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7 07:56:44
Name Bard3567
Subject [질문] (역사/경제)근세 스페인 제국의 부채에 대해서
16~17세기 스페인 제국은 신대륙 개척으로 많은 부를 얻었지만 최초로 거대한 인플레를 맞고 부채를 떠안으면서 제국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고 하던데요.

여러 칼럼을 찾아보니 1560년에 380만 두카트였던 국가채무가 1667년에는 900만 두카트로 차입금이 정부수입의 10년치 였다고 하고

그 이전에도 파산을 4번이나 연달아 했음을 보면

자본주의가 막 태동되어 엉성하게 빈틈이 많던 시대이며 거대한 체급으로 리스크를 버텨내던 나라라도

이자총액이 원금을 초월하는 재정상태에서 파산이 반복되도 부채가 탕감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변제가 요구되는 상황이면 부채가 시대를 넘어 계승될수도 있었는데 스페인은 이 고리를 어떻게 끊어냈을까요? 그리고 근대나 현대로 넘어오면서까지 이 부채가 나비효과로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들이 있나요?

역사들을 읽다보면 스페인 제국의 몰락이란 말은 나오는데, 그 몰락에 빚이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후대에는 어떻게 해소가 되었는지는 자세히 나오지 않아서 타고 타고 찾아보다가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관련한 책이나 링크를 알려주실수 있는 분이 있을까요?

딱히 이런 진지한데 실용적이지 않은 질문을 할 사이트를 못 찾아서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7 09:45
수정 아이콘
부채 탕감은 당연히 자주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독일이나 제노바의 은행 가문 여럿이 골로 가기도 했고, 신대륙에서 오는 막대한 부는 결코 적은 규모는 아니었습니다만, 제국 전체 재정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라 스페인 세수의 대부분을 감당해야 했던 카스티야 지역의 민심 이반이 심각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스페인도 세금을 올리고, 빚 탕감을 위한 기금을 확보하고, 고리 단기채를 저리 장기채로 강제 전환하는 등 여러 수를 써봤지만 결국 스페인이 완전 골로 갈 때까지 채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해서..
근데 이런 채무불이행은 딱히 스페인만의 문제는 아니었고, 유럽 국가에선 생각보다 자주 벌어지는 일이었습니다. 은행과 왕실은 단순한 채권자-채무자의 관계는 아니었고, 정치적 사업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파트너 관계였기 때문에(때로는 갑-을) 재정이 좀 어렵다 싶으면 일단 은행 이자 지급부터 미루는 건 생각보다 자주 있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스페인처럼 웅장한 규모로 배를 째는 건 아니었지만요.

펠리페2세 시절의 재정과 파산의 역사는 웬만한 스페인사 책에서는 대부분 다루고 있는 내용이니 스페인 역사책 아무거나 사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Bard3567
23/06/27 12:21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446 [질문] 터치스크린 노트북 화면 줄 문제 스핔스핔5958 23/07/03 5958
171445 [삭제예정] SSF샵 가입 추천인 한분 모셔요 [2] No.105894 23/07/03 5894
171444 [질문] 양평/홍천 일대 키즈펜션 추천해주세요~~ Restar5861 23/07/03 5861
171443 [질문] 30대 후반 여성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kunkun7113 23/07/03 7113
171442 [질문] 은행계좌 입출금 내역 조회 대리인이 가능한가요? [6] luvsic7505 23/07/03 7505
171441 [질문] 배꼽 아래 경련 [1] 소꿉5534 23/07/03 5534
171440 [질문] 불판창 띄우고 영상 시청시 영상이 버벅대는 분 없으신가요? [2] 로크4718 23/07/03 4718
171439 [질문] 울릉도 여행 맛집 혹은 가볼곳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태바리5298 23/07/03 5298
171438 [삭제예정] (매우초보)부동산 대출 문의입니다 [5] wiggle5877 23/07/03 5877
171437 [질문] 운동할 때 뭐 들으세요? [17] 농심너구리7330 23/07/03 7330
171436 [질문] 출퇴근 거리 왕복 3시간 할만할까요? [48] 이쥴레이9311 23/07/03 9311
171435 [질문] 일본어 기초 'な’형용사 취급하는'い’형용사질문입니다 [10] 한지민짱5613 23/07/03 5613
171434 [질문] 결혼할 때, 배우자의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보셨나요? [42] 벤자민비올레이7518 23/07/02 7518
171433 [질문] 혹시 더위가 지금이 절정에 가까운가요? [22] This-Plus7703 23/07/02 7703
171432 [삭제예정] [연애] 전 여친은 왜 연애중인 저한테 축하한다며 연락을 했을까요? [21] 삭제됨7440 23/07/02 7440
171431 [질문]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보는 곳 아시는 분? [18] 실제상황입니다5748 23/07/02 5748
171430 [질문] 롤토체스 질문입니다. [3] 로스5291 23/07/02 5291
171429 [삭제예정] 알약이나 캡슐로 된 락토프리 단백질 제품 [8] 삭제됨5824 23/07/02 5824
171428 [질문] 달리기 할 100m 거리 재는 방법이 있을까요? [4] 알렉스터너6965 23/07/02 6965
171427 [질문] i5 8400에서 라이젠 7600으로 올라가면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4] 쥬리6213 23/07/02 6213
171426 [질문] gta5 랑 레데리2 [18] 닉넴길이제한8자5955 23/07/02 5955
171425 [질문] 컴퓨터 13700k vs 5600x 차이가 많이 날까요? [9] 니플6429 23/07/02 6429
171424 [질문] 키오스크 도입 관련 질문입니다. 네오크로우6144 23/07/02 61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