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21 15:25:32
Name FallingInLuV
Subject [질문] 새아파트 입주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몇년전 분양받아 입주를 앞두고 있고 아파트에도 해야할게 너무 많아 고민중에 있습니다.

1. 아파트 사전점검을 업체를 써서 해야할까요? (현재는 셀프로 할 생각입니다.)

2. 새아파트에 하는 옵션들 중 꼭 해야할거 또는 할걸 그랬다 하시는게 있으실까요?
. 탄성코트, 나노코팅, 줄눈, 단열필름, 중문, 방충망(미세/안전) 등등 너무 많네요

개인적으로는 재정적 이유로 최소화 하고 싶은 마음도 있고, 오래 살 집 제대로 하고 들어가야되나? 하는 마음도 있어 갈팡질팡 하네요.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21 15:36
수정 아이콘
1. 필요없다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론 누수없으면 다른건 사소한 문제라 보고 누수 있으면 업체쓰건 말건 완전 망한거라 안쓰는게 나은거 같아요.
2. 저는 나열한것중에서 미세방충망 하나 했습니다.
어떻게 들어왔냐 싶은 벌레들이 집으로 막 들어와서 버티질 못하겠더군요.
중문은 많이들 하시는데 요즘 아파트 단열 잘되고 개방감있는게 더 좋아서 안했습니다.
탄성,나노이런건 그냥 필요없다 보고 줄눈은 필요하시면 해도 됩니다.
시무룩
23/11/21 15:37
수정 아이콘
저라면 중문은 하겠습니다
이번에 구축이지만 아파트 이것저것 수리하고 들어갔는데 '현관 중문 할껄..'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구축이라 그럴수도 있지만요
로하스
23/11/21 15:45
수정 아이콘
성격이 꼼꼼한 편이면 사전점검 셀프로 하셔도 괜찮고요.
저는 꼼꼼히 볼 자신이 없어서 업체 썼어요.
그리고 중문은 하시는게 좋아요. 중문 있는거랑 없는거랑 겨울에 차이 많이납니다.
몽키매직
23/11/21 15:51
수정 아이콘
1. 꼼꼼하신 편이고 아파트 하자 이것저것 경험 많으시면 필수는 아닙니다. 뭘 봐야되는지 맨바닥에서 시작하는 느낌이면 업체 통해서 하십시오. 하자는 처음 1년 동안은 줄줄이 계속 나오고 2-3년 지나서도 조금씩 나오니까 본인도 결국 어느 정도 해야되는데, 경험 많은 사람이 미리 감지하는 것들도 없지 않습니다.
2. 줄눈 정도는 하면 좋은 정도. 중문은 구조에 따라 공간감 망칠 수도 있어서 잘 생각해보시고 나머지는 꼭 할 필요 없는 것들.
하아아아암
23/11/21 15:53
수정 아이콘
1. 해도 되고 안해도 되고.

2. 줄눈 중문 외 비추
기와선생
23/11/21 15:55
수정 아이콘
1. 천천히 보시면 크게 업체 안쓰셔도 되요. 입주청소나 줄눈 여타 인테리어 업체 서비스 이용하게 되면 보통 입주전에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도
어디어디 하자 있는거 같다 말해줍니다. (자기네가 망가트린거 아니다라고 알리는 목적도 있기에)

2. 줄눈 꼭 하세요. 백시멘트 마감은 시감지나면 너무 누래지는데 관리 어렵습니다. 중층이시면 요새 저희집이 비둘기 테러당하는 중이라 버드네트 실외기 있는 곳에 설치해주세요.. 10층 +- 3정도 층을 비둘기가 선호한다고 하네요
23/11/21 16:13
수정 아이콘
입주전에 줄눈하고, 거실 방 왁스(직접 왁스하고 밀대 사서 해도 됨) 칠하세요.
Alcohol bear
23/11/21 16:34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줄눈은 필수!
중문은 타입별로 별로 필요 없어도 될것 같은 집들도 있더라구요~
23/11/21 16:35
수정 아이콘
1 안해도됩니다. 사실 집은 핸드폰처럼 깨끗하게 공장에서 생산되어 나오는게 아니고, 사람이 손으로 마감하는데다가
그 사람이란것도 장인이 비싼공임받고하는것도아니라.. 미미한 마감하자 하나하나 집어내면 하자가 수백 수천개도 될수 있습니다.
새 집이어도 어느 정도 마음은 놔야합니다.
마감하자 다 집어내도 건설사가 모두 해결해주는 것도 아니고요. 수평 안 맞는 나름 큰 건도 사실 해줄 수가 없습니다. 공사가 끝난 상태라.
아무리 해달라고해도 시간끌다가 AS철수합니다 흐흐...
타일, 도배, 베란다 코팅(?)같은 굵직굵직한것만 눈으로 보시면되고, 마감하자는 큰 것 위주로 본인이 직접 사전점검하시면 됩니다.
바닥 들뜸 같은건 살면서도 계속 뜨기때문에, AS기간중에 계속 신청하시면 됩니다.

2. 저는 줄눈 포함해서 모두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중문 정도는 고려해도 될 듯.

새집느낌도 3년이면 끝나서.. 너무 새집이라고 과투자마시고 차라리 그 돈을 가구에 더 신경쓰는게 나은 듯합니다.
새 집의 가치는, 넓은 주차장과 새로운 환경(차없는 아파트라던가..금연아파트라던가.. 물놀이터나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에 있는거지
집 내부의 가치는 높지 않다고 봅니다.
돈테크만
23/11/21 16:42
수정 아이콘
본인이나 가족분들이 욕실도 자주 청소하고 관리 잘한다면 괜찮지만 아니라면 줄눈,코팅은 하시면 좋고 방충망은 고층이라 벌레 안오는거 아니면 필요합니다.
중문은 뭐 개인취향차이니깐 하고싶은대로 하시면 됩니다.
이른취침
23/11/21 16:46
수정 아이콘
줄눈은 추천. 중문은 구조를 보시고 판단.
복도식 아니면 사실 큰 필요는 없음.
방충망은 나중에 해도 큰 차이 없을 거구요.
오늘 뭐 먹지?
23/11/21 17:19
수정 아이콘
줄눈이랑 중문이요.
미세 방충망은 바람이 잘 안통해서 비추요..
엡실론델타
23/11/21 17:34
수정 아이콘
중문 줄눈 했구요 입주 2년차인데
만족도 높습니다
23/11/21 18:10
수정 아이콘
19년도에 입주를 했고 2번 항목은 다 한 것 같네요;; 나노코팅이 싱크대 코팅하는 거 맞나요? 단열필름은 안 한 것 같네요.
입주박람회때 업체 선택해서 예약을 했는데 입주하고 나서 해도 말만 잘하면 가격은 그대로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다만 탄성코트는 베란다에 물건 없을 때 해야되서 하려면 입주전에 해야하고, 나머지는 입주 하고 나서 해도 될 것 같아요.
방충망은 안전방충망 했는데 - 2층이라 방범효과 기대? 전혀 쓸모없더라구요. 전열교환기가 있다보니까 창문을 잘 안 열게 되요.
방과후티타임
23/11/21 18:31
수정 아이콘
1. 사전점검 업체 -> 개인적으로 불필요하다고 봅니다.
하시면 하자 훨씬 더 많이 잡아낼 수 있긴한데, 여기는 진짜 쓸데없는것까지 잡아내서요....크크
대부분의 하자에 대해 입주 후 보통 1년정도 무상 처리가 되기 때문에 소소한 하자는 입주 후 눈에 띄어도 처리가 가능하고, 입주전에 해야하는 큰 하자는 업체 아니라 입주자가 가도 눈에 띄는 수준일거라.....
만약에 세를 주시는 계획이면 업체 통해 꼼꼼하게 처리하는게 좋긴 합니다만 거주하실꺼면 크게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23/11/21 18:46
수정 아이콘
짐이 없는 상태여야 할 수 있는 것들 중에서 끌리는 것만 하시고, 나머지는 들어가서 하셔도 됩니다.
저희는 입주 전 탄성, 줄눈, 그리고 입주시 입주청소를 했습니다. 다른건 살면서 필요하면 하려구요.

사전점검도 마찬가지로 입주 후 하기에 곤란한 굵직굵직한 하자들 위주로 보시고, 나머지 자잘한 하자는 살면서 보일때 접수하셔도 됩니다.
업체 쓸 필요까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우두유두
23/11/21 19:34
수정 아이콘
아이가 있다면 방충망 추천입니다. 건설사 기본방충망은 아이가 밀면 구멍납니다. 안전방충망으로 돈들여서 하는거 추천입니다
네이버후드
23/11/21 20:16
수정 아이콘
중문은 하고 안하고 차이 엄청나요
이정후MLB200안타
23/11/21 20:18
수정 아이콘
줄눈, 중문 강추하구요. 집에서 요리 좀 해드실거다 하면 싱크대 코팅도 강추합니다. 관리 난이도가 하늘과 땅 차이에요.
23/11/21 21:43
수정 아이콘
1. 유튜브보고 그냥 하셔도 됩니다. 사전점검 아니더라고 하자보수기간이 따로 또 있으니 사시면서 하셔도 되구요.
2. 아이가 있으면 중문이 있는게 좋습니다. 안전문제와 직결되다보니
다른건 다필요없어요. 줄눈도 사시다가 물때먹거나 누레지면 하시면됩니다. 굳이 벌써 할필요없어요.
23/11/21 22:06
수정 아이콘
방충망: 이사 다닐 때마다 제일 먼저 창호틀 물구멍부터 꼼꼼하게 막곤 하는데, 여름에 모기 같은 걸로 고생해본 일이 단 한 번도 없네요. 기본적으로 상술이라 생각합니다.
중문 : 인테리어만 해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줄눈 : 화장실 청소의 주기를 조금이라도 늦출 수 있습니다.
탄성코팅 : 예전에 업무 관계로 다양한 아파트을 가보곤 했는데, 결로나 곰팡이는 같은 아파트 같은 동 같은 라인이라도 어떤 집은 아예 없고 어떤 집은 지옥이 펼쳐지는 등 복불복 경향이 상당하더라고요.사전점검 때 귀댁의 발코니를 유심히 잘 살펴보시고 판단하시는 게 어떨까 싶네요.

최소화하고 싶으시면 다 없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FallingInLuV
23/11/22 08:28
수정 아이콘
모든분들 답변 감사합니다.
잘 참고해서 진행하겠습니다
도들도들
23/11/23 18:59
수정 아이콘
거실 조명을 했는데 만족감이 높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955 [질문] 전세매물 및 전세보증보험 가입 질문 [10] Photonics5612 23/12/11 5612
173954 [질문] 교통사고 질문입니다. [2] 싸구려신사5315 23/12/11 5315
173953 [질문] 글자 인식 스캐너 or 펜슬 질문드립니다. [2] 코러스5151 23/12/11 5151
173952 [질문] 새로운 것, 새로운 자극을 어떻게 찾으시나요? [12] 사람되고싶다5564 23/12/11 5564
173951 [질문] 저도 컴퓨터 견적 한번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4] 꿀벌5681 23/12/11 5681
173949 [질문] 해외쇼핑몰 검색방법 [1] 외국어의 달인4698 23/12/11 4698
173948 [질문] 패드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개인의선택5117 23/12/11 5117
173947 [질문] 컴퓨터 견적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3] moonland5565 23/12/11 5565
173946 [질문] 3~5만원대 샤프추천해주세요 [8] 교자만두5788 23/12/11 5788
173945 [질문] 구형 태블릿 활용방안에 대해서 [9] backtoback6016 23/12/11 6016
173943 [질문] 종이 다이어리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짐바르도5257 23/12/11 5257
173942 [질문] TL 겜에서 땅클릭 이동방식 없는 이유 [14] 스핔스핔5615 23/12/11 5615
173941 [질문] 스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1] kogang20014847 23/12/11 4847
173939 [질문] 동영상 썸네일 추출 프로그램 문의 [2] 호리5110 23/12/10 5110
173938 [질문] 심폐지구력 늘리는 법 질문드립니다! [12] 백색왜성6024 23/12/10 6024
173937 [질문] 종아리 마사지 [1] 키작은나무5036 23/12/10 5036
173936 [질문] 넷플릭스 계정공유 / 추가회원 질문입니다. [1] 플래쉬5564 23/12/10 5564
173935 [질문] 공유기 성능 좀 봐주세요. [3] Pika485516 23/12/10 5516
173934 [질문] 도자기 본드 고온노출 질문입니다. [1] 택배6048 23/12/10 6048
173933 [질문] 수염 제모 5회 기준 가격이 어떻게 되나요 [11] 호비브라운5776 23/12/10 5776
173932 [질문] 유자녀분들, 아이는 삶을 더 의미 있게 만드나요? [61] 칭찬합시다.8382 23/12/09 8382
173931 [질문] 배틀넷 로그인 화면에서 퍼즐을 풀라고 하는데.. [9] 여름7689 23/12/09 7689
173930 [질문] 알뜰폰 셀프개통 오류(전화받는건 되는데 거는게 안되요) [4] 라붐솔빈6471 23/12/09 64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