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08 11:05:44
Name 라리
Subject [질문] 보통 공부하시는 방법이 어떻게 되시나요??
공부를 해보고싶은게 생겨서 정말 오랜세월만에 공부를 해보려고하니
잘되지 않네요.. 학창시절에도 공부를 잘했던 사람이 아니라서 ㅠㅠ

갑자기 여러분들은 학창시절이나 성인이되서 공부 하셨을때 어떤식으로 하셨는지 궁금해서요.

물론 준비했던 시험에따라 공부법도 많이 차이가 있겠지만은.. 그래도 한번 여쭤봅니다.

이론 공부하실때 쭉~~~ 읽어서 보는편이신가요??
아니면 공책에 전부 쓰면서 하시는편이신가요??
아니면 읽는거 위주로 하다가 중요하다고 생각한것만 공책에 적어보는 스타일이신가요??

그리고 반복도
이론공부를 여러번 회독하고 문풀로 하시는 스타일이셨나요
아니면 이론은 최대한 빠르게 1회독으로 끝내고 문풀을 무한으로 돌려보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상해꽃
23/12/08 12:22
수정 아이콘
일부러 대충 흘겨보고 혼자서 머리속으로 계속 왜이러지 머지 생각해요
장마의이름
23/12/08 12:45
수정 아이콘
배경지식이 있는 (읽으면 내용이 이해되는) 과목은 꼼꼼하게 읽으면서 나름의 요약노트를 만들고, 그 후에는 그걸 외우거나 문제를 풀었구요.

배경지식이 아예 없는 과목은 일단은 빠르게 훑었습니다. (마치 속독 연습하듯이 강제로..) 챕터 제목만 기억하겠다는 마인드로 두어번 훑으면 그때쯤은 인강을 듣든 꼼꼼히 읽든 하면 이해가 되는 정도여서 첫번째랑 동일하게 공부했어요.

이것도 사람마다 많이 다르니 참고만 하시길..
콩순이
23/12/08 13:45
수정 아이콘
저는 쓰고낙서해요. 연필로 줄도 긋고 동그라미도 치고 좀 지저분하게 공부하는 스타일이요. 눈하고 손에 익히는 게 좋더라구요.
이혜리
23/12/08 13:57
수정 아이콘
저는 정말 깨끗하게 필요한 필기는 연필로 작게 조그맣게 라이너도 형광노랑 볼펜으로 살짝.. 자주 보는 방식으로 계속 범위나 양을 줄일 수 있는 방식으로 공부했어요.

공부량 자체가 원체 많은 자격시험이라 쓰면서 할 수는 없었고 눈으로 봐도 집중 흩어지지 않게 하는게 제일 힘들었네요. 수식같은거 외울 때는 원리?부터 익혀버려서 만약 디테일까먹어도 수식도출해낼수 있도록 익혔고..

책을 깨끗하게 쓴 건 과하게 체크해놓으면 2회독 3회독 할때 거기에만 눈이가더라구요. 저만의 공부법은 음 책이랑 대화하거나 혹은 강사에 빙의해서 나라면 이렇게 강의하지 하면서 웅얼웅얼 강의하기 정도가 있어요
23/12/08 22:55
수정 아이콘
뭘 하든 반복 숙달 입니다.
23/12/09 00:08
수정 아이콘
쓰면서 외우지는 않았습니다.
다회독을 위해 교재는 최대한 깨끗하게 쓰는 편이었고
필기가 필요하면 따로 필기용 공책을 만들었었고
수학은 계산용 연습장을 많이 썼습니다.

처음에는 개념이 확실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개념 위주로 공부했고 틀리거나 자주 나오거나 중요한 내용은 폰으로 사진 찍어두고 자주 봤었네요
커티삭
23/12/09 19:08
수정 아이콘
쭉읽어서 읽힐땐 읽고 안읽히거나 잡생각들때는 쓰면서합니다
nm막장
23/12/09 22:34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9OKyOB4snVI
전 이분것 가끔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19 [질문] 40인치 모니터 암 질문드립니다 [10] 던멜5172 23/12/15 5172
174018 [질문] 삼성 갤럭시북 추천받습니다. [9] 해바라기5773 23/12/15 5773
174017 [질문] 교통사고 등 사건 발생시 대응 문의 [18] 수타군5553 23/12/15 5553
174016 [질문] 퇴행성 관절염 치료 수술 카티스템 질문 [3] 먀미무먀5537 23/12/15 5537
174015 [질문] 포켓몬 dlc 구매 질문드립니다. [4] 천우희5012 23/12/15 5012
174014 [질문] [컴터] i3 12세대 vs 13세대 문의드립니다. [14] 앵글링x스키밍5883 23/12/14 5883
174013 [질문] 컴켜서 걍 일반 웹서핑+게임만 하면 윈도디펜더 꺼도 괜찮나요? [3] 스핔스핔5412 23/12/14 5412
174012 [질문] 홍대쪽 지나는데 뮤지컬 스토리를 봐달라는데 [5] 짐바르도6037 23/12/14 6037
174011 [질문] 서울 1박 2일 갑작스러운 여행! 추천할 곳 있으신가요? [7] 실버벨5152 23/12/14 5152
174010 [삭제예정] 주택 공동명의(부부)의 장단점이 있을까요? [11] 조헌5070 23/12/14 5070
174008 [질문] 에어프라이기랑 전자렌지 같은 콘센트에 써도 괜찮을까요? [7] SaNa5931 23/12/14 5931
174007 [질문] 초등학생 노트북 구입 질문 [6] 자리끼5709 23/12/14 5709
174006 [삭제예정] 와이프 미국주식 수익률?(삭제예정) [4] 삭제됨4969 23/12/14 4969
174005 [질문] 이런 냄새 제거기 어떤 원리인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8] Red Key6079 23/12/14 6079
174004 [질문] 롤 아주 미세한 끊김 [7] 요들5947 23/12/14 5947
174003 [질문] 인터넷이 유선만 끊긴다면? [8] 데비루쥐5242 23/12/14 5242
174002 [질문] EU 국가 여행 주류 면세 초과 질문입니다. [4] Su A5171 23/12/14 5171
174001 [질문] PC가 부팅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13] 마지막좀비5479 23/12/14 5479
174000 [질문] 게임 멀미 해소방법 문의드립니다. [28] 먼산바라기6040 23/12/14 6040
173999 [질문] 스팀이 서비스를 정지하면? [7] drighk6136 23/12/14 6136
173998 [질문] 화학약품 폐기물 처리(염산 등) [7] BISANG5583 23/12/14 5583
173997 [질문] 라디오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6] 퍼블레인5517 23/12/14 5517
173996 [질문] 윈도우에서 파일명 변환시 전체파일 다 바뀜 기사조련가4975 23/12/14 49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