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3 10:08:41
Name 앗흥
Subject [질문] 웨이트 후 근육통 오래가는 건 뭐가 문제일까요
웨이트 트레이닝 후 근육통이 특히 더 오래가는 사람은 뭘 챙겨야 할까요?
잘 먹고 잘 자고 이런 너무나 당연한 거 외에 신경 쓰면 좋을 게 있을까요?

마른 몸으로 살 찌우려고 예전에 웨이트를 했던 적이 있는데 남들보다 근육통 회복이 더뎌서 고생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남들보다 유난히 회복이 더디니까 운동 스케줄 짜기가 되게 난감하더라고요. 추천 루틴 같은 것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디 제대로 조지면 회복되는 데 일주일이 넘게 걸렸던 거 같습니다.
단백질 양 계산하면서 하루에 여섯 끼 먹었으니까 먹는 게 부실했을 것 같진 않은데...
수면이 부족하긴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앵글로색슨족
23/11/13 10:11
수정 아이콘
안쓰던 근육 사용하게되면 지연성 근육통인가 뭐시기가 올 가능성이 높긴 한 것 같더라고요
같은부위를 지속적으로 조지면 그 근육통 기간이 줄어드는건 맞는 것 같고
티바로우
23/11/13 10:20
수정 아이콘
근육통이 확실한거면 그냥 난 남들보다 헬스장 덜가도 된다~ 개꿀~ 외치면서 쉬시면 될것같은데요 크크
근육통이 아니거나 상부승모같은데가 아픈경우가 문제지
저번에 마사지 받으면서 마사지사한테 듣기로는, 마사지 꾸준히 주기적으로 받으면 빨리 풀린다곤 하더라고요
(그냥 어쩌다 한번 받는건 오히려 더 아플수도 있다고...)
돔페리뇽
23/11/13 10:31
수정 아이콘
DOMS
반복하면 점점 짧아진다, 끝나고 스트레칭해라, 단백질 잘 챙겨먹어라 등등 여러 조언이 있지만
결론은 회복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23/11/13 10:31
수정 아이콘
일단 잠부터 푹 주무시고, 초보자는 일단 많이 가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운동 강도를 좀 낮추는 방향으로 진행하시죠!
23/11/13 10:38
수정 아이콘
아기 둘 키우느라 도저히 수면을 늘릴 수가 없습니다. 엉엉...
근데 아기 키우느라 체력이 후달리는 걸 느껴서 운동을 해야겠는데, 휴식이 제대로 안 되니 또 문제가 되고.........
돔페리뇽
23/11/13 10:43
수정 아이콘
4~5 분할 하세요
회복 안되면 상황에 맞춰서 해야죠 뭐.....
23/11/13 10:46
수정 아이콘
체력을 키우고 싶으시다면 근력운동 보다는 유산소를 하시는게 더 적합할거예요. 지친몸에 근력운동하면 다치고 역효과납니다..; 애초에 근력운동 자체가 몸에 부하를 회복하는건데요... 회복이 안되면 그냥 노동입니다 노동
23/11/13 10:44
수정 아이콘
그냥 초보자라서 그렇습니다. 저중량 고반복으로 무분할로 가보세요. 매일 or 주 3~5회 하시면 근육통 오는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저강도라서 그정도로 심각한 근육통이 오지도 않습니다. 횟수와 중량이 충분히 오르면 그때부터 분할하시면 됩니다.
23/11/13 10: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처음 하면 근육통 5일 6일 가는게 당연한건데 근육통 있어도 가벼운 강도로 같은 부위 하시고
꾸준히 하시면 강도 확 올리지 않는 이상 근육통 안옵니다.

사람마다 회복력이 다른것을 체험할려면 몸 대비 최상위 수준의 강도를 정기적으로 조졌을때
버텨내는 사람과 못 버텨내는 사람이 있는거지 초보자 수준에서는 그런거 없...

초보자는 프로그램 따라하시면 안되고 몸 푼다는 느낌으로 저 중량 고반복으로 3-6달 체력 키워서
프로그램 따라갈만한 기초체력 만드시고 하셔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923 [질문] 사진에 보이는 교토의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 있을까요? [11] EY5652 23/12/09 5652
173922 [질문] 이거 그래픽카드 죽었다고 봐야할까요? [5] 김유라5696 23/12/09 5696
173921 [질문] 컴퓨터 간헐적인 0.5초 프리징현상 ssd문제가 맞을까요? [5] Ahri5716 23/12/09 5716
173920 [질문] 결혼식 맞춤정장 질문 있습니다. [6] 크음5515 23/12/09 5515
173919 [질문] 시간관리 어떻게 하세요? [6] 어센틱5239 23/12/09 5239
173918 [질문] 뜨거운물이 지속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보일러 문제일까요?? [5] 이민들레5785 23/12/09 5785
173917 [질문] 친한 친구 결혼식 못 갈때 다른 친구 부탁? 계좌? [9] 휵스6010 23/12/09 6010
173916 [질문] 세종 과학기지/장보고 과학기지 갔다오신 분 계신가요? [5] 가위바위보5767 23/12/09 5767
173915 [질문] 발더스게이트3 PC VS PS5 [11] 묘이 미나 8171 23/12/08 8171
173914 [질문] 피싱문자에 당해버렸습니다.아직 피해는 없는 상태인데 대처를 어떻게해야하나요? [10] Infrapsionic6459 23/12/08 6459
173913 [질문] 비스듬히 찍은 사진 반듯하게 펴주는 앱있나요? [9] cald5508 23/12/08 5508
173912 [질문] 발더스게이트3에서 계속 누르면 로딩하다가 꺼집니다 [5] 리듬파워근성5203 23/12/08 5203
173911 [질문] 네이버 아이디 해킹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건가요? [4] This-Plus6017 23/12/08 6017
173910 [질문] 유튜브 뮤직 대체 음악서비스 있을까요? [5] beloved6030 23/12/08 6030
173909 [질문] 건강보험 / 산재보험 지로 고지서 관련해 여쭙습니다. [1] 이화4852 23/12/08 4852
173908 [질문] 60대 여성 백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모찌피치모찌피치5183 23/12/08 5183
173907 [질문] 음식물 쓰레기 냉장고 쓰시는 부들 계신가요? [3] 웅즈5365 23/12/08 5365
173906 [질문] 기역,니은..을 단어화 한게 있을까요? [6] 방구차야5741 23/12/08 5741
173904 [질문] 삼성역or역삼역 근처 외국인 친구 데려갈만한 곳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11] 데스티니차일드5851 23/12/08 5851
173903 [질문] 미국 11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어떻게 예상하세요? 피자치킨4729 23/12/08 4729
173901 [질문] 보통 공부하시는 방법이 어떻게 되시나요?? [8] 라리5707 23/12/08 5707
173900 [질문] 헤드폰 추천해주세요 드문5207 23/12/08 5207
173899 [질문] 축알못 epl 입문해보고 싶습니다 [11] Brisk5828 23/12/07 58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