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14 18:56:19
Name 조헌
Subject [삭제예정] 주택 공동명의(부부)의 장단점이 있을까요? (수정됨)
나름 유튜브도 찾아보고 정보를 검색해 보는데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는 맞벌이 신혼부부이고 곧 신축 아파트에 입주할 예정입니다.
현재로선 남편인 제 명의이지만 아내와 함께 메꿔나가야 할 집이고 해서 공동명의로 하는게 맞겠지요.
하지만 공동명의로 잘못 돌리면 손해라는 이야기를 얼핏 본 듯 합니다.

그렇게 비싼 아파트가 아니라 9억, 12억씩 공제받을 일은 없습니다.

장점 : 아파트 매매시 양도세, 종부세 절약 가능
단점 : 최소 5년동안 공동명의 유지(장기유지), 양도세(현재 입주전이기에 없을수 있음)

제가 정리한 장, 단점은 이 정도입니다. 혹시 더 조언해 주실 내용이 있다면 가르침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몰아치는간지폭풍
23/12/14 19:02
수정 아이콘
매매/임대나 대출 관련된 모든 계약에 두 명 모두 참석해야 합니다. 서류도 언제나 2명분이 필요하고요. 안 오면 인감증명과 위임장을 지참해야 하고요. 공동명의니까 당연한 거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 이것저것 처리하는데 은근히 많이 귀찮습니다.
프리미어1k
23/12/16 06:4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귀찮아서, 와이프 명의로 그냥 하라고 했습니다.
나중에 집 팔때에 와이프가 알아서 하니까 편하긴 하더라구요.
조지포터
23/12/14 19:17
수정 아이콘
공동 명의보다 단독 명의의 장점이 월등하다면 맞벌이인 아내 명의라도 상관 없으신가요? 상관 있을거 같다면 공동 명의로 가십시오.
엘브로
23/12/14 19: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조건 둘이 같이 가야하고 서류도 2배라서 귀찮음이 큽니다...
12억이상이 안되면, 공제받을일 없으면 굳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겨울삼각형
23/12/14 19:25
수정 아이콘
공동명의로 세금 감면이 없다면 장점은 없습니다.

주택을 구매하실때가 아니라 나중에 단독명의를 공동명의로 돌리신다면,
이것도 하나의 증여가 되기 때문에 증여도 알아봐야 하고,
취등록세를 또 내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그러니 계약하실때 닥독명의로 할지 공동으로 할지 정하셔야 해요.
shadowtaki
23/12/14 19:35
수정 아이콘
종부세 감면 받을 것 아니면 모든 게 단점입니다.
어제본꿈
23/12/14 19:39
수정 아이콘
공동명의의 장점은 몰래 집 담보 대출받아서 주식투자 이런 걸 방지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다른 장점은 위 이유로 인한 아내의 만족이죠.
그외 장점은 없는것 같습니다. 재산세도 절반 나눠서 각각 나옵니다.
23/12/14 19: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가구 1주택시 종부세에 이득이 있었는데 이제 종부세 커트가 위로 많이 올라가서 장점이 거의 없어졌죠.
1가구 2주택시에는 기존에도 부부 각자 단독 명의가 원래 종부세에 유리하기도 했어서..
그래서 1가구 1주택자가 공동명의인 경우 주택 추가 매수가 세법상 불리했죠.
또 고가 주택인 경우 공동명의로 인해 전업주부에게 건보 직장가입자 피부양자 자격상실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건 공시가격 18억짜리 5:5 공동명의때 발생하는 일이긴합니다. 집 외에도 자산이 있으면 기준이 내려 오겠지만요
그나마 분양권 취득시, 잔금 직전에 공동명의 하면 나중에 양도세 절세 방법이 있긴한데 이건 공부를 하셔야..
어차피 12억이상짜리 집의 경우에나 해당되고요.
돔페리뇽
23/12/14 19:52
수정 아이콘
세금때문에 하는거죠 뭐...
누가 정권 잡느냐에 따라 정책이 180도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인지 아닌지 지금은 알 수 없습니다
현재는 종부세 기준이 많이 올라가서 장점이 많지 않습니다
닉네임바꿔야지
23/12/14 20:24
수정 아이콘
공동 명의 받으면 기분이 좋습니다.
몽키매직
23/12/14 21:02
수정 아이콘
안 비싼 집이고 1주택 유지하면 어떻게 하든 큰 상관 없습니다만...
추후에 사정상 2주택 상황이 생길 때 (여러가지 이유; 상속, 애들 살 집 등등) 각자 명의로 하는 게 유리하고
행정적으로도 공동명의가 귀찮습니다.

이미 명의가 정해져 있는 것을 바꿀 이득이 별로 없습니다.
특히 단독 명의를 공동 명의로 바꾸는 것은 일반적으로 손해기 때문에 더더욱 할 이유가 없습니다.
어차피 부부 10년 이상 함께하면 혹여 재산 분할하더라도 명의 관계 없이 반반 분할이기 때문에 오래 같이 살 생각이라면 공동명의를 굳이 요구할 경제적 이유도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지인 상담시 결혼할 상대방이 재산 공동 명의 요구하는 건 먹튀 의도가 있는 게 아니면 경제관념이 없는 거라 생각해서 절대 경제권 주면 안된다고 합니다.
부부가 계속 같이 갈거면 명의는 지극히 경제적으로 이득인 방향으로 정하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48 [질문] 힘들 때 어떻게 하세요? [16] 200608286587 23/12/17 6587
174047 [질문] 주요 뉴스 정리해서 쉽게 말해주는 유튜버 [9] 마제스티6149 23/12/17 6149
174046 [질문] 대만여행 꿀팁전수받고싶습니다 [15] 빠르6338 23/12/17 6338
174045 [질문] 아이용 아이패드 어떤걸 사는게 좋을까요? [7] 귀여운호랑이5901 23/12/17 5901
174044 [질문] 저가형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그냥가끔6773 23/12/17 6773
174043 [질문] pgr21 모바일 찍먹방 참여코드를 알 수 있을까요? [1] 아타락시아15673 23/12/17 5673
174041 [질문] 와이파이 속도 및 환경 구성? 질문입니다 [4] 기무라탈리야5752 23/12/16 5752
174040 [질문] 뚝섬역 근처 점심 회식할곳 추천 부탁드려요 [7] SaNa4979 23/12/16 4979
174039 [질문] 갤럭시탭과 아이패드 터치 민감도 [1] 교대가즈아5262 23/12/16 5262
174038 [질문] 로톡 서비스 괜찮을까요 [3] moonland5614 23/12/16 5614
174037 [질문] 목사가 기도로 병치료해주는건 사기일까요? [24] 붕붕붕6921 23/12/16 6921
174036 [질문] 90년대 오락실 게임 제목 질문 [3] 해맑은 전사5582 23/12/16 5582
174035 [질문]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는 포경수술을 안 하는데 거부감 없는지요..? [5] nexon5832 23/12/16 5832
174034 [질문] 문앞에 치킨을 도난 당했는데 이런것도 경찰에서 도와주시나요? [8] 라리6238 23/12/16 6238
174033 [질문] 할만한 인디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모찌피치모찌피치5410 23/12/16 5410
174032 [질문] 그래픽카드 샀습니다. PC 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5] 사람되고싶다6508 23/12/16 6508
174031 [질문] 양쪽 정강이에 감각이 둔한데 어느 병원을 가야하나요? [9] Pikachu5017 23/12/16 5017
174030 [질문] 비누향나는 남성용 향수 추천부탁드려요. [6] 스물다섯대째뺨5606 23/12/16 5606
174029 [질문] 차 앞유리에 이거 뭔가요??... [12] 친구복이많은사람6351 23/12/16 6351
174028 [질문] 신논현역쪽 근처 식당 문의드립니다. [8] 포커페쑤5795 23/12/16 5795
174027 [질문] 전자파 유도전류(및 가능한 인체유해성?)? [3] 차라리꽉눌러붙을5259 23/12/16 5259
174026 [질문] 삼성폰에서 카톡 듀얼앱을 이용중인데 선물함을 들어가면 듀얼앱이 아닌 원카톡으로만 나옵니다 [1] 위닝샷4844 23/12/16 4844
174025 [질문] 청량리 기차역의 인지도에 관해서 [11] backtoback4895 23/12/16 48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