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3 15:48:13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여러분이 A 부부면 어떻게 알리실 건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벤틀리
23/11/13 15:50
수정 아이콘
저라면 따로 말씀드릴거 같습니다. 굳이 다같이 있는 자리에서 말해서 동생네에게 뻔히 예상되는 공격이 가게끔 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jjohny=쿠마
23/11/13 15:51
수정 아이콘
'꼭 손주 관련 얘기가 나온다'는 조건이 있다면, 임신 사실을 어떻게 알리는지는 크게 중요한 변수가 아닐 것 같습니다. 아마 부모님은 A 부부의 임신 사실을 가지고 반드시 한 번은 동생 부부에게도 임신을 종용하는 말을 갈 것 같습니다.

그래도 굳이 정하자면... 저라면 따로 얘기할 것 같습니다.
티오 플라토
23/11/13 15:54
수정 아이콘
저라면 따로 말씀드릴 것 같네요. (부모님에게 알리고 동생 부부에게도 따로 알리고)
다같이 있는곳에서 말한다 -> 모두가 있는 자리에서 부모님이 동생부부에게 뭐라고 할 가능성
따로 말한다 -> 부모님이 동생 부부에게 따로 뭐라고 할 가능성
동생 부부가 혼나든 말든 따로 이야기하는 것이 A부부 입장에서 덜 신경쓰이고, 동생 부부 입장에서도 따로 혼나는 게 더 마음편할 것 같습니다.
23/11/13 15:55
수정 아이콘
저라면 부모님과 동생부부에게 따로, 동시에 알릴 거 같습니다.
소이밀크러버
23/11/13 15:56
수정 아이콘
전화로 부모님께 따로 말하고 동생에게도 따로 말하면 되죠.

명절까지 미룰 일도 아니니까요.
23/11/13 15:57
수정 아이콘
저거 숨긴다고 모르나요 그냥 신경 안쓰고 되는대로 알릴 것 같습니다
23/11/13 15:59
수정 아이콘
일단 동생에게 따로 먼저 말하고 그다음 부모님께 말할거같네요
괜히 부모님께 먼저말했다가 동생이 모른상태에서 이러쿵저렁쿵할수있어서 문제생길수있으니...
아이가 생긴다는건 그것만으로 축복받을일인데 굳이 일을 안좋게 만들이유가 없어보입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3/11/13 16:07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
파고들어라
23/11/13 16:00
수정 아이콘
한 집에 사는게 아니라면 같이 있을 때 말할 필요가 있을까요?
매일매일 다 같이 만나면 굳이 따로 있을 때 말하는게 어색하겠지만...
부모님께 먼저 말함 -> 동생에게 알리기전에 부모님이 그 건으로 면박을 줌.
이 루트만 아니면 될거 같습니다.
겨울삼각형
23/11/13 16:03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23/11/13 16:04
수정 아이콘
일단 양쪽에 따로따로 알리는게 낫죠. 이걸 굳이 같이 있을 자리에서 알릴것까지야...
로하스
23/11/13 16:08
수정 아이콘
근데 저렇게 특별한 사유가 없는 경우라도 굳이
명절등으로 다 모였을때 임신 발표(?)하는 일은 잘 없지 않나요.
부모님 동생 각각 연락해서 좋은소식 전해주면 될거 같습니다.
23/11/13 16:08
수정 아이콘
따로 알리는게 머리쓰고 상처되는 일인가요? 잘 모르겠네요.
굳이 다 같이 있는 자리에서 말할 필요가 없어보이는데요.
23/11/13 16:19
수정 아이콘
뭐 잘못한 것도 아닌데 굳이 머리써야하는 일인가 싶지만
그래도 좀 미안한 일이 생길 것 같다면 동생부부한테 먼저 얘기해도 되긴 하죠.
'야 마음의 준비를 해라.'
근데 결국은 동생과 부모쪽이 알아서 할 일이죠. 동생쪽에서 다신 안올 수 도 있고..
강문계
23/11/13 16:26
수정 아이콘
왜 다 같이 있는 자리에서 먼저 말하려 하시는지요?
그래야하만 하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고민할 이유가 없는 문제인 것 같은데..
스토리북
23/11/13 16:27
수정 아이콘
저 같으면 따로 말할 것 같고요,

하지만 따로 말해도 어차피 모였을 때 결과는 똑같겠네요 ;
짐바르도
23/11/13 16:35
수정 아이콘
댓글 달아주신 게 생각이 제자리걸음하는 이유입니다 크크;
스토리북
23/11/13 16:48
수정 아이콘
그래도 동생부부가 "형이 날 배려해주는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고,
부모님이 한마디 하실 때 동생부부가 대답을 준비해 갈 수 있으니까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친동생은 아니지만 친한 친척동생부부가 딩크라... 고민이 와닿네요 크
23/11/13 16:47
수정 아이콘
이해가 안됩니다. 왜 같이 있을때 말을 하려고 하시는지요.
일단 동생분에게 이야기 하시고 부모님께 이야기 하시면 끝날일 아닌지요.
모를 수 없는건 맞는데 동생분쪽에서 준비하지 못할 다 같이 있는데서 알릴 이유가 뭘까요?
짐바르도
23/11/13 16:57
수정 아이콘
이해가 안 되시는 게 당연 그럴 수 있습니다.
이게... 동생 부부가 딩크가 된 과정에서 상처가 좀 있었어서
A 부부가 임신을 했다는 점. 임신을 해서 배려해볼려고 하는 움직임이 자칫 또 오해와 다른 상처가 될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자세히 나누기가 좀 그래서 뭉수리하게 썼습니다 ㅠ
23/11/13 17:12
수정 아이콘
딩크로 살아가기로 결심하셨다면 어떤 형태로든 지속적으로 부부B에 아이에 대해 거론될 겁니다.
하물며 사연이 있는 딩크라면 더욱더 상대방애 대처할 수 있게끔 상황을 마련해 드리는 것이 맞겠지요.
다 같이 있는곳에서 말하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어떠한 배려가 있을지 잘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Cazellnu
23/11/13 16:48
수정 아이콘
다같이 있는 자리에서만 말해야 할만큼 소식 왕래가 뜸하면 모르겠지만
전화 등으로 충분히 먼저 알릴수 있지 않나요
엘브로
23/11/13 16:54
수정 아이콘
따로따로 말하는게 당연히 맞습니다.
그리고 동생분에게는 딩크족으로 계속 맘 상하는것보다.
알겠다 노력하겠다 말하고, 이후에는 노력해도 안 생긴다는 방향으로 선회하는것이 어떤지 조언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 뒤로는 동생이 하기 나름이겠죠.
돔페리뇽
23/11/13 17:00
수정 아이콘
따로 말씀하시면 되죠~
어짜피 같이 있을때 또 딩크부부가 잔소리 듣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딩크 하기로 한 순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부모님 세대분들에게 계속 잔소리 듣습니다.
본인들이 알아서 적응해야되요...
23/11/13 1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전화로 이야기하지않나요?? 저같으면 부모님한테 임신사실 알리면서 동생네부부한테 잔소리해서 분위기이상해지면 산모한테 안좋다고 하고 우리 아이낳으면 동생네부부 생각도 바뀔수있다고 잔소리하지말라고 할듯요
23/11/13 17:07
수정 아이콘
따로 이야기를 하는게 맞고 동생먼저인지 부모님 먼저 인지는 몰라도 바로 이어서 말을 해줘야 됩니다.
위에도 나왔지만 딩크는 본인들 선택이고 이거에 따라서 잔소리 관리는 본인들이 해야됩니다.
23/11/13 17:09
수정 아이콘
같이 사는게 아닌 이상 알려도 되는 시기가 되었을 때 전화로 연락드리면 되죠. 서프라이즈 하고 만날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고요.
23/11/13 17:18
수정 아이콘
그냥 따로 연락합니다. 모였을때까지 기다려서 할 이유는 없으니까요.
너무 과하게 신경쓰시는거 같은데... 결국 부모님하고 동생 부부사이의 일이지 그런거까지 신경쓰실 이유는 없는거 같아요.
로즈엘
23/11/13 17:33
수정 아이콘
부모님 스타일마다 다른데, 안 좋은것만 아니면 그냥 바로 말하는게 웬만하면 좋은거 같습니다.
동생 부부에게 영향 가는거 어떻게 해도 큰 차이 없을테고. 이걸로 작은 다툼 없어도 다른 건으로 생길껄요.
짐바르도
23/11/13 17:43
수정 아이콘
답변 남겨주김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922 [질문] 이거 그래픽카드 죽었다고 봐야할까요? [5] 김유라5696 23/12/09 5696
173921 [질문] 컴퓨터 간헐적인 0.5초 프리징현상 ssd문제가 맞을까요? [5] Ahri5716 23/12/09 5716
173920 [질문] 결혼식 맞춤정장 질문 있습니다. [6] 크음5515 23/12/09 5515
173919 [질문] 시간관리 어떻게 하세요? [6] 어센틱5239 23/12/09 5239
173918 [질문] 뜨거운물이 지속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보일러 문제일까요?? [5] 이민들레5785 23/12/09 5785
173917 [질문] 친한 친구 결혼식 못 갈때 다른 친구 부탁? 계좌? [9] 휵스6009 23/12/09 6009
173916 [질문] 세종 과학기지/장보고 과학기지 갔다오신 분 계신가요? [5] 가위바위보5766 23/12/09 5766
173915 [질문] 발더스게이트3 PC VS PS5 [11] 묘이 미나 8171 23/12/08 8171
173914 [질문] 피싱문자에 당해버렸습니다.아직 피해는 없는 상태인데 대처를 어떻게해야하나요? [10] Infrapsionic6459 23/12/08 6459
173913 [질문] 비스듬히 찍은 사진 반듯하게 펴주는 앱있나요? [9] cald5508 23/12/08 5508
173912 [질문] 발더스게이트3에서 계속 누르면 로딩하다가 꺼집니다 [5] 리듬파워근성5203 23/12/08 5203
173911 [질문] 네이버 아이디 해킹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건가요? [4] This-Plus6017 23/12/08 6017
173910 [질문] 유튜브 뮤직 대체 음악서비스 있을까요? [5] beloved6030 23/12/08 6030
173909 [질문] 건강보험 / 산재보험 지로 고지서 관련해 여쭙습니다. [1] 이화4851 23/12/08 4851
173908 [질문] 60대 여성 백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모찌피치모찌피치5183 23/12/08 5183
173907 [질문] 음식물 쓰레기 냉장고 쓰시는 부들 계신가요? [3] 웅즈5365 23/12/08 5365
173906 [질문] 기역,니은..을 단어화 한게 있을까요? [6] 방구차야5741 23/12/08 5741
173904 [질문] 삼성역or역삼역 근처 외국인 친구 데려갈만한 곳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11] 데스티니차일드5851 23/12/08 5851
173903 [질문] 미국 11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어떻게 예상하세요? 피자치킨4729 23/12/08 4729
173901 [질문] 보통 공부하시는 방법이 어떻게 되시나요?? [8] 라리5707 23/12/08 5707
173900 [질문] 헤드폰 추천해주세요 드문5207 23/12/08 5207
173899 [질문] 축알못 epl 입문해보고 싶습니다 [11] Brisk5828 23/12/07 5828
173898 [질문] 갤23 FE 카메라는 별로인가요?? [6] EnergyFlow6283 23/12/07 62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