뭐..
약설가
23/12/31 10: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못하는 것 보다야 당연히 할 수 있는 게 낫겠지만, 요즘 수동 차량을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특별히 필요할 일이 많지는 않을 겁니다. 그리고 관련 일자리를 얻는 일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경우 운전을 할 줄 아는 경우보다 못하는 경우가 더 편했습니다. 수동-오토 역시 마찬가지겠지요.
저는 스타렉스 운전이 필요해서 2종 보통 면허를 가지고 있었지만 1종 보통을 다시 땄었기는 합니다. 그런 특수한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제주산정어리
23/12/31 10: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1종보통 자체가 주는 장점은 오히려 부수적인 것이고,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만, 당시 2종보통 대비 그냥 비법 적용이 쉬워서 응시하던 경향이 컸던 것 같습니다. 높은 차체에서 앞 길이를 신경쓸 필요 없이, 어디 연석을 본다던가, 어깨선 맞춰서 바로바로 공식을 따라하기가 수월하잖아요. 예를들어 S코스 병아리차로 하라고 하면, 그게 감각이 없는 초심자들한테는 더 피곤할 것 같고... 다만 기능시험이 많이 쉬워진 요즘은 그 의미가 퇴색되서 또 모르겠네요.
정공법
23/12/31 11:05
수정 아이콘
메리트없어요
소녀시대
23/12/31 11:06
수정 아이콘
솔직히 관련 직종 아니면 노필요..
2종따서 운전 잘하고다닙니다
남자는 1종보통이지 이 마인드도 너무 꼰대같아 싫어서 2종딴것도있음
23/12/31 12:19
수정 아이콘
1종 보통입니다만 다시 면허따는 시절로 돌아간다면 망설임 없이 2종 오토로 딸겁니다. 뭐 경찰 공무원 같은 직종에는 1종을 요구하는거 같긴 하더군요
알파센타우리
23/12/31 13:05
수정 아이콘
여행가서 렌트할때 자동과 수동 가격차이가 좀나죠....유럽애들은 자동을
왜써? 이런 마인드라....
뚜비두바
23/12/31 13:19
수정 아이콘
저는 2종 보통 땃다가 어쩌다보니 현장직 근무하다보니 포터가 대부분 수동이라 1종을 다시 땃습니다 어차피 딸거면 1종이 낫지 않나 생가합니다
회전목마
23/12/31 14:45
수정 아이콘
지금에 와서는 의미가 거의 옶죠
23/12/31 16:24
수정 아이콘
응시료나 강습비 차이가 있으려나 모르겠는데, 그냥 재미있다는 거 자체로 따볼만 하지 않나 싶습니다. 계속 수동운전하면 귀찮은데, 잠깐 배울때만 하면 수동이 운전하는 맛이 있어요
토끼공듀
23/12/31 18:23
수정 아이콘
1종 보통을 수동에 중점에 두시면 필요없는데, 운전할 수 있는 차종을 중점으로 보면 2종과 넘사벽의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이 또한 그들만의 세상이긴 합니다.
티아라멘츠
23/12/31 19:11
수정 아이콘
진짜 관련 직종 아니면 평생 1종 몰 일 없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23/12/31 20:48
수정 아이콘
근데 1종이랑 2종 따는데 비용이 다른가요?
리얼포스
23/12/31 22:41
수정 아이콘
2종 오토따고 10년 운전했는데 1종보통이 필요하다고 조금이라도 생각했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보다는 오늘 이 글 읽기 전까지 제 면허 종수를 의식해본 적 자체가 없었네요.
23/12/31 23:58
수정 아이콘
1종따면 운전병 갈수있죠 크크
척척석사
24/01/01 09:28
수정 아이콘
트럭이나 단체 차량을 몰 일이 있을때 나는 면허가 없기 때문에 못 하니 꼬우면 니가 하세요 라고 하려면 2종 강추입니다
용노사빨리책써라
24/01/01 16:19
수정 아이콘
면허취득 14년차인데, 1년차에 스타렉스 11인승 한번 몰아본것 빼고는 전혀 차이가 없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282 [삭제예정] 무보험자가 주차된 차량을 긁었을 때 [7] 삭제됨6654 24/01/02 6654
174281 [질문] 태영건설과 김진태의 관련성 [15] 큐브큐브8085 24/01/02 8085
174280 [질문] 차사고후 자차보험 후 구상권 청구시 불이익 [5] Bellhorn8304 24/01/02 8304
174279 [질문] 갤럭시북의 장점은 뭔가요? [20] 본좌9725 24/01/02 9725
174278 [질문] 아이폰 유심이 안되는데 ㅠㅠ [4] 월터화이트7807 24/01/02 7807
174277 [질문] 엑셀 서식 질문드립니다 [6] 마지막좀비6337 24/01/01 6337
174276 [질문] 맥가이버 칼 용도 질문입니다. 우익 좌익 나눠져있어요. [4] 가위바위보6802 24/01/01 6802
174275 [질문] 사무용 컴퓨터 질문 [11] 왓두유민8274 24/01/01 8274
174274 [질문] 베이컨 잘 굽는법 [13] 엄준식8074 24/01/01 8074
174273 [질문] 태국에 장기 체류할 예정인데 유심, 이심 질문입니다. [6] 실버벨8312 24/01/01 8312
174272 [질문] 컴퓨터 사양과 마우스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 관련이 있을까요? [5] 마제스티6684 24/01/01 6684
174271 [질문] 엑셀 기능 질문 [4] possible6340 24/01/01 6340
174270 [질문] 메인보드 교체 관련 질문 [6] 기무라탈리야6905 24/01/01 6905
174269 [질문] 휴대폰을 구매하려는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자급제, #선택약정,공시지원 위약금) [6] 런앤건9061 24/01/01 9061
174268 [질문] 저도 컴퓨터 견적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모아9223 24/01/01 9223
174267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4] TiKei8381 23/12/31 8381
174265 [질문] 코로나 인후통 약발 받으면 증상이 나아지는 현상인가요? [4] Pika487357 23/12/31 7357
174264 [질문] 안드로이드.4.2.2의 구버전 폰(lg 뷰3)에서 간단한 인터넷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8] 위닝샷7454 23/12/31 7454
174263 [질문] 오늘밤 12~1시 서울 주차가능한가요? [7] 키모이맨8238 23/12/31 8238
174262 [질문] 8세 남아 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7] 도전과제8108 23/12/31 8108
174261 [질문] PC 부팅 / 윈도우 설치 문제... 도움 부탁드립니다. [4] 다시마두장7875 23/12/31 7875
174260 [질문] 자동차 경고등 표시질문입니다 [8] The Greatest Hits10265 23/12/31 10265
174259 [질문] (놋북질문) 갤럭시북4 울트라 / 프로 또는 다른 추천? [11] TheMoon9004 23/12/31 90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