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30 19:13:08
Name 호비브라운
Subject [질문] 세액공제하려고 연금저축이나 ISA에 관한 질문
세액공제를 제1목표로, 목돈 마련에 제2목표를 생각해서 내년부터 연금저축이나 ISA를 활용해보려고 합니다. 근데 아무리 찾아 읽어봐도 어려워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1) 연봉이 6500 정도라고 하면 최대 세액 공제는 13.2%인 858만원인데, 한해에 연금저축이나 ISA에 858만원만 예치하면 자동으로 세액 공제가 적용되는 게 맞나요?

2) 세액 공제되기 위해서 추가적인 조건이 있을까요? 인출이 자유로운 만큼 연말 정산 시기에만 맞춰서 연금저축이나 ISA에 최대 세액 공제률에 맞춰 입금하고 나머지는 인출해서 다른 곳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한 건가요?

3) 금융기관마다 연금저축이나 ISA 상품이 차이가 크게 있을까요? 그냥 주 거래 기관이랑 하면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3/12/30 19:53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은 넣엇서 세액공제 되는거 맞는데

ISA는 아닌걸로 알고있습니다....

ISA는 나중에 끝날때

ISA 해지 금액 -> 연금저축 or IRP로 넣어야 연금저축 한도랑 별도로 세액공제가 이루어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은때까치
23/12/30 20:06
수정 아이콘
https://m.fmkorea.com/5010479895
요거 추천드립니다. 궁금하신것들이 잘 정리되어 있을거에요
호비브라운
23/12/31 01:18
수정 아이콘
대박이네요.. 고맙스빈다!
알바트로스
24/01/01 09:48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저도 도움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3/12/30 20:09
수정 아이콘
1. 아닙니다.

연금저축 1년 한도액(넘으면 다음해로 이월) 이 600만원, IRP+ 연금저축이 900만원 입니다
그리고 그 금액에 공제율을 곱한 만큼 공제됩니다....
만약에 900만원을 넣으면 * 13.2% 해서 118.8만원 공제가 되는거죠...

2. 아닙니다.

'연금' 상품 자체가 수급 조건이 (특정 나이 등) 될때까지는 못빼는 조건입니다....
일부 인출이 되는 조건이 있긴 한데 까다롭고 세액공제 받은걸 다 뱉어내는 시스템입니다....
물론 계약 해지해도 동일하게 다 뱉어내야 하고요...

3. 차이는 있는데 대동소이 할거에요...
저는 그냥 알아보다각 아무거나 가입했습니다... 수수료랑 별 차이 없어서요...
호비브라운
23/12/31 01:19
수정 아이콘
혹시 저축 기한이 있나요? 만약 내년(2024) 연말 정산에 세액공제 적용되게 하려면 올해까지 포함인지 아니면 다른 것처럼 2월분까지 포함인지 궁금하네요..
마술사
23/12/30 21:19
수정 아이콘
1. ISA가 아니고 IRP 입니다
2. 세액공제받은돈 인출하면 세액공제 뱉어냅니다.
3. 차이가 크진 않은것 같습니다.
23/12/30 22:12
수정 아이콘
1. 연봉의 13.2%가 아니라 세액공제되는 납입금액이 최대 900만원인거고 글쓴분 연봉이면 900만원의 13.2%인 120만원정도가 세액공제되는겁니다.
소득공제가 아니라 최종세액에서 공제되는것이므로 그냥 연금저축 900만원 풀로 넣으면 현금 120만원 돌려받는다고 보면 됩니다.

2. 조건같은건 딱히 없고요. 넣기만 하면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 적용되서 나옵니다.
한번넣으면 그냥 55세 연금수급가능나이까진 어지간하면 못 깬다고 보면됩니다.
글쓴분처럼 연봉 5500넘어서 13.2%공제받아도 연금상품 깨서 다시 돌려받을때는 연봉 5500만원미만의 세액공제인 16.5% 떼갑니다.
55세까지 절대 안 깰수있는 만큼만 넣으세요.

3. 어플편의성말고는 크게 차이 없는거같습니다.
23/12/31 01:38
수정 아이콘
1. 연금저축, IRP = 사적연금 = 55세 이후 분할 수령 (10년이상), 세액공제는 많이 받고, 수령할때는 적은 세율로 세금냄, 가물가물해서 다시 찾아봐야하는데 5년이상 납입해야할걸요.
IRP는 중도인출이 까다롭고, 투자종목도 안전자산 30%유지해야하고
연금저축은 세금뱉어내고 자유롭게 중도인출 가능

2. ISA = 5년(사실 3년)짜리 절세 상품, 원래 금융소득은 15.4%세금을 내는데 ISA는 5년 묶어놓는 대신 9.9%세금을 가져가며, 만기시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면 10% 세액공제 (최대3천만원까지 300만원 세액공제)
위에 연금저축과 IRP는 연간 납입한도가 1800만원인데, 만기 ISA는 이전하면 3000만원까지 추가로 연금저축에 넣을 수 있음.

즉, 소득이 크면, 매년 (ISA 2천만원 + 연금저축 + IRP 1800만원) 납입하고 ISA 3년마다 연금이전
이걸 부부가 같이하면.. 절세하는 금액이 엄청나죠.
'수익'을 낸다는 조건하에 세금을 떼고 다시 돈을 굴리는거랑
세금을 안떼고 게속 돈을 굴리고 노후에 세금내면서 연금받는거랑은 스노우볼이 다르죠.
물론 손실크게 한번 나면 절세가 다 무슨소용인가 싶죠. 일단 벌어야 세금을 내지 잃으면 세금을 안내거든요..
Dr. Boom
23/12/31 16:17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IRP에서 꼭 알아두셔야 할건 55세까지 돈이 묶인다는 점입니다.
물론 중도 해지 가능하지만 그동안 받은 혜택 이상으로 다 토해냄 + 기회비용 손실
암튼 중도해지/인출하면 손해니까
반드시 여유자금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가끔보면 혜택좋으니 대출받아서 한다는 사람도 있던데
잘 따져보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연금누적액이 많을경우 나중에 연금개시할때 3.3~5.5% 저율과세가 아닌 종합소득과세로 넘어가게 되는데
(현재기준 연 1500만원)
이것도 계산해보는게 좋습니다. 세액공제 받은거 이상으로 연금받을때 세금으로 다 뜯길수 있습니다.
그리고 살수 있는 상품이 한정적인것도 단점이죠.
유투브나 블로그같은데 보면 무슨 연금저축/IRP가 마법의 만능상품 처럼 소개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분명 단점도 존재합니다. 무조건 최대금액 때려박아라 이런 말은 안 듣는게 좋습니다.
Dr. Boom
23/12/31 16:22
수정 아이콘
특히 개별주식 투자가 안되는점, ETF는 가능하지만 한국상장 ETF만 가능한점은 큰 단점입니다.
연금저축은 보통 10년 이상 길게는 20년 이상 보고 하는 상품인데
한국증시가 그렇게 초장기간으로 장투할만한 가치가 있는가 생각해 본다면 의문이 남는게 사실이죠.
미국증시에 투자한다치면 한국상장 미국 ETF는 여러가지로 단점이 많은 상품이고요.
23/12/31 23:24
수정 아이콘
사적 연금만 일정액 초과시 종합소득세로 넘어가는것 아닌가요..?
그리고 한국상장 미국인덱스ETF는 어떤 단점이 있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Dr. Boom
23/12/31 23:47
수정 아이콘
벤치마크와의 괴리율, 수수료(표시된 수수료 보다 실제 수수료가 훨씬 더 나감), 배당 등 문제가 있죠.
대충 비슷한 ETF 토탈 리턴으로 계산해 보시면 차이가 좀 있습니다. 단기간은 별차이 없어도 5년,10년 되면 작은 차이는 아니죠.
Dr. Boom
23/12/31 23:49
수정 아이콘
사적연금 이 개인연금저축+IRP인데 퇴직연금도 퇴직후에 IRP로 넘어갑니다.
연 1500이 그렇게 큰 금액이 아니라서 20년 정도 꾸준히 납입한다 치면 거의 넘어갈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219 [질문] 삼다수를 왜 먹을까요? [62] @user-ak23f7kgkz6302 24/03/06 6302
175218 [질문] 퇴직금 DC vs DB선택 [25] 정공법5045 24/03/06 5045
175217 [질문] 신차 구매 vs 장기렌트를 고민중인데 신차구매쪽으로 밀고 싶습니다. [11] 아이유_밤편지5338 24/03/06 5338
175216 [질문] 아이돌판에서 아이들의 위치는 어딜까요 [20] Equalright4118 24/03/06 4118
175215 [질문] 체형 교정에 좋은 운동이 뭘까요? [6] 모찌피치모찌피치3739 24/03/06 3739
175214 [질문] 가상OS에서 그래픽카드 연결? [8] 만두3543 24/03/06 3543
175213 [질문] 육아용품 세이펜 쓰시는 분 속도? [3] 랑비3846 24/03/06 3846
175212 [질문] 아이돌 유사연애 감정과 관련한 궁금증 [23] 콩돌이9065 24/03/06 9065
175211 [질문] LOL은 모니터가 작은게 더 좋을까요? [12] 미뉴잇3433 24/03/06 3433
175210 [질문] 155H vs 7840U 배터리 성능이 궁금합니다. [3] 크로플3571 24/03/06 3571
175209 [삭제예정] 영어권에서 거주하시는 영잘알 분들 뉘앙스 질문입니다. [6] 김삼관3516 24/03/05 3516
175208 [질문] 30대 피쟐분들 영양제 드시나요?(+먹어야 할까요?) [63] 아엠포유5983 24/03/05 5983
175207 [질문] 공동명의, 추가 분양권 문의입니다. [5] heatherangel3608 24/03/05 3608
175206 [질문] 도서 제작 관련 저작권의 인정범위 [7] 꿀행성4138 24/03/05 4138
175205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6] 두지모3616 24/03/05 3616
175204 [질문] 선택약정 불가 핸드폰 알뜰폰 이용 [1] 마인부우3791 24/03/05 3791
175203 [질문] 사춘기 vs 갱년기, 누가 이기나요? [28] 오타니5250 24/03/05 5250
175202 [질문] pc 사운드카드가 맛이 갔습니다 [4] 로각좁3692 24/03/05 3692
175201 [질문] 새차 구입 후 7일뒤 세차? [6] 카오루4923 24/03/04 4923
175200 [질문] s23u 혹은 s24u 중에서 추천부탁드립니다. [20] Ha.록4461 24/03/04 4461
175199 [질문] 허리디스크 반년, 병원을 다시 예약했습니다. [9] 호비브라운4210 24/03/04 4210
175198 [질문] 멀티태스킹이 안좋은 습관인가요? [36] Cand5971 24/03/04 5971
175197 [질문] 약국들 비대면 진료 처방전 잘받아주나요? [3] 키토4708 24/03/04 47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