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2 19:02:07
Name 밥과글
Subject [질문] 회사에서 산재 처리를 해준다는게 무슨 의미죠?
공공기관에서  기간제 근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하는 중 다리를 삐끗해서 쉬려고 연차를 신청했더니 연차 쓰지 말고 산재 처리를 해주겠다고 먼저 제안을 하더군요

고맙게 받아들인 뒤 다리를 다치게 된 경위를 간단하게 보고 하고 귀가했는데

궁금해서 알아보니 산재 처리는 회사에서 해주는게 아니라 근로자 본인이 하는 거라네요?

그럼 저를 고용한 기관이 산재 처리를 해주겠다는 건 뭘 해주겠다는 건지 궁금합니다.

뭔가 회사측에서 확인 서류 같은걸 만들어주면 제가 그것과  병원 진단서 등을가지고 산재신청을 하는 그런 순서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3/05/22 19:06
수정 아이콘
서로 잘 모르는거죠...
예전에는 사업주의 동의가 필요했다고 하는것 같긴 해요
밥과글
23/05/22 19:39
수정 아이콘
제가 들어오기 전에도 산재 인원이 하나 있었다는데..일단 기다려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몽키매직
23/05/22 19:18
수정 아이콘
휴가 사유를 산재 처리(?)한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연차 소모 없이 휴가 보내준다는 이야기인 것 같아요.
밥과글
23/05/22 19:41
수정 아이콘
그럼 결국 산재신청은 제가 따로 알아서 하면 되는 걸까요..일단 기다려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0년차공시생
23/05/22 19:47
수정 아이콘
사업주는 3일 이상 휴업 재해가 생기면, 그 휴업에 대해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합니다(의무)
제출 후 나 이러이러한 진단이 나왔고 이러이러한 치료를 받았다고 근로복지공단에 요양신청을 합니다(이건 기관도, 재해자도 둘 다 할 수 있습니다)
승인이 되면 병원치료 본인부담금(건보본인부담, 비급여)에 대해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입금해줍니다
병가, 연차 등으로 썼던 휴업도 모두 공무상요양, 산재 등으로 근무했던 것과 같은 것으로 변경해 줍니다
이게 일반적인 산재 처리 절차입니다
1. 근무지가 아주 좋은 곳이어서 일하다 다쳤는데요? 하니 바로 산재 고고 하자 라는 곳일 경우
-그럼 그냥 잘 쉬고 치료비 내고 나중에 돌려받고 하시면 됩니다
2. 지금은 거의 안 쓰이지만, 복무(인사)권자가 공무상요양(공무원 내에서 산재 승인을 말하는 단어입니다)혹은 산재를 직권으로 일주일정도는 부여 가능합니다.
-일하다 다쳤으니 회사 내부적으로는 그냥 며칠 쉬게는 해줄게. 근데 노동청이나 공단에 요양 신청은 하지 말자... 일수도 있습니다(실제로 정말 많이 사용되던 수법입니다. 진짜 경미하기도 하고, 며칠 쉬고 물리치료 받고 하면 끝날 경우 아주 간편하죠. 그런데 이게 입막음용도로 사용되다보니 점점 없어지는 추세)

산재 하나 나면 담당자는 요양 신청 말고도 위험성평가에 재발방지대책 - 산안위 상정에 산업보건의 업무적합성평가에 그냥 머리가 터져나가는 수준인데 먼저 산재를 제안했던게 좀 의아하네요
구체적으로 인사/복무 부서에 요양 신청은 하는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여쭤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밥과글
23/05/22 20:18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산재처리 해줄테니 일단 내일부터 쉬어라 라고 주무관이 말씀하셔서 당장 내일부터 쉬게 되었을뿐 절차나 준비해야할 것이나 뭐 설명 들은게 없어서 어리둥절한 상황입니다.;;
10년차공시생
23/05/22 20:25
수정 아이콘
일단 충분히 쉬면서 병원 다녀오시고(병원에서 다친 사유를 일하다 다쳤다고 이야기하시지 마시고) 치료 받으시고
복귀 후 이대로 끝이냐고 넌지시 여쭤보시면 될거같습니다
1. 네 끝이에요
-2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냥 자부담으로 병원치료 받으신거고, 대신 쉬는동안의 근태를 보전받는겁니다
2. 아뇨 이제 요양 신청할거니 진단서, 입퇴원확인서, X레이 기록지 병원비 영수증 등을 내세요
-1번입니다. 병원비까지 모두 보전해주면서 근태까지 산재 요양으로 승인해준다는 뜻입니다
요양 신청은 3년까지 가능하니 천천히 생각하셔도 됩니다.
밥과글
23/05/23 15:36
수정 아이콘
하으.. 이미 일하다가 다쳤다고 한 상태라 비보험처리 되버렸는데 1.네 끝이에요 가 되버리면 저는 낙동강 오리알인가요?
10년차공시생
23/05/23 16:57
수정 아이콘
병원비에 따라, 내가 아쉬운게 있냐에 따라 좀 갈릴듯합니다
돈 낸거 얼마 안되고 인사부서에 잘보여야 내가 앞으로 근무가 편하다면, 연장이나 무기계약직 등이 걸려있다면
끝내는게 이롭고....
어차피 계약직이고 얼마안되서 나가는상황이면 그냥 본인이 근로복지공단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밥과글
23/05/23 18:24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큰 도움이 되네요
23/05/22 22:0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

원래 산재를 하면 치료비나, 유급휴가 등이 나오잖아요?


그냥 그거에 준하게 유급휴가나 치료비등을 지급할테니 산재신청하지 말라는 뜻 아닐까요?
꿀깅이
23/05/23 01:13
수정 아이콘
그런건 공상으로 따로 부를텐데용
파와미
23/05/24 03:32
수정 아이콘
우리회사같은경우엔 명확한 산재사고일경우(일하다가 협착으로 손가락골절) 회사에서 물어봅니다.
공상처리할건지(회사는 이걸 원하죠) 산재처리할건지 물어보고 재해자가 원하는대로 해줍니다.
공상처리를 원하면 회사에서 근태처리(실제 근무한거랑 같은 급여) + 병의원비 + 약제비까지 지원해주는데 통상적인 산재처리보다 휴일을 좀 늘려줍니다.
산재처리를 원하면 회사에서 공단에 산재신청을 대신해줍니다. 이걸 굳이 재해자가 해야할 의무는 없어요. (무조건 재해자가 신고해야된다라고 하면 재해자가 의식없고 가족도없으면 그냥 죽으란 소리임)
공공기관에서는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모르니 주무관에게 명확하게 물어보시는게 좋을것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101 [질문] 파이썬이 배울만할까요? [8] 토꺙7401 23/06/11 7401
171100 [질문] 와우 복귀 유저인데 초보랑 같이 하는법 [3] Payment Required5650 23/06/11 5650
171099 [질문] 혹시 컴퓨터가 오래되면 인터넷이 끊길 수 있는건가요? [9] 55만루홈런5729 23/06/11 5729
171098 [질문] 돌잔치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더미짱5418 23/06/11 5418
171097 [질문] 허벅지 땡김 통증+무릎 옆 피멍이 있다면 어느 병원을 가야할까요... [2] 시논6354 23/06/11 6354
171096 [삭제예정] 아프리카TV중에 이런 거 대세인가요? [6] 삭제됨6578 23/06/11 6578
171095 [질문] [디아 4] 두 가지 질문 Love.of.Tears.5677 23/06/11 5677
171094 [질문] 스파6 구매 시 에디션 문의 [4] 하얀사신5484 23/06/11 5484
171093 [질문] (20+5)×0.1=? [41] LeNTE7022 23/06/11 7022
171092 [질문] 코세척기 사용해보신분 혹시 소독은 어떻게 하시나요? [5] 슬라임6712 23/06/10 6712
171091 [질문] 윈도우설치 후 msi 자동 업데이트 설치 이게 뭔가요? [4] 환상회랑7049 23/06/10 7049
171090 [삭제예정] 바지에 맥주 쏟았을 때 어떡해야 될까요? [2] 삭제됨5130 23/06/10 5130
171089 [질문] 근래 있었던 대학병원 의사의 범죄행위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된장까스6997 23/06/10 6997
171088 [질문] 서울 칵테일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마제스티5727 23/06/10 5727
171087 [질문] 디아4 주로 나오는 불만사항 한가지 관련 질문입니다. [12] 오레오레오나5125 23/06/10 5125
171086 [질문] 범용성 좋은 시판 양념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사람되고싶다5962 23/06/10 5962
171085 [질문] 이 사양으로 디아4 돌아갈까요? [3] 응 아니야6449 23/06/10 6449
171084 [질문] 이 음악기호 어떤 의미일까요? [4] halogen6386 23/06/10 6386
171083 [질문] 윈도우10 설치 질문입니다. [2] 환상회랑6063 23/06/10 6063
171082 [삭제예정] 회사대표 실종시 퇴직처리나 퇴직금 처리문제 [4] 삭제됨6091 23/06/10 6091
171081 [질문] 배달앱이 대중화된 시기는 언제일까요? [9] 실제상황입니다5794 23/06/10 5794
171080 [질문] 다음 그래픽카드 업글 시기는 언제가 좋을까요?(+컴 최종견적) [9] 환상회랑6212 23/06/09 6212
171079 [질문] 20세기초 미국 생산량 vs 21세기초 중국생산량 [4] VictoryFood6746 23/06/09 67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