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4 21:58:15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한국은 왜 아직도 이민자 및 외노자를 띄워주는 영화나 드라마를 만들지 않을까요?
미국도 디즈니부터 시작해서 대중문화계 자체가 pc주의가 점점 심해지면서 흑인과 히스패닉들을 잔뜩 띄워주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한국도 비슷한 시류를 타는게 정상아닐까요?

예를 들면 여태껏 소수자인 화교 및 조선족, 서남아 및 동남아 출신 이민자 및 외노자들을 띄워주는 작품들을 많이 만드는거죠

출산율은 미국보다 훨씬 낮고 다문화되는 속도는 훨씬 빨라서 그 시류가 더 심화될거 같은데 아직까지 그런모습은 안나오네요

이유가 뭘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4 22:02
수정 아이콘
누가 보나요. 이민자 외노자들 단체관람요?
보리야밥먹자
23/06/24 22:05
수정 아이콘
그럼 디즈니도 블랙펜서 흑어공주 이런걸 국내외 흑인들이나 보라고 만들었을까요?
23/06/24 22:25
수정 아이콘
네..
티아라멘츠
23/06/25 00:09
수정 아이콘
퍼블레인
23/06/25 09:31
수정 아이콘
정유미
23/06/25 12:00
수정 아이콘
진짜 몰라서 묻는 건가요
23/06/24 22:04
수정 아이콘
대중문화는 철저하게 소비층을 중심으로 돌아가기 마련인데 한국 사회에서 그들은 주류도 아니고 다수도 아니니까요.
미국 사회에서 유색 인종은 이미 사회에서 다수고 주류에도 많이 진출해 있으니 그 쪽 위주의 대중문화가 많이 소비되는 것이 이상하지 않구요.
TV가 40-60대 위주로 돌아가는 이유는 TV 시청층이 그 쪽이기 때문이고, 인터넷 문화가 10~30대 위주로 돌아가는 건 주 이용 계층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이민자가 기존 한국인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유의미하게 다수라고 할 수 있는 계층은 없죠.
스위치 메이커
23/06/24 22:09
수정 아이콘
미국내 흑인 인구가 25%입니다. 한국 내 외국인을 다 더해도 5%에 못 미치죠

산술적으로 계산해봐도 주 소비층이 아닐 뿐이구요.

그래도 완득이 같은 영화도 있고, 오징어게임이나 여타 드라마에 다인종 캐릭터들이 나오고 있는 추세죠.
도들도들
23/06/24 23:18
수정 아이콘
미국 내 흑인 비율은 12~13% 입니다.
네이버후드
23/06/24 22:20
수정 아이콘
왜 만들어야 하나요 ??
에이치블루
23/06/24 2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23/06/25 00:09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 보고, 작성글을 보니 납득을 했습니다.
그리고. . . 설마 AI 가 학습을 위한 계정인가? 싶을 정도의 수상한 의심이 들기 시작헀습니다.
요즘은 뭐가 잘못된건지 말하는 순간, 이미 상대가 그걸 알아차리고 대응을 하기 떄문에, 그러한 근거는 적지는 않을겁니다. 크크
23/06/24 22:24
수정 아이콘
외노자 이미지가 개차반이라 돈이 안됩니다.
23/06/24 22:28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서 봤던 내용인데 저런 pc류는 대부분 백인이 소비자라고 하던데요.
우리는 흑인을 주인공으로 쓸만큼 관대하다 이런 느낌을 얻으려고 한다고...
대신 너무 오버하면 백인들도 안보니까 적당히 해야된다고...
슈카에서 봤던 내용인데 미국의 팁문화도 비슷했습니다.
노동자는 팁받아서 좋고 소비자는 좋은 서비스와 우쭐함을 느낄수 있어서 좋고...
23/06/24 22:46
수정 아이콘
왜 우리가 그 시류를 타야한다는 결론이 도출된건지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회색사과
23/06/24 23:10
수정 아이콘
소비자가 있어야죠 크크

미국에서 그 시류를 타는 사람이라면

1. Pc 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 (흑인/여자 를 포함한 소수자들)
+ 2. 해당 pc 를 지지하는 사람들 (혹은 해당 pc를 지지하고 깨인 것 같은 이미지를 갖고 싶은 사람들)

일텐데…

한국은 1/2 둘 다 없죠
그말싫
23/06/25 00:22
수정 아이콘
이민자, 외노자가 한국 사회 주류로 전혀 스며들지 않았으니까 차이가 크죠.
미국도 아직 흑인 범죄율이 최고고 교육 수준, 소위 민도도 평균적으로 최하 수준이지만, 그래도 흑인 대통령도 나왔고 정치, 법조, 의료, 각종 학계 등 소위 사회 주류, 지배 계층에 흑인, 히스패닉이 수십 수백만명은 있습니다.
한국의 현황과 차이가 너무 크죠.
질소반과자반
23/06/25 00:41
수정 아이콘
미국과 한국의 인구 삳황 자체가 다르죠. 한국의 이민자와 외노자 vs 미국의 이민지와 외노자 라고 했을때 소비층의 공감을 이끌수 있는 건
절대적으로 미국이죠. 미국은 이민으로 시작한 나라이고 다양한 민족들과 인종들로 구성되어 있는 국가니깐요.

미국이 그렇게 시작한다고 서양이 그렇다고 해서 꼭 따라가야 할 필요성은 없다고 보여집니다.
키모이맨
23/06/25 01:51
수정 아이콘
어..그냥 너무 간단한이유인데 돈이 안되니까요;

소비할 사람이 없습니다
미국은 전 세대 다 합쳐도 백인비율이 60%, 07년생 이후 세대는 백인비율이 50%이에요
흑인 히스패닉 아시안 원주민 등등 합치면 4~50%에 육박한다는 소리입니다
한국은 화교 조선족 외노자 거주외국인등등 싹다긁어모아도 10%도 안될걸요
23/06/25 03:57
수정 아이콘
헐리우드에서 백인 외 인종(흑인/동양인 등등)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가 많아지는게 단순 'PC주의' 때문이라 생각하면 안됩니다...
블랙잭
23/06/25 07:03
수정 아이콘
PC 는 그냥 듣기 좋으라고 하는거고 실제로는 돈이 되니까 하는거죠. 신념 이런거 아니에요..
백인들 대상으로는 포화 상태라 흑인에 히스패닉 돈 땡겨올라고 하는겁니다. 우리도 소수자가 돈이 되면 할겁니다.
Valorant
23/06/25 08:50
수정 아이콘
그걸 돈주고 볼 사람이 아직은 적은가봐요.
리얼월드
23/06/25 12:05
수정 아이콘
돈이 안되니깐
아스날
23/06/25 12:13
수정 아이콘
투자자는 자선사업가가 아니니까?
카바라스
23/06/25 13:28
수정 아이콘
지금 조선족에 대한 취급을 보고서도 그런소리가 나오십니까.. 동남아나 중국인에 대한 취급은 그 이하고요
23/06/25 14:01
수정 아이콘
뭔가 질문이 이상하면 작성글 검색하고 지나가면 되는데 다들 매번 지나치지 않고 낚여주니까 항상 뿌듯할 것 같습니다
23/06/25 15:29
수정 아이콘
인터넷 좀 그만하세요...
남행자
23/06/25 17:43
수정 아이콘
이름으로 검색
23/06/25 18:00
수정 아이콘
거기를 대상으로 하는게 장사가 되면 하겠죠.
미국 인구 기준이면 3억으로 보고 흑인 10%면 3천만명에 한 33% 본다고 치고 1천만명 타겟으로면 만들만 하죠.
개인적으로 페미가 PC로 확장된 이유가 페미로 싸우면 쪽수가 딸리는데
PC라고 라벨 달고 쪽수 늘려서 장사하기 쉬워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3/06/27 15:0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그대신 여성으로 나눠서 그런시도를 한적들이 있죠. 우리나라 체급수준에선 파이가 저정도 지분은 되야 돈이 될까 여부를 따지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485 [질문] 야알못의 야구 질문 4번 vs 3번 [19] 海納百川6996 23/07/05 6996
171416 [질문] 미국 팁문화에 대해 궁금한 점.. [9] 나혼자만레벨업7388 23/07/01 7388
171405 [질문] 영어 문장 해석 질문입니다. [4] 아찌빠6163 23/06/30 6163
171317 [질문] 한국은 왜 아직도 이민자 및 외노자를 띄워주는 영화나 드라마를 만들지 않을까요? [30] 보리야밥먹자9431 23/06/24 9431
171233 [질문] 아이폰 구매 조언/투표 해주세요.. [5] 리얼월드6656 23/06/19 6656
171229 [질문] 직구 배송지 주소가 없어 반송 받아보신분 있나요 [10] 늅늅이5327 23/06/19 5327
171200 [질문]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팩스/플로피디스크를 종종 사용하는지요...? [6] nexon6071 23/06/18 6071
171172 [질문] 몸캠... 피싱범에게 장난을 좀 쳤는데 저 처벌 받나요!? [16] 골드쉽8585 23/06/16 8585
171151 [질문] 미국에서 아이폰 사면 텍스프리 되나요? [4] 리얼월드8961 23/06/15 8961
171079 [질문] 20세기초 미국 생산량 vs 21세기초 중국생산량 [4] VictoryFood6821 23/06/09 6821
170963 [질문] 한국에서 미국 애플스토어 픽업주문할수있나요? mcu4513 23/06/03 4513
170806 [질문] 해외as 관세관련 문의드립니다 [2] O4753 23/05/25 4753
170739 [질문] 피잘 노래박사님들 노래좀 찾아주세요 [6] Liberal5744 23/05/21 5744
170539 [질문] (혹여라도) 미래에 (해외)주식매도 양도세 강화 or 보유세 부과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5] 난할수있다5874 23/05/09 5874
170374 [질문] 아이젠하워에 대한 평가가 안좋은가요? [8] 쿨럭6227 23/04/30 6227
170303 [질문] 닌텐도 계정 잔액 없애는 방법 없을까요? [4] 귀여운호랑이6697 23/04/26 6697
170267 [질문] 서울 도전먹방 음식점 추천 부탁드려요 [10] Nano8334 23/04/24 8334
170071 [질문] 미국과 유럽의 문화에서도 결혼유무를 묻는 건 무례한 건가요? [11] 상록일기8769 23/04/12 8769
169978 [질문] 비행기에 인슐린 갖고 타도 될까요? [6] 정유미8126 23/04/07 8126
169748 [질문] 연금저축펀드계좌에서 개별 주식 종목도 살 수 있는지요? [3] nexon8684 23/03/26 8684
169686 [질문] 에어프레미아 탈만 한지요? [7] 성야무인7694 23/03/21 7694
169637 [질문] 시가총액과 주가지수가 차이가 나는 까닭? [4] 상록일기7771 23/03/19 7771
169620 [질문] 미국에서 새 차를 사려고 하는데 따로 좋은 시기가 있을까요? [3] 휵스5466 23/03/18 54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