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3 18:41:25
Name
Subject [질문] 우발적 살인의 인정범위?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와 뉴스를 보다가 우발적 살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됐는데요. 어느쪽 의견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케이스는 범죄자가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른 후 자신의 죄에 대한 두려움으로 시체를 은닉을 했을경우입니다.

1. 우발적 살인을 저지른 후 범죄사실을 감추기 위해 시신을 은닉하는 경우는 더이상 우발적 살인이라 볼 수 없다. 우발적 살인이라는 주장이 성립되려면 범죄자가 범죄 후 즉시 자백 행위를 해야한다.

2. 살인과 은닉은 각각 봐야한다. 우발적 살인에 은닉죄가 추가 되는 것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현종
23/06/23 18:43
수정 아이콘
우발적이라는 것은 계획적과 반대되는 개념 아닌가요?
은닉하고는 무관한 것 같습니다.
리얼월드
23/06/23 18:45
수정 아이콘
우발적 살인 <-> 계획적 살인
시체은닉은 별개의 사건
인생을살아주세요
23/06/23 18:54
수정 아이콘
은닉했다 해도 애초에 살해 의도가 없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전 2번이요
Lord Be Goja
23/06/23 18:56
수정 아이콘
은닉을 해서 계획적살인이 되려면 은식수단이나 은닉처준비/탐사를 살인전에 미리 해놓았다는 증거가 있어야할거같습니다
23/06/23 19:12
수정 아이콘
살인과 사체은닉(형법상 명칭은 시체은닉이 아니고 사체은닉입니다)은 당연히 별개의 범죄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사체를 은닉했다고 해서 무조건 계획적 살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체은닉 행위는 살인행위의 은폐수단에 해당합니다. 다만, 살인행위가 있기 전에 미리 사체를 은닉할 준비를 갖춘 것으로 드러난다면 우발적 살인이라는 주장이 받아들여지기 어렵고 계획적 살인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며 양형에 반영될 것입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살인죄와 사체은닉죄는 별개의 범죄가 됩니다.
23/06/23 19:30
수정 아이콘
살인 이전에 미리 은닉할 장소를 방문했다던가, 은닉을 들키지 않기 위한 동선을 계획했다던가 하는게 아니라면 사체은닉은 해도 살인은 우발적일 수 있죠.
단비아빠
23/06/23 21: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과실치사가 아닌 우발적 살인이라.. 그냥 욱해서 죽였다는걸까요?
대개는 과실치사를 먼저 주장할 것 같습니다...
도들도들
23/06/24 05:07
수정 아이콘
살인에서 고의의 정도를 나누는 것은 영미법의 전통입니다. 영미법에서는 계획적 살인(모살)과 우발적 살인(고살)을 별도의 범죄로 보고 형도 다릅니다만, 한국에서는 둘을 구별하지 않고 그냥 하나의 살인죄로 보아 처벌합니다. 물론 양형에서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미국처럼 계획이냐 우발이냐로 인생이 갈리는 정도의 차이는 아닙니다.
23/06/25 04:00
수정 아이콘
글쓴이는 아니지만 덕분에 하나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전 영미법만 좀 공부해본 사람이라 한국법도 비슷할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달랐군요
abyssgem
23/06/24 22:13
수정 아이콘
은닉도 살인 이후 급조된 방법으로 했다면 우발적 살인이 깨지지는 않겠지요. 만약 은닉 준비도 미리 치밀하게 했다면 우발적 살인으로 인정받기 어려울 테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350 [질문] 스파이더맨2 용아맥 7월중순까지도 걸려있을까요? [11] 테네브리움6228 23/06/27 6228
171349 [질문] 로스트 아크의 레이드 (혹은 컨텐츠) 관련 개발 속도관련 [6] 랜슬롯7057 23/06/27 7057
171348 [질문] 하프라이프 알릭스를 해보고 싶습니다 [2] Bedlam6239 23/06/27 6239
171347 [질문] 트래블로그 카드 질문있습니다. [3] 봄바람은살랑살랑7098 23/06/27 7098
171346 [질문] 명상이 마음안정에 효과가 있을까요? [9] CEO6450 23/06/27 6450
171345 [질문] 국가에서 해주는 대출? 디딤돌대출? 아시는분 계신가요? [4] 레너블7120 23/06/27 7120
171344 [질문] 피지알 글을 하나 찾습니다 - 글쓰기 관련 [4] 일신5303 23/06/27 5303
171343 [질문] 국문학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19] 니체6275 23/06/27 6275
171342 [질문] 75인치 TV 선택 고민 조언부탁드립니다. [8] 목캔디8656 23/06/27 8656
171341 [질문] (역사/경제)근세 스페인 제국의 부채에 대해서 [2] Bard35675623 23/06/27 5623
171340 [질문] 칼질하는 방법? [7] 윤군6958 23/06/27 6958
171339 [질문] 승률제, 승점제의 장단점이 각각 뭘까요?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8024 23/06/26 8024
171338 [질문] 15억 정도로 매매 가능한 서울 아파트 [21] 삭제됨8758 23/06/26 8758
171337 [질문] 거실에서 4K로 업무를 보고 싶은데요, 장비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크로플6549 23/06/26 6549
171336 [질문] 주식 관련 블로그나 도서 추천 부탁드려요 [5] 수지짜응6793 23/06/26 6793
171335 [질문] 집에서 스쿼트, 팔굽혀 펴기 등의 운동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부탁드려요. [20] 목캔디6897 23/06/26 6897
171334 [질문] 일본 위스키 중에 "쿠라" 아시는 분 있을까요? [8] 이혜리7395 23/06/26 7395
171333 [질문] 애플워치 사용하시는 분들께 질문입니다 [2] 니체6918 23/06/26 6918
171332 [질문] 화타의 조조 뇌수술 치료 실제로 가능할까요? [14] 피죤투6751 23/06/26 6751
171331 [질문] 케이스티파이같은 다 덮어주는 폰케이스 알려주세요 [2] 슈터6082 23/06/26 6082
171330 [질문] 카카오 전세대출 연장 시 금리 인하 [4] 놔라5612 23/06/26 5612
171329 [질문] 헬스장 둘 중에 어디가 좋을까요? [10] 탄야6708 23/06/26 6708
171328 [질문] 차량에 땀냄새가 좀 나기 시작하는데 [13] Cand7359 23/06/26 73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