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5 12:33:46
Name WeakandPowerless
Subject [질문] 외국에 거주중인 사람과 대용량 파일 전송방법 문의합니다.
미리 답변에 감사드리며 질문 적습니다.

영상 작업 중에 외국에 거주중인 외국인 촬영 감독이 촬영한 촬영분을 전송 받으려 합니다.
그런데 정작 영상 받는 게 어렵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마땅히 어떤 방법을 통해 전송을 받아야 할지가 난감하더라고요.

일단 영상들이 4K 영상이다보니 용량이 하나하나 무지 큽니다.
웹하드 등을 찾아봤으나 너무 너무 비싸거나 월단위 결제방식이고,
구글 드라이브를 쓰려니 역시 용량이 애매한 것 같습니다.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3/05/25 12:38
수정 아이콘
토렌트?
WeakandPowerless
23/05/25 13:00
수정 아이콘
토렌트로 전송도 가능하군요 알아보겠습니다
23/05/25 12:44
수정 아이콘
테라 단위라면 AWS?
WeakandPowerless
23/05/25 13:00
수정 아이콘
오 알아보겠습니다
타카이
23/05/25 12:51
수정 아이콘
나스...?
WeakandPowerless
23/05/25 13:00
수정 아이콘
이 한 건 때문에 나스를 구축할 정도는 아닌거 같다는 걸 글에 못 적었네요
츠라빈스카야
23/05/25 12:55
수정 아이콘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긴 한데 택배도 한 가지 수단이 됩니다.

천문학자들 전파망원경 데이터같은 건 그냥 물리적인 드라이브를 배송하는 게 제일 빠르다더군요. 용량이 너무 크다 보니 현존 무슨 서비스를 써도 택배 배송시간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고...
WeakandPowerless
23/05/25 12:59
수정 아이콘
파일 하나당 100gb 정도고 대략 총 1테라 미만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Blooming
23/05/25 12:59
수정 아이콘
전송 방법의 편의성 측면에서만 보자면 한쪽이 FTP 서버 같은걸 열어서 전송하는게 가장 쉬울 것 같네요.
WeakandPowerless
23/05/25 13:02
수정 아이콘
토렌트도 그런 종류라고 봐야할까요?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3/05/25 13:03
수정 아이콘
FTP 를 쓰는게 좋아보이긴 하는데 세팅같은게 좀 어려울수 있으니 구글드라이브 결제하고 업로드 주소 공유하는게 가장 편할것 같긴 합니다.
23/05/25 13:04
수정 아이콘
구글드라이브 2테라가 월 1만원대고 해지 가능하시니, 무난하지 않을까요?
RED eTap AXS
23/05/25 13:12
수정 아이콘
용량이 적으면 hfs 같은 간단한 웹기반 서버, 크면 ftp로 전송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일질라(ftp) 서버 같은 건 설정도 어렵지 않습니다..
WeakandPowerless
23/05/25 14:3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한국에어비앤비
23/05/25 13:17
수정 아이콘
1TB의 데이터를 해외에 있는 친구에게 전송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이메일 첨부 파일이나 간단한 파일 공유 서비스로는 힘들 수 있습니다. 큰 파일을 전송하는 가장 흔한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Google Drive, Dropbox, OneDrive 등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대용량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1TB의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보통 더 높은 수준의 구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2P(Peer-to-Peer) 파일 공유: 이 방식은 사용자들이 서로의 컴퓨터와 직접 연결하여 파일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BitTorrent와 같은 프로토콜이 이에 해당합니다. 단, 이 방법은 보안에 주의해야 합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 이 방법은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른 사용자가 그것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FTP는 특히 대용량 파일 전송에 유용하며, 특정한 기술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저장 매체 사용: 불가능한 경우, 물리적인 저장 매체(외장 하드 드라이브, SSD, SD 카드 등)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우편으로 보낼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의 민감성, 보안, 전송 속도, 비용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챗지피티한테물어보니 이렇게 대답해주네요
WeakandPowerless
23/05/25 14:38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gpt!
담배상품권
23/05/25 13:20
수정 아이콘
보안이 중요하지 않은 파일이라면 토렌트, 보안이 중요하다면 클라우드 or 택배가 가장 좋을것같습니다.
23/05/25 14:05
수정 아이콘
중국을 제외한 나라의 경우 드롭박스가 가장 속도가 빨랐습니다. 영상 업로드 속도가 충분치 않다면 택배 추천 합니다.
23/05/25 14:23
수정 아이콘
WeakandPowerless
23/05/25 14:39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020 [질문] SK 인터넷 해외망 속도 어떤가요? [7] 니체7165 23/06/06 7165
171018 [질문] 디아4 돌아갈 수 있는 컴 사양인지 문의 드립니다. [5] LG twins7394 23/06/06 7394
171017 [질문] 태블릿 유리 교체 가능한가요 [5] 샤한샤4967 23/06/06 4967
171016 [질문] 식사량과 배툭튀의 상관관계 [5] 모찌피치모찌피치6570 23/06/06 6570
171015 [질문] 남자 화장 질문입니다 (파운데이션 가루) [1] 마제스티5014 23/06/06 5014
171014 [질문] 혹시 금요일 초저녁에 부산 초입 부근 길 막힐까요? [1] 광개토태왕4471 23/06/06 4471
171013 [질문] 디아4 실행만 하면 컴퓨터가 맛이 가네요. (추가) [14] 카서스7212 23/06/06 7212
171012 [질문] 디아 4 질문입니다. PS5 vs 5600+1060 [3] 니플6343 23/06/06 6343
171011 [질문] 현재 컴퓨터에서 디아 4 돌아가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7] 가을아침7103 23/06/06 7103
171010 [질문] 예지몽류의 꿈을 자주 꾸는데요.. [12] 가위바위보6623 23/06/06 6623
171009 [질문] 스타1 지금 선수들 vs 이영호전성기 시절 누가 더 잘하나요? [69] 별소민11469 23/06/06 11469
171008 [질문] 이 식칼 브랜드를 아십니까? [1] 흰둥7517 23/06/06 7517
171007 [질문] 곧 베트남 가는데 시원한 옷 있을까요? [10] 어센틱5777 23/06/06 5777
171006 [질문] 도쿄 오사카 일본여행 가 보신 분들 계신가요? [18] 독각6979 23/06/06 6979
171005 [질문] 이별했는데요.. 제가 잘 못 한건가요? [21] 향기나는사람8288 23/06/06 8288
171004 [질문]  7년전에 산 gtx1070 요즘 메인보드와 호환이 될까요?(컴퓨터 견적 문의) [6] 저무는오후6679 23/06/06 6679
171003 [질문] 자이젤Zyxel 네트워크 관련 공격 받으신 분 계신가요? [2] 예니치카9307 23/06/06 9307
171002 [질문] 컴퓨터 견적 수정본 조언 부탁드립니다. [4] Restar7844 23/06/06 7844
171001 [질문] 김동현vs시라소니 [44] 와우홍7567 23/06/06 7567
171000 [질문] 달리기 어플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10] 스토너5784 23/06/05 5784
170999 [질문] 거래처 대표님 형제장 가야할까요? [15] 웃음6347 23/06/05 6347
170998 [질문] 7600+4070 견적 한번 봐주세요! [10] ryush3216570 23/06/05 6570
170997 [질문] 유아용 보드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5] 쉬군5708 23/06/05 57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