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5 15:03:53
Name 인생은서른부터
Subject [질문] 차알못 운알못 첫차 운용 팁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사람입니다.

나이가 찼는데도 운전을 할 줄 모른다는 것이 부끄러워져서
재작년에 면허를 땄습니다.

그 후, 차량 구매 계획이 없어 장롱에 방치해뒀다가,
이번에 지인의 차를 받아올 기회가 생겨 이를 통해 운전 연수를 받으려 합니다.
(연식 오래됨, 거의 15-20년)

그래서... 이게 나름 첫차가 되는건데,
혹시 첫차를 운용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알아둬야 하고
어떤 것들을 체크해야하고,
어떤 것들을 해야하는지 등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배터리 방전 관리, 하이패스 설치 이런거도 잘 몰라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5/25 15: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나 빼고 도로위에서 운전하는 놈들은 미친놈들이다

-> 언제나 방어운전, 항상 안전거리 충분히 유지

하이패스는 건전지 넣는 타입 사서 부착하면 됩니다 (삽입형 사기엔 차가 너무 구형임)

하이패스 카드는 후불형으로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편합니다

배터리는 차를 보통 1주일 이상 안 몰면 방전가능성이 대폭 올라가므로 1주일에 최소 한번만 몰아주면 별 걱정 없습니다

블랙박스가 없다면 블랙박스는 반드시 설치하세요

고속도로에서 2시간 이상 운전할 땐 반드시 10분 이상 휴식 취하세요 그래야 졸음운전 사고를 막을수 있습니다

여름철에 에어컨을 켤때 자동차 내기 버튼으로 켜면 빨리 시원해집니다

주행종료 5분 전부터는 외기모드로 바꿔서 에어컨을 말려주세요 그러면 곰팡이가 안 핍니다

마지막으로 5천키로마다 엔진오일 교체하면서 기본점검 받으면 엔간해선 별 문제 없을 껍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16: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딱 제가 바라던 조언이었습니다 흐흐흐
말씀주신 내용 명심하며 배워보겠습니다
무지개그네
23/05/25 16:18
수정 아이콘
첫차라고 하시고 마침 연식도 오래된 중고라고 하시니 긁는것에 연연하지 말고 운전하시다가 정말 맘에 드는차로 바꾸세요 흐흐
축하드립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흐흐 잘 배워보겠습니다
카페알파
23/05/25 16:47
수정 아이콘
위에 같은 내용이 있긴 한데, 엔진오일 교환 주기(보통 5천에서 1만 사이)에 정확하게 엔진오일을 교환해 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 엔진오일도 물론, 당연히 제때 교환해 주어야 하지만 엔진오일 교환할 때 그 외 필요한 부품의 수리나 교체를 해야 해서 더 중요합니다. 대개 주요 부품 교체 시기가 5천이나 1만 단위거든요.

그 외에 운전하실 때 '내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어디로 가는지' 등을 주위 차들에게 알게 해서 나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즉, 우회전하거나 좌회전 할 때 해당 방향 지시등을 켠다든지, 머리 내밀 때 천천히 내민다든지, 후진하거나 차가 일반적인 움직임을 하지 않을 때 양쪽 방향지시등을 다 깜빡거린다든지....... 아, 그리고 마지막의 경우처럼 후진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움직임을 할 때는 되도록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다른 차들이 이러한 것을 지키지 않고 불시에 예측 불허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개는 다들 잘 하시는데, 가끔 이상하게 운전하는 차량이 있거든요.

내가 다른 차가 잘 안 보이는 상황은 다른 차도 내 차가 잘 안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날이 저물든 터널 안으로 들어가든 주위가 어두워져서 내가 다른 차 식별이 힘든 경우는 다른 차도 내 차 식별히 힘든 거니까 헤드라이트를 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다른 차가 움직이는 건지, 정지해 있는 건지 순간적으로 헷갈리거나 차선 대비 위치가 얼른 파악이 안 될 때 그 차의 바퀴를 잠깐 보는 것도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차가 정지해 있으면 휠이 움직이지 않고 있을 것이고, 움직이면 휠도 움직이겠죠. 그리고 바퀴 위치로 이 차가 차선에 접근했는지 조금 떨어져 있는지 파악이 되고요. 다만 이건 초보 시절보다는 조금 익숙해 지신 다음에 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3
수정 아이콘
주행거리 기준으로 부품 점검을 쭉 해야하는거였군요 흐흐
따뜻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천천히 잘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23/05/25 23:03
수정 아이콘
적어도 첫해 한정해서는 과하다 싶을정도로 조심스럽게 운전하는거 추천합니다. 신차보단 그래도 긁어도 부담적다 이러기도 하지만 제가 첫해에 접촉내는바람에 남들보다 비싼 보험료를 내고 있습니다.. 말마따나 첫해에서 두번째 해로 갈때 보험료가 확 깎이는데 똑같이 사고를 내도 첫해에 내면 첫해의 비싼 보험료가 3년은 이어질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4
수정 아이콘
보험은 초반을 무탈하게 잘 넘기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흐흐
조언 감사드립니다!
원딜은안해요
23/05/26 10:00
수정 아이콘
안전 운전이 최우선입니다!! 안전 거리 충분히 확보하시고 비 오거나 할 때 충분히 감속하시면서 천천히 안전 운전 하시는게 최고입니다.
엔진 오일 같은거는 뭐 5~7천킬로미터마다 당골을 만드시든 편한 곳으로 다니시면 거기서 꾸준히 다른건 점검 해줄껍니다
블랙박스는 없으면 꼭 설치 하시고 나머지는 운전 안전하게 하시는게 최고입니다 크크
23/05/26 12:12
수정 아이콘
알아두면 좋은 운전매너? 팁? 같은것도 좋습니다
차선이 합쳐지는 구간에서(차선이 없어지거나 공사구간) 막히는경우 왼쪽 오른쪽 한대씩 양보하기
우회전 가능 차선은 가급적 막지않기
양보받거나 민폐운전등을 했을땐 꼭 손을 들어주거나 비상깜빡이를 켜 고마움, 미안함을 표현하기
수리, 점검, 소모품 교체등 관련해서 날짜, 내용, 금액 기록해 놓기
당장생각나는건 이정도 네요..
아델라이데
23/05/26 14:00
수정 아이콘
우회전 조심하세요.. 저도 그렇고 제가 아는분들은 첫 사고가 대부분 우회전 중 사고였습니다.

1. 골목길 우회전 중 우회전 방향 직진차량과 충돌 → 빨리오는 차들은 고개를 좌측으로 돌려 숄더체크를 90도 이상 해야 보입니다.
2. 우회전 중 맞은편 좌회전 차량과 충돌 → 좌회전 차가 크게 돌면서 우회전 영역을 침범하는 경우 많으니 좌회전차 몰려올때는 우회전 조심
3. 우회전 할 때 직진차량중에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차선변경하는 차 있을수 있음.. 조심
4. 우회전 중 보행자 또는 자전거 조심

그다음은 좌우측 차선 변경시 사각지대
1. 뒷바퀴 바로 대각선 뒤에 차가 붙어가는 경우 안보일때 있습니다.
2. 옆옆 차선에서 오던차가 내가 차선변경할때 그차도 같은 차로로 변경하는 경우 → 가운데 차선으로 같이 몰리면서 안보일 때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022 [질문] 세계수의 미궁 1,2,3 중 하나만 한다면 [5] 잉차잉차6394 23/06/07 6394
171020 [질문] SK 인터넷 해외망 속도 어떤가요? [7] 니체7165 23/06/06 7165
171018 [질문] 디아4 돌아갈 수 있는 컴 사양인지 문의 드립니다. [5] LG twins7394 23/06/06 7394
171017 [질문] 태블릿 유리 교체 가능한가요 [5] 샤한샤4967 23/06/06 4967
171016 [질문] 식사량과 배툭튀의 상관관계 [5] 모찌피치모찌피치6571 23/06/06 6571
171015 [질문] 남자 화장 질문입니다 (파운데이션 가루) [1] 마제스티5015 23/06/06 5015
171014 [질문] 혹시 금요일 초저녁에 부산 초입 부근 길 막힐까요? [1] 광개토태왕4471 23/06/06 4471
171013 [질문] 디아4 실행만 하면 컴퓨터가 맛이 가네요. (추가) [14] 카서스7213 23/06/06 7213
171012 [질문] 디아 4 질문입니다. PS5 vs 5600+1060 [3] 니플6344 23/06/06 6344
171011 [질문] 현재 컴퓨터에서 디아 4 돌아가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7] 가을아침7103 23/06/06 7103
171010 [질문] 예지몽류의 꿈을 자주 꾸는데요.. [12] 가위바위보6623 23/06/06 6623
171009 [질문] 스타1 지금 선수들 vs 이영호전성기 시절 누가 더 잘하나요? [69] 별소민11471 23/06/06 11471
171008 [질문] 이 식칼 브랜드를 아십니까? [1] 흰둥7520 23/06/06 7520
171007 [질문] 곧 베트남 가는데 시원한 옷 있을까요? [10] 어센틱5778 23/06/06 5778
171006 [질문] 도쿄 오사카 일본여행 가 보신 분들 계신가요? [18] 독각6979 23/06/06 6979
171005 [질문] 이별했는데요.. 제가 잘 못 한건가요? [21] 향기나는사람8290 23/06/06 8290
171004 [질문]  7년전에 산 gtx1070 요즘 메인보드와 호환이 될까요?(컴퓨터 견적 문의) [6] 저무는오후6682 23/06/06 6682
171003 [질문] 자이젤Zyxel 네트워크 관련 공격 받으신 분 계신가요? [2] 예니치카9307 23/06/06 9307
171002 [질문] 컴퓨터 견적 수정본 조언 부탁드립니다. [4] Restar7846 23/06/06 7846
171001 [질문] 김동현vs시라소니 [44] 와우홍7568 23/06/06 7568
171000 [질문] 달리기 어플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10] 스토너5786 23/06/05 5786
170999 [질문] 거래처 대표님 형제장 가야할까요? [15] 웃음6350 23/06/05 6350
170998 [질문] 7600+4070 견적 한번 봐주세요! [10] ryush3216570 23/06/05 65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