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8 21:01:59
Name nexon
Subject [질문] 주요 패배요소들이 없었다면 2차대전때 독일이 소련을 이길 수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2차대전 초기 승승장구했던 독일은 동부전선에서 무너지면서 마침내 전쟁에 지게 되는데요

소련과의 전쟁에서 패하게 된 원인으로 거론되는 것들을 보면 보통 아래 요소들이 많이 언급되는 것 같습니다..

1. 이탈리아의 실패를 만회해주느라고 개전시기가 늦어졌다
2. 모스크바 조기 점령에 집중하지 못하고 목표를 분산시켰다
3. 부족한 월동준비로 큰 인적/물적 피해를 입었다
4. 포로/점령지에 대한 과도한 탄압정책으로 소련을 분열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후방이 교란되었다
5. 작전상 후퇴조차 금지한 히틀러의 독단/개입으로 전략적 유연성을 상실했다 등등

만약 위와 같은 요소들이 모두 원만하게 진행되었다면 독일이 소련을 제압할 수 있었을지요..?

아니면 기본적으로 영토크기나 인구수, 보유자원량에서 너무 차이가 크고, 미국의 개입을 감안하는 순간 질 수밖에 없는 전쟁이었을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아아아암
23/11/18 21:04
수정 아이콘
제 미천한 견해로는 미국끼고 이기려면 게임하듯이 세이브-로드 신공 계속해도 쉽지 않을거 같긴하네요.
23/11/18 21: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그때만 해도 미국이 강대국이라는 인식은 지금보다 덜해서 히틀러는 미국이 개입해도 이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류지나
23/11/18 21:14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원만하게 진행되다' 라는 가정에는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3번의 부족한 월동준비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런 류의 문제는 대체로 국력과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해결이 불가능한 요소에 가깝습니다. 독일의 소련 침공 당시 300만명이 기습공격했는데, 이 모든 인원의 월동 장비를 갖추고 개전하려면 아마 개전 시기가 훨씬 뒤로 미뤄졌을 것이고, 그렇다면 역사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어긋났을 것입니다. 예컨데 독일의 침공이 미뤄져서 소련의 스탈린 선이 완성되어 오히려 역사보다 못한 결과가 나온다거나.

제가 생각하는 독일의 가장 큰 패전 요소는, 영국을 남겨두고 이중 전선을 펼친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역사를 돌이켜도 해결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이미 영국 항공전에서 패배한 독일은 무슨 수를 써도 영국 점령이 불가능했고, 사실상 이 시점에서 미국의 참전까지는 초읽기였으며, 미국의 참전이 더해지면 독일은 어떤한 경로라도 패전을 면치 못했을 것입니다.
23/11/18 21:53
수정 아이콘
독소전이 크리스마스 전에 끝난다는 믿음 때문에 방한복 등 월동장비 만들 시설을 전부 국내소비재 생산라인으로 교체해버려서 물량을 맞출 수 없었다고 하고 특히 부랴부랴 확보한 물량도 독일-러시아간 철도궤도 문제로 월동장비 보내는 순위가 무기보다 뒤쳐지는 바람에 제대로 전달이 안 되었다고 하네요.. @@ 이런 것은 국력보다는 준비부족이 더 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11/18 21:42
수정 아이콘
저 모든걸 극복하더라도 이미 거인의 기상 찍고 날아오르는 대황미국을 막을 방법이 없...
23/11/20 00:41
수정 아이콘
지금 보면 미국의 참전 여부가 굉장히 중요한데 히틀러는 그렇게 생각 안 했던 것 같더라구요 드드
카바라스
23/11/18 22:45
수정 아이콘
요즘 정설은 독일이 무슨수를 썼어도 이기기 힘들었다는거 같습니다. 핵무기라도 만들면 모르겠지만 그건 불가능한 영역이었으니. 미국의 개입 없이도 독소전을 졌을거라는 의견도 있으니까요.
23/11/20 00: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드드
미메시스
23/11/18 22:54
수정 아이콘
저게 "원만하게" 진행되었다면 실제 역사의 독일보다 훨씬 국력이 강성했단 얘기니
가정 자체가 의미 없는듯 합니다.

5번은 그 히틀러의 독단 때문에 프랑스 침공을 대성공 한거라 ..
히틀러의 독단을 변수로 취급해서 없앤다면
1차대전처럼 프랑스 침공에서 막혀 질질 끌다가 전쟁 끝났을 겁니다.
원래 독일군 장성들이 준비하던 계획은 슐리펜의 재탕이라서요.
23/11/20 00: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VictoryFood
23/11/19 00:30
수정 아이콘
프랑스와 폴란드를 먹은걸로 끝냈어야지 더 나간이상 답은 없었지 않았을까요?
23/11/20 00:43
수정 아이콘
프랑스 침공은 방법상의 이견은 있어도 많은 지휘관들이 찬성했지만 소련 침공은 찬성하는 지휘관이 거의 없었다는데도 히틀러가 너무 독단을 부린 것 같습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3/11/19 23:08
수정 아이콘
독소전 미루고 그 지상군을 지중해 중동에 투입해 지브롤터 수에즈 다 따고 터키 협박해 끌어들이면 영국은 항복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다음에 쏘오련 치면 이길 수 있었어요. 스탈린이 선빵 이런 이야기나 하는 사람은 그냥 알못이니 무시하면 됩니다.
23/11/20 00:46
수정 아이콘
그런 방법도 있겠군요.. @@ 그런데 당시 소련이 동유럽국가들을 계속 장악해나가고 있었고 루마니아 독립보장 여부를 놓고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독소 관계가 굉장히 안 좋아지고 있었다고는 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904 [질문] 삼성역or역삼역 근처 외국인 친구 데려갈만한 곳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11] 데스티니차일드5780 23/12/08 5780
173903 [질문] 미국 11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어떻게 예상하세요? 피자치킨4701 23/12/08 4701
173901 [질문] 보통 공부하시는 방법이 어떻게 되시나요?? [8] 라리5644 23/12/08 5644
173900 [질문] 헤드폰 추천해주세요 드문5132 23/12/08 5132
173899 [질문] 축알못 epl 입문해보고 싶습니다 [11] Brisk5764 23/12/07 5764
173898 [질문] 갤23 FE 카메라는 별로인가요?? [6] EnergyFlow6216 23/12/07 6216
173897 [질문] 비행용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넷플 등) [10] 5647 23/12/07 5647
173896 [질문] 러닝 초보 질문입니다! [9] Coin_Toss5417 23/12/07 5417
173895 [질문] 나이 들면 혹은 결혼하면 하기 어려운 일 어떤 것이 있을지요...? [27] nexon7287 23/12/07 7287
173894 [질문] 영화를 찾아주세요. [8] 찬양자6290 23/12/07 6290
173893 [질문] 오른쪽 손목이 위로 꺽이면 약간 아픕니다 [8] 노래하는몽상가5643 23/12/07 5643
173892 [질문] 일본 오사카 3박4일 여행 예정입니다. [7] 꿈꾸는드래곤6102 23/12/07 6102
173891 [질문] 동승자 사고시 사고처리 방법 질문 [3] 대한민국육군병장5700 23/12/07 5700
173890 [질문] 골전도 무선 이어폰 배터리 용량 저하되면 버리는 건가요? [8] 어센틱5602 23/12/07 5602
173889 [삭제예정] 중고컴퓨터 선택 도움 부탁드립니다. [7] 손연재4146 23/12/07 4146
173887 [질문] 어쿠스틱 기타를 배워보려고 하는데요 [8] Fullsun4830 23/12/07 4830
173886 [질문] 자동차보험 공동인수관련 궁금한점들 꿀멀티5457 23/12/07 5457
173885 [질문] 서울시청 ~ 광화문 미들급 스시오마카세 추천해주세요 [4] Jane5251 23/12/07 5251
173884 [질문] 윈도11에서 갑자기 넷플릭스만 재생하면 화면이 나갑니다 [1] 호비브라운5651 23/12/07 5651
173883 [질문] 오전 한남대교 도로 통제에 대해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13] 독주5994 23/12/07 5994
173882 [질문] 보험점검전화 지겹게도 많이... [13] 해피시티5721 23/12/07 5721
173881 [질문] 디아 4 오류 질문 Love.of.Tears.5908 23/12/06 5908
173880 [질문] 영화/ 한드/ 일드 비슷한 작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짐바르도5749 23/12/06 57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