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1 14:23:28
Name 푸끆이
Subject [질문] 일상생활에 도움되는 기초학문 뭐가있을까요? (수정됨)
작년에 이직을 처음 했는데, 이번달에 종합소득세 처음 신고하면서 모르는게 너무 많더라구요.

어차피 평생 세금낼일 많을텐데 기본적인 세금에 관해서 공부해보자! 해서 1주일정도 공부했는데 너무 만족스러워서 혹시 더 있을까해서 여쭤봅니다.

전제는, 대학교 1학년1학기 전공생들이 듣는 개론학정도의 공부량입니다. 어느 학문이든 너무 깊숙히 들어가면 끝이 없으니까요

일단 1순위는 무조건 경제라고 보고.. 그외에 뭐가 있을까요?

제가 생각한걸로는

1. 부동산
2. 통계학
3. 해부학
4. 생리학
5. 건축학
6. 내연기관
7. 컴퓨터공학(코딩)
8. 행정학
9. 도시공학

혹시 더 있을까요?
굳이 일상생활에 도움 안되도되고, 지적허영심만 충족시켜줘도 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_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21 14:28
수정 아이콘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안 되지만 근대철학이 최근에 가장 만족스러웠습니다.
해맑은 전사
23/05/22 10:27
수정 아이콘
저도 철학 추천.. 혹은 인문학 혹은 심리학.
어차피 우리는 사람으로 만들어진 관계속에 살아간다.
어센틱
23/05/24 18:01
수정 아이콘
책 추천가능하신가욥 1권으로 시작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
23/05/24 19:10
수정 아이콘
아예 처음이시면 서가명강 시리즈 중에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박찬국 추천합니다.

같은 시리즈에 왜 칸트인가 - 김상환 도 좋은데
칸트는 용어 자체가 특이해서 첨에 좀 버벅일 수도 있어요

둘다 도서관에 있을테니 대여해보세요
Valorant
23/05/21 14:34
수정 아이콘
행정학은 별로일 것 같습니다. 허허.
23/05/21 14:40
수정 아이콘
경제 금융 제외하고라면

역사나 기초과학이 아닐까 합니다
사람되고싶다
23/05/21 15:07
수정 아이콘
공법 아닐까요 이건. 행정학은 현실에서 정말 쓸모가 없습니다...
Meridian
23/05/21 15:14
수정 아이콘
해부학은 너무너무 재미없는 학문이라 비추드립니다... 걍 암기만 하면 되는거라 크크
푸끆이
23/05/21 15:19
수정 아이콘
전공책이 아니라, 만화책처럼 중고등학생들 보라고 나온 해부학책은 개인적으로 재밌게 읽었습니다 크크 암기,시험공부가 목적이 아니니..
Meridian
23/05/21 15:20
수정 아이콘
하긴 해부학의 진정한 공포는 떙시죠 크크크크
23/05/21 15:21
수정 아이콘
수학 통계학 코딩이요
23/05/21 15:23
수정 아이콘
수학이죠
미적분학까지만 해도 꽤 유용함
푸끆이
23/05/21 15:25
수정 아이콘
제가 수학과학과 전혀 관련없는 계열에 있는데, 혹시 어떻게 유용하게 작용할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23/05/21 15:49
수정 아이콘
법학이죠
푸끆이
23/05/21 15:50
수정 아이콘
법은 너무 광범위해서 뺐습니다
법쪽에서도 세분화한다면 어떤 법이 도움이 될까요?
23/05/21 15: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반적으로는 생활법률이나 사례집 같은게 아닐까요? 세금에 대해 공부하셨다는 것도 결국 세법을 공부하신거잖아요?
뭐 예를들어 만약 부동산쪽을 알아보고 싶다하시면 부동산법을 공부하셔야 하는거고... 공공기관과 많이 일하신다면 행정법이 유용할테구요.
키스 리차드
23/05/23 10:44
수정 아이콘
굳이 고르자면 민법, 그 중에서도 계약법 파트를 추천합니다.
일상생활에 은근히 도움이 됩니다.
부동산 관련해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연계하면 더 좋습니다.
페로몬아돌
23/05/21 15:49
수정 아이콘
코딩은 전공자로써 비추 드립니다 크크크 가성비가 좋은 학문은 아닌 듯
안할란다
23/05/21 16:57
수정 아이콘
민법
23/05/21 17:01
수정 아이콘
경제보다 1순위는 영양학이죠
Riffrain
23/05/21 17:03
수정 아이콘
컴퓨터공학은 괜찮은데 코딩은 비추입니다.
에이치블루
23/05/21 17:12
수정 아이콘
행정학은 행정부서에 있으면 도움이 되는데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안 됩니다
장헌이도
23/05/21 21:45
수정 아이콘
답은 아니지만.. 적어 주신 것 중에 '정의상' 기초학문은 없습니다..보통 '기초학문'이라 함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일컫습니다..
몬테레이
23/05/22 09:43
수정 아이콘
예시된 학문은 모두 응용과학입니다. 추천드리자면 화학을 추천합니다. 화학은 물질의 원자와 분자 수준에서 구조와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죠. 기초 원소는 공부하셔야 하겠지요. 화학을 알면 우리 생활의 모든 제품 재료의 물질 특성을 아시게 되고, 제품의 생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186 [질문] 수입타이어가 국산타이어보다 훨씬 좋나요? [7] Garnett217029 23/06/17 7029
171185 [질문] 골목에서 도로진입 우회전시 빨간 신호등에 가도 되는건가요? [5] 은둔은둔해6063 23/06/17 6063
171184 [삭제예정] 고등학생 1학년 남학생이 성추행 고발을 당할 상황입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ㅠㅠ [17] 플래쉬8445 23/06/17 8445
171183 [질문] 티비 사려는데 게임 안하면 120Hz 필요없나요? [3] 공실이7516 23/06/17 7516
171182 [질문] 접촉사고 사후대처 질문입니다..(2) [6] lobotomy6589 23/06/16 6589
171181 [질문] 맥북 심리? [14] 월터화이트7457 23/06/16 7457
171180 [질문] 발리 여행 중 개에게 손을 물렸습니다. [9] 실버벨7446 23/06/16 7446
171179 [질문] 1년에 한번 정체모를 돈이 입금되는데 뭘까요? [28] 콩순이9392 23/06/16 9392
171178 [질문] 중고 pc 판매하려합니다. 질문있어요 [6] NewJeans5897 23/06/16 5897
171177 [질문] 혹시 게이밍 노트북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3] Restar7018 23/06/16 7018
171176 [질문] 컴견적 문의입니다 [5] 류 하야부사6114 23/06/16 6114
171175 [질문] PC견적 문의드립니다 [4] 윌리스 캐리어6354 23/06/16 6354
171174 [질문] 중고차 올뉴 말리부 구매 질문 [25] 도안5781 23/06/16 5781
171173 [질문] 종이 코팅은 어디가서 하면 될까요? [12] SAS Tony Parker 5521 23/06/16 5521
171172 [질문] 몸캠... 피싱범에게 장난을 좀 쳤는데 저 처벌 받나요!? [16] 골드쉽8581 23/06/16 8581
171171 [질문] 포모스 매니아 칼럼 볼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나는바보다5456 23/06/16 5456
171170 [질문] 고전게임 질문입니다. 모찌피치모찌피치5993 23/06/15 5993
171169 [질문] 아이폰 구매시기 질문입니다. [8] Valorant6760 23/06/15 6760
171168 [질문] PC견적 검토 부탁드립니다. (__) [10] 햇여리6957 23/06/15 6957
171167 [질문] 모바일 TFT 관련 질문입니다. [3] 구아바구아바5524 23/06/15 5524
171166 [질문] '또다시 계약부부' 와 비슷한 내용의 만화, 영화가 혹시 있을까요? [2] 더쿤더4371 23/06/15 4371
171165 [질문] 1년 평균 저축액이 어느정도 되시나요? [30] 제발존중좀9353 23/06/15 9353
171164 [삭제예정] 조카에 용돈을 달러로 주고싶은데... [2] 삭제됨5889 23/06/15 58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