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05 17:47:02
Name 꽃보단노인
Subject [질문] 이번 정책(부동산)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부린이여서 이번 정책 관련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미리 말씀드리면 저는 디딤돌대출이 가능한 가구이며, 부동산에서 우선으로 연락주셔서 원하는 가격에 집 매매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싼곳도 아니고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초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어제 뉴스보면서 들은 생각인데..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역전세 관련 대출은 세입자 보호면도 있지만, 집주인의 또 다른 갭투자를 가능할 것 같고

이러한 이유가 대출로 이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대출이 가능하고 매도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정부에서 말하는 완만한 우하향 보다 오히려 가격을 올리는 정책 같은데(매매 관련 실거래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겼습니다!

부동산을 잘 몰라서 여러 의견을 듣고 싶어서 남긴 글이고 폭락론자, 폭등론자는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05 18:53
수정 아이콘
점심 먹다가 뉴스가 나와서 팀원들과 이야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아니지만 6명은 모두 집값 올리는 정책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3/07/05 19:16
수정 아이콘
정책의 목적이 세입자의 보증금을 인질삼고 있는 임대인들한테 호흡기를 달아줘 깡통전세 피해자들을 양산하지 않기 위한건데
지금당장 집값을 폭등시키진 않을거에요.
그런데 집값 상승기가 도래할경우 집값폭등의 장작중 하나가 되겠죠.
셧업말포이
23/07/05 19:52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당분간 상승 분위기가 오지 않을 거기 때문에
안팔고 버틸 수 있다는 거지, 이걸 오르는 신호라고 생각하면 안될 겁니다.
대세 상승장은 이번 정권에서는 안 올거라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05 19:58
수정 아이콘
집값 방어죠. 같은 말이지만, 떨어질 집값을 올린다도 맞다 보고요...
꿀깅이
23/07/05 20:16
수정 아이콘
역전세 관련 대출을 해주는 것 자체가 시장의 분위기를 암시한다고 생각하고 큰거 온다고 생각합니다
(하락론자 아님!!)
하아아아암
23/07/05 21:46
수정 아이콘
올린다기보단 내리는걸 막아주는?
NoGainNoPain
23/07/05 22:20
수정 아이콘
만약에 원하는 지역의 주택매매에 관심있으신 거라면 대세상승이니 대세하락이니 하면서 거시경제 차원에서 논하는 말들은 싹 흘려버리셔야 합니다.
대세상승장 대세하락장은 평균 차원에서 이야기하는 거지, 그게 내 관심지역이 오르고 있고 내리고 있다라는 것을 이야기해 주는 건 아닙니다.
매매 타이밍을 잡으려면 내 관심지역의 시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현재 매수매도 분위기는 어떤지 직접 임장 돌아다니면서 확인하는게 젤 정확합니다.
임장이 어렵다면 각 지역 부동산 카페에서 올리는 기사나 통계자료들을 보는 게 맞구요.
꿈트리
23/07/06 09:45
수정 아이콘
총선까지는 어떻게든 집값 방어하겠다는 정책이죠.
FED가 올해까지 금리를 내리지 않기때문에 계속 혼조세일거라 봅니다. (한국은행도 금리 못내리죠. 불경기인데도 불구하고...)
23/07/06 11:34
수정 아이콘
상승기에는 올리는데 큰기여를 하겠죠. 다만 지금은 올리려한다보다 방어하려한다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추가로 적어보면 절대 인터넷과 주변의 얘기들에 휘둘리지마세요. 그 쉬운 아파트도 잘모르는 사람이 부지기수입니다. 하물며 빌라나 오피스텔로 넘어가면 더 심하죠.
꽃보단노인
23/07/06 14:43
수정 아이콘
다들 여러 좋은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524 [질문] 신간 도서 같은건 어떻게 골라서 읽으시나요? [10] 이리세4859 23/07/08 4859
171523 [질문] 문고리 문제좀 도와주세여 [6] 집돌이6537 23/07/08 6537
171522 [질문] 고전게임 찾습니다~ [2] 1235561 23/07/08 5561
171521 [질문] 해당영상에 나오는 BGM 찾습니다. 길버그5696 23/07/08 5696
171520 [질문] 고전 오락실 게임을 찾습니다 [4] 던멜6338 23/07/08 6338
171519 [질문] TV 구입 질문 드립니다. [2] Lewis5507 23/07/08 5507
171518 [질문] 도쟁이에 속는 사람 도와주시나요? [9] 무한도전의삶5776 23/07/08 5776
171517 [질문] 새로 컴퓨터를 구입했습니다. P31로 하드를 교체해도 될까요? [6] 챨스6989 23/07/08 6989
171515 [질문] (롤) 솔랭은 이길떄는 왜 적게 주고 질떄는 더 많이 깎나요 [8] 원장5623 23/07/08 5623
171514 [질문] 다들 치아에 크라운이나 레진같은거 서너개씩은 있으신가요? [17] 데비루쥐6940 23/07/08 6940
171513 [질문] 홍대역 9번 출구에서 뽑기 들이미는 남자들 정체가 뭘까요? [6] 무한도전의삶7930 23/07/07 7930
171512 [질문] 안드로이드 지금 폰을 사면 S23이 최선인가요? [29] 1028218 23/07/07 8218
171510 [질문] 서울 만화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향기나는사람6148 23/07/07 6148
171509 [질문] 노트북에 장착된 그래픽카드 시리즈는 자동차로 비유하면 어떤게 맞나요?? [4] 잘가라장동건7116 23/07/07 7116
171508 [질문] 삼성가에서 이병철 회장 형제 가계도 관리하나요? [4] OcularImplants7183 23/07/07 7183
171507 [질문] 로블록스 실행 가능한 사양이... [2] 월터화이트6163 23/07/07 6163
171506 [질문] 초등학생이 할 닌텐도 스위치 타이틀 추천 [28] bonk38892 23/07/07 8892
171505 [질문] 육아시 가사도우미 이모님 어디서 모시나요? [14] Alcohol bear8097 23/07/06 8097
171504 [질문] 떡볶이에 양배추를 넣는 이유가 뭘까요? [25] 원장9212 23/07/06 9212
171503 [질문] 음식물이 소화기관에 머무는 시간은 일정한지요...? [10] nexon8117 23/07/06 8117
171502 [질문] 턴제 게임 좀 해보신 분들, 풍화설월은 어느정도의 재미일까요? [12] 코기토6417 23/07/06 6417
171501 [질문] Fan설계에 대해 공부하려합니다 나이스후니5781 23/07/06 5781
171500 [질문] 스팀에서 게임 구매후 실행 안되면 환불이 가능한가요? [5] 노래하는몽상가6742 23/07/06 67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