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4 00:13:50
Name 아이언맨
Subject [질문] $2,000 이상 해외결제를 하려고 합니다. 신용카드 추천해주세요. (수정됨)
안녕하세요.

내년에 미국 여행을 가는데 미리 공연 표를 예매하려고 합니다. 표 값이 $2,000 넘게 나오는데 혹시 이 정도 금액 결제시에 혜택 좋은 or 해외결제 수수료 저렴한 신용카드가 있을까요?

미국 여행 이후에는 거의 사용할 일은 없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14 01:48
수정 아이콘
진짜 딱 2천불만 결제하고 말 카드인지, 더 쓰실지 여부도 중요한데, 그냥 추가조건 없이 딱 저 금액만 썼을 때 3퍼센트 적립받아도 8만원 좀 안 될 거고, 거기서 브랜드수수료 (비자/아멕스) 고려하면 5만원대 초반까지 떨어지는데 보통 해외 무제한 3퍼센트 할인 카드들은 일반적으로 연회비가 좀 나가는 편이라서 저 금액 한 번 결제하고 버리기엔 좀 수지가 안 맞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해외혜택은 보통 라운지 끼는 경우가 많아서 연회비와 바우처 액면가 금액 차이가 3만원에서 5만원 이상도 차이가 나는 편이라서..

저 같으면 그냥 JCB카드가 브랜드수수료가 0이니까 비자 아멕스에 비해 1퍼센트 정도 세이브 하고 들어가고(이건 금액 무제한이니) 대충 월 '적립'한도 5만점이긴 한데 신한 하이포인트 JCB 하면 연회비 만원, 5만점 현금화 시 대략 5천원 정도의 손실 잡고 3만 5천점 정도 혜택 받는 것도 나을 것 같습니다. 단 265만원으로 월 한도 넉넉하게 채우다 보니 같은 달에 더 쓰면 쓸 수록 이론상 손해가 발생합니다.

더 나아가서 그냥 쓰시던 카드 쓰셔도 노력 대비 크게 차이 없으실 수도 있고,, 신한카드 기존 회원이시면 상관 없지만 만약 신규회원자격이시면 이참에 캐시백 이벤트 참여하시면서(캐시백이벤트 용 카드 발급) 하이포인트 만드셔서 캐시백 챙기시는 것도 가능하고.. 워낙 경우의 수가 많아서 뭐가 낫다 딱 골라서 말씀드리기가 쉽지는 않네요..
아이언맨
23/11/14 09:55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아마 여행 중에는 트래블월렛을 사용할 듯 하고 2000불만 한번 결제하고 말듯 하네요. 연회비가 있어서 생각보다 남는게(?) 별로 없군요.

다시 한번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23/11/14 11:12
수정 아이콘
KB카드쓰시면 해외 결제 이벤트같은거 있을텐데 그런건 미리 사전에 신청해야적용되더라구요. 어떤 카드사든 이벤트도 확인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610 [질문] 대체역사잘알소환글 - 국공내전에서 국민이 승리했다면? [15] HolyH2O2490 24/04/03 2490
175517 [질문] 만화를 찾습니다. [6] 어제내린비2818 24/03/27 2818
175458 [질문] 우리나라 전문직 중 해외 이민에 용이한게 어떤 게 있을까요? [10] No.99 AaronJudge2715 24/03/23 2715
175254 [질문] '일본은 한국과 가까워지지 않으려 한다'는 주장은 사실일까요? [11] 사람되고싶다2525 24/03/09 2525
175234 [질문] 아마존 고객센터에 이메일로 문의할 수 있나요? beloved1452 24/03/07 1452
175190 [질문] (진짜뻘글) 캡틴 아메리카가 러-우전쟁 참전하면 [32] Garnett212841 24/03/04 2841
175176 [질문] 북한이 미국 유럽급 저출산이라는게 말이 된다고 보시나요? [13] 보리야밥먹자3350 24/03/03 3350
175060 [질문] 혹시 사회초년생을 위한 기본경제강의같은거 있을까요? [6] 마지막처럼2815 24/02/24 2815
175046 [질문] 미국 자동차 스크래치 및 찌그러짐 보험처리 [2] 휵스2072 24/02/23 2072
174951 [질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코시엔3094 24/02/17 3094
174936 [질문] 미국인들도 한국인들만큼 개인주식투자가 활발한가요? [5] 보리야밥먹자4624 24/02/16 4624
174898 [질문] 미국 레지던트 앞에 붙은 Dr.가 박사인가요? [9] 앗흥4126 24/02/14 4126
174680 [삭제예정] 미국 경제 소프트랜딩 성공한 적이 있나요? [2] Cielo Sereno2943 24/01/30 2943
174624 [질문] 한우가 많이 수출되지 않는 이유는 공급이 적기 때문인지요...? [18] nexon5607 24/01/25 5607
174473 [질문] 경제력=군사력이 아닌가요?(feat. 러시아) [22] Garnett215619 24/01/15 5619
174410 [질문] k-매카시즘의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 [9] Keepmining5206 24/01/10 5206
174383 [질문] 한국의 전세제도는 다른 선진국에서 왜 하지 않나요? [40] 보리야밥먹자7221 24/01/09 7221
174357 [질문] 채권형 ETF의 매도물량은 누가 받아주는건가요? [5] 예루리5375 24/01/07 5375
174308 [질문] 미국지역 치안 관련 질문입니다. [5] 우주전쟁5185 24/01/03 5185
174198 [질문] 미국 일하러 가는 친형에게 도움이 될 선물이 있을까요? [6] 삭제됨5055 23/12/27 5055
174154 [질문] 다들 통근시간 얼마나 걸리시나요? [40] 칭찬합시다.6557 23/12/24 6557
174134 [질문] 미국 현지에 있는 사람에게 보낼 수 있는 온라인 선물(?) 같은 게 있을지요...? [9] nexon7816 23/12/23 7816
174035 [질문]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는 포경수술을 안 하는데 거부감 없는지요..? [5] nexon5743 23/12/16 5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