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2 14:11:55
Name mcmc
Subject [질문] 주담대 적정 비율
안녕하세요.
우선 기본적인 정보는 신혼부부고 자녀 계획은 당장은 없습니다.
올해 말 전세 계약 종료고 아파트 매수를 생각하고 있으며 전세금 포함하여 가용한 현금은 3억 조금 안됩니다.
소득은 부부합산 세후 월천 정도이며 희망지역의 아파트 시세는 대략 7.5~8.5억 정도 됩니다.
대출을 최소 5억은 받아야 하는데 이게 맞나 싶어너 다른 분들은 어떤 기준을 갖고 계신가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담배상품권
23/05/22 14:18
수정 아이콘
요즘 대출금리가 좀 가라앉았다 하나 5억 대출이면 4.3퍼센트로 잡았을 때 월평균 이자가 114만원이니, 아이만 없으시면 충분히 감당가능하신 소득으로 보입니다.
콩탕망탕
23/05/22 14:49
수정 아이콘
제 생각보다 이자가 적네.. 하고서 계산을 해보니까..
5억 원금에 연이율 4.3%면 연이자만 2150만원이고.. 이러면 월이자 179만원 정도네요
23/05/22 14:25
수정 아이콘
우선 대출이 제도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는 은행에 문의해보시면 될거 같고
대충 지금 금리가 높아서... 5%정도로 잡고 5억 대출이 원리금이 월 270정도 나가네요.
그래도 부부합산 소득이 천정도 되시면 불가능하거나 심하게 무리하는 것 같지는 않은데 이건 본인들이 더 잘 아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계산한 원리금이 감당이 되는지 소득도 중요하지만 평소 씀씀이 등도 고려하셔야하고 자녀 계획이 계속 없을지 소득이 계속 늘어날지 아니면 더 줄어들거나 불규칙해질 여지가 있는지를 고려하셔야죠.
일반 대기업정도의 안정성이라고 치고 세후 월 소득 천 이상이면 감당이 안되시지는 않을 겁니다.
자녀계획도 사실 계획이 있으면 더 필요한게 실거주 주택이긴해서 괜찮은 입지의 매물이 있으면 가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지금 금리 높고 부동산 하락기라고는 하지만 오히려 그래서 실거주용으로는 매수하기에 나쁘지 않습니다. 금리가 떨어지면 가격이 오를거고 가격이 오를때는 그때 나름대로 매수 리스크가 높아지죠.
다만 소득이 높으시니 주담대 4억에 나머지는 신용대출로 받고 몇년 허리띠 졸라매서 자녀 없을때 빨리 갚아버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23/05/22 23:04
수정 아이콘
다행히 둘다 씀씀이는 크지 않고 아껴서 집사는데 보태자는 마인드긴 합니다.
마지막 말씀주신 것은 어떤 의미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주담대 "4억 + 신용1억 vs 주담대 5억"이면 전자가 더 낫다는 말씀이실까요??
부린이라 잘은 모르는데 원금 상환 이자가 있기 때문에 후자가 실제로 갚는 금액이 더 많아지게 되는 것일까요..?
23/05/23 07:30
수정 아이콘
주담대 3년 이내엔 중도상환수수료가 있어서 초반에 빨리 갚으려면 일부는 신용대출 이나 마통으로 하는게 낫다는 말입니다. 별로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23/05/22 14:27
수정 아이콘
적정기준은 없지만 대략 수입의 30프로언더면 주거비용으로 큰 부담은 아닐겁니다. 세후기준으로 보면 25프로 정도이니 저는 나쁘지않다고 봅니다.
화서역스타필드
23/05/22 14:28
수정 아이콘
소득이 높으셔서 이번기회에 지르시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이네요..
23/05/22 15:00
수정 아이콘
월소득 안정적이면 윗분들이 계산해 주신대로 지를만 하네요.
저도 주거비 20-30%정도는 적진않지만 감내할만 하다 생각합니다.
가테갓겜59분전
23/05/22 15:18
수정 아이콘
추가대출 없으시면 충분히 가능하시다고 저도 생각이 드네요. 자녀 계획이 있으시면 추후 육아휴직 감안하셔서 여유분 저축만 해놓으시면 별 문제는 없지 않을까 생각 듭니다.
23/05/22 15:36
수정 아이콘
5억을 받는건 문제가 아니고, 이자가 얼마냐가 문제가 되겠죠.

2%대 시절이면 저걸 안해 수준이고, 3%대 시절이면 해볼만은 하다 수준인데, 4%쯤 오면서부터 크흠 소리가 나오고 잘못하면 각혈하거든요.

4%잡고 연 2천만원에 원리금까지 하면 이제 주수입에서 얼마나 빠지느냐인데 연에 3600수준이면 월 300수준인거고, 뭐 버틸만은 하실거라고 생각은 듭니다. 금리만 더 올라가지 않는다면 ... 근데 문제는 이제 육아의 타이밍이 오는데 출산에서 필연적으로 가계수입 감소(맞벌이 기준), 육아에서의 가계수입 감소 가능 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철저한 피임관리로 아예 안정화를 하실게 아닌 이상 생각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외벌이 기준으로 현재 세후수입의 70%이상이 글쓴분 소득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5:5에 근접할수록 이제 ;;
부동산부자
23/05/22 15:54
수정 아이콘
피임이라뇨 출산률 올려야죠
23/05/22 16:07
수정 아이콘
누구 좋으라고 그런 소릴하세요? 대책없으시네
부동산부자
23/05/22 17:14
수정 아이콘
부모세대는 대책이 있어서 많이 낳았답니까? 일단 낳으면 어떻게든 사는거죠 대책없다뇨
23/05/22 19:40
수정 아이콘
부모세대 타령은 그쪽 자식한테 하시고요. 알지도 못하는 사람한테 출산율 올리게 피임하지 말라고 하는건 대책도 없고 예의도 없는거라서요
23/05/22 15:45
수정 아이콘
일단 취득세 및 부대비용도 다 계산에 넣으시고요. 아이계획이 있으면 일시적으로 외벌이가 될 수 있다는거 생각하세요. 그리고 30년동안 안정적인 수입이 가능한 직종인지도 고려하시고요. 저희는 맞벌이 세후 900 5인가족 원리금 150만원정도 내면서 사는데 할거 못한다는 생각은 딱히 없네요. 년간 3-4천 정도 저축도 하고요.
해피팡팡
23/05/22 16:01
수정 아이콘
영끌은 상대적인거니까 그 정도 소득이라고 하시면 충분할듯 싶습니다.
12seconds
23/05/22 16:12
수정 아이콘
저번달 금리라서, 이번달 금리는 한 번 더 확인해보셔야겠지만
KB 시세 9억 미만이면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이라 대출기간 50년으로 셋팅 시 4.45% 입니다. (4~50년은 신혼가구이거나 39세 이하만 가능)
월 원리금 납입액이 208만이 되겠네요. ( https://www.fss.or.kr/fss/cvpl/houseMrtggLonCalc/list.do?menuNo=200640 )
이건 극단적으로 월납입금액을 줄였을 경우 예시고, 30년으로 계산하면 월 납입금이 250만원정도 될겁니다.
오타니
23/05/22 18:14
수정 아이콘
이게 원리금이라는게 원금+이자를 말하죠?
12seconds
23/05/22 18:40
수정 아이콘
넵 원금 + 이자입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전기간 고정금리입니다.
금리가 지금 더 오를 가능성은 적다고들 하고, 보통 변동 금리가 조금 더 싸긴 할테지만, 그래도 저는 주담대는
조금의 이자를 더 주더라도 금리 리스크를 없에는게 맞다고 봐서..

뭐 추후 금리가 많이 내리면 그 때 다른 대출로 갈아 타셔도 되니까요..
23/05/22 23:07
수정 아이콘
오.. 이런 사이트가 있었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3/05/22 22:59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금리나 자녀 계획을 잘 고려해서 좋은 결정 해보겠습니다.
그래도 주거비를 20-30% 내외로 잡으면 감당 가능한 수준인것 같아 어느정도 안심하고 선택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3/05/23 08:27
수정 아이콘
남자분이라는 가정하에 와이프분이 동의하고, 당분간 외벌이 계획이 없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도 거의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와이프가 무리같다고 해서 그냥 4-5억대 전세로 일단 가고 청약노리려고 합니다.
제가 질문글 올렸을때 기억에 남는 댓글은 수입이 한쪽에 취중되거나 와이프 수익이 비율이 높다면 고려해봐라 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833 [질문] 카시오 사각메탈시계와 비슷한 모양의 시계 좀 알려주세요~ [3] 바람의여행기8281 23/05/27 8281
170832 [질문] 컴맹이 디아 4하고싶습니다. 뭘 업글해야 합니까? [21] 환상9039 23/05/26 9039
170831 [질문] 자동차보험이 넘 비싼데 딴거루 바꿔도 되나요?? [11] 기사조련가7293 23/05/26 7293
170830 [질문] 퇴직연금 연봉인상분 소급적용에 대한 질문 [3] SpicyPeach6958 23/05/26 6958
170829 [질문] 에어컨 지금 설치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4] 그때가언제라도7866 23/05/26 7866
170828 [질문] 내일 롯데월드에 가볼 생각입니다. 피를마시는새6426 23/05/26 6426
170827 [질문] 성수동 맛집 카페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ashed6848 23/05/26 6848
170826 [질문] 접지문제로 이어폰에 계속 전기가 오르는데 [3] 시린비7670 23/05/26 7670
170825 [질문] 할만한 온라인게임 있을까요? [14] 불독맨션8627 23/05/26 8627
170824 [질문] 윈도우 방화벽 포트 오픈해도 연결이 안돼요 [1] 탄야7236 23/05/26 7236
170823 [삭제예정] 조현병이 확실한 지인에 대한 질문 [7] 삭제됨8641 23/05/26 8641
170822 [질문] 엑셀 n일뒤 날짜 구하기 [6] 아지노스7998 23/05/26 7998
170820 [질문] 맨체스터시티 유니폼을 어디서 사야할까요? (오프라인) [3] 오징어개임8193 23/05/26 8193
170819 [질문] 영어 질문입니다. [3] 모나라벤더8337 23/05/26 8337
170817 [질문] 오마카세 페어링 와인 추천해주세요 [12] 작성자8907 23/05/25 8907
170816 [삭제예정] 종합소득세 내러 오라는데 뭔지 모르겠습니다 [6] 삭제됨7131 23/05/25 7131
170815 [질문] 디아블로4 PS4 PS5 구입 관련 질문 [2] DeMiaN9231 23/05/25 9231
170814 [질문] 사무용 데스크탑 질문드립니다 [10] 10180 23/05/25 10180
170813 [질문] 종합소득세 국세청 ARS로 신고 했는데 이러면 신고 된거죠? [9] 광개토태왕8139 23/05/25 8139
170812 [질문] [게임]가장 공평하게 순위를 메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6] 원스6768 23/05/25 6768
170811 [질문] 부산역이나 광안리 근처에서 저녁 8시이후 괜찮은 식사장소가 있을까요? [14] 날아가고 싶어.7668 23/05/25 7668
170810 [질문] 입덧 시즌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6] JoyB6733 23/05/25 6733
170809 [질문] 엑박패드 4세대 PC 연결 시 인식은 되는데 먹통현상 왜그럴까요 [6] 시은8338 23/05/25 83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