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9 18:12:58
Name 송마야
Subject [질문] 많이 쓰는 한글 순위? (수정됨)
안녕하세요
한글은 수 많은 글자들이 조합이 가능한데
흔히 많이 쓰이는 글자들수는 몇개나 될까요?
흃 이라던가 밢 이런 글자들은 평상시에 쓰이지 않으니 이런것 빼고
예를들어 단문 소설에 등장하는 글자 종류는 몇개나 될까요?
검색해보다가 못 찾아서 질게에 여쭤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3/05/19 18:31
수정 아이콘
구글 bard
1차
한글은 24개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수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2020년 세종말뭉치’에 따르면,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이다’로 1,407,538건이 사용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이, 그, 은, 는, 것, 있다, 안, 의, 할, 말, 때, 와, 을, 의, 로, 나, 에서, 으로, 는가, 는지, 을까, 을까요, 을까요?, 을까요?’가 사용되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단어들은 모두 10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들입니다. 10만건 미만으로 사용된 단어들도 많지만 그 수는 매우 많습니다. 따라서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2차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약 20,000개로 추정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2020년 세종말뭉치’에 따르면, 한국어에서 10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는 약 5,000개, 1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는 약 15,000개입니다. 따라서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약 20,000개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24개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수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조합에 제약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자음 ‘그’은 모음 ‘아’와는 결합할 수 있지만 모음 ‘오’와는 결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자음 ‘느’은 모음 ‘어’와는 결합할 수 있지만 모음 ‘이’와는 결합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한글에서 만들 수 있는 단어의 수는 실제로는 매우 적습니다.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의 수는 그 중에서도 더 적습니다.

chat gpt 무료
한글은 조합이 가능한 글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흔히 쓰이는 단어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의 수는 약 10만 개 이상이라고 추정됩니다.

한글의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자음과 모음은 조합하여 음절을 형성합니다. 한글의 초성은 14개, 중성은 10개, 종성은 1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음절의 총 가지수는 14 * 10 * 14 = 1,960입니다.

한글 단어는 음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조합의 범위는 매우 넓습니다. 흔히 쓰이는 단어는 수천 개에서 수만 개까지 다양하며, 이는 명확한 통계 데이터가 없어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한글 단어의 수는 계속해서 변하고 새로운 단어가 생겨나기 때문에 정확한 수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한국어 사전에 수록된 단어의 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수는 약 30만 개에서 40만 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는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의 수를 포함한 것으로, 과학 용어, 전문 용어, 사회적으로 제한된 분야의 어휘 등은 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의 흔히 사용되는 단어의 수는 약 10만 개 이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며 참고로만 받아들이시기 바랍니다.
송마야
23/05/19 18:41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헷갈리게 글을 적은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질문글을 살짝 수정했습니다 단어가 아니고 사용된 글자의 종류 수 입니다
에이치블루
23/05/19 21:08
수정 아이콘
한글의 초성은 14개, 중성은 10개, 종성은 1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음절의 총 가지수는 14 * 10 * 14 = 1,960입니다.
<- 이건 정보 오류인 것 같네요...쌍자음이 있고 조합모음이 있는데 다 빼버렸네요. 아이고...
다크서클팬더
23/05/19 19:11
수정 아이콘
빙 검색엔진은 한글의 음절을 물어봤더니 알파벳으로 답변을 하고 있더군요.
자음 '이응'이 가장 많이 쓰인다 말고는 뭐...
23/05/19 19:52
수정 아이콘
음절을 물어보신건가보네요.. 저도 음절 빈도는 잘 모르겠고
단모음키보드를 쓰다가 알게된건데 음소(음운?) 빈도는 https://story.pxd.co.kr/958 요기한번참고해보세요.
아마도 '아'가 제일 많이 쓰이는 음절인 듯 합니다
계층방정
23/05/19 21:10
수정 아이콘
궁금하신 부분과 매우 관련이 높은 논문이 있네요.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77322
이은하, 남기춘, 세종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음절의 빈도와 분포, 언어과학연구 92집 (2020년 3월) 79-130

3.2.1에서 세종 말뭉치에 사용된 전체 음절의 가짓수는 2110개며, 상위 20개가 그 중 33.35%, 상위 100개가 67.28%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100회 이상 나타난 음절은 617가지로 이들이 전체의 97.71%를 차지했습니다. 반대로 10회 이하로 사용된 음절은 326개며, 그 중 100개는 단 한 차례만 사용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음절은 '이'며, 그 다음으로는 '다', '는', '의', '에'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명사와 용언(동사, 형용사)로 또 나누어서 같은 분석을 했는데요.
일반명사에서는 '이', '사', '기', '자', '적'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용언에서는 '다', '하', '되', '시', '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더 나아가서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빈도를 또 분석했는데, 전체에서는 첫째 음절에 '그', '이', '있', '것', '사', 둘째 음절에는 '이', '는', '다', '리', '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것도 일반명사와 용언으로 나누어 보면, 일반명사에서는 첫째 음절에 '대', '사', '수', '비', '전', 둘째 음절에 '사', '리', '수', '기', '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용언에서는 첫째 음절에 '재', '부', '가', '수', '무', 둘째 음절에 '다', '하', '리', '지', '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논문이 길긴 한데 자세하게 분석이 되어 있어서 직접 읽어보셔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송마야
23/05/19 23:04
수정 아이콘
와 두분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링크 들어가서 보고 많은 부분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23/05/20 08:52
수정 아이콘
아…
예전에 임베딩이 유행할 때 한국어 위키피디아 데이터를 대상으로 각 음절별 카운트 세본 게 있는데 어딨는지 모르겠네요 크크크
송마야
23/05/20 11:1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한 데이터 군요 혹시 찾으신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761 [질문] 회사에서 산재 처리를 해준다는게 무슨 의미죠? [13] 밥과글9978 23/05/22 9978
170760 [질문] 롤 클라 작아지는 문제 해결 못하나요? Nothing Phone(1)6646 23/05/22 6646
170759 [질문] RC카 배터리입니다. 어떻게 해야 충전이 가능 할까요? [8] 하율아범6915 23/05/22 6915
170758 [질문] 현충일 쯤에 혼자 놀러갈 곳을 고민중인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잠수족6625 23/05/22 6625
170757 [질문] 동두천 근방 가족여행 펜션 추천할만한 곳이 있을까요? [3] 시은6978 23/05/22 6978
170756 [질문] 브이라이징이라는 게임 해보신 분! [2] 골드쉽6564 23/05/22 6564
170755 [질문] 주담대 적정 비율 [22] mcmc10016 23/05/22 10016
170754 [질문] 부산에 틀니 맞추기 좋은 치과 추천 부탁드려요! 마신_이천상7152 23/05/22 7152
170753 [질문] 제가 좋아하는 노래 2개와 비슷한 노래 추천 가능하실까요 [1] 영소이6550 23/05/22 6550
170752 [질문] 닌텐도 스위치 젤다의전설 질문입니다~ [13] 쏘군8764 23/05/22 8764
170751 [질문] 중고차 팔 땐 어떤 어플이 좋은가요? [6] This-Plus7204 23/05/22 7204
170750 [질문] 비행기표 싸게 사는 팁 있을까요? [2] 오렌지망고7958 23/05/22 7958
170749 [질문] 보청기 구매 조언 부탁드립니다! 파쿠만사7608 23/05/22 7608
170748 [질문] 젤다 야숨 익스팬션 패스(일본 구입)가 한글 호환 될까요? [5] 천연딸기쨈7700 23/05/22 7700
170747 [질문] LED 전구의 깜빡임(플리커)현상 질문입니다. [1] 리클라이너7246 23/05/22 7246
170746 [질문] [엑셀] 상위 레벨 값 불러오기 [2] 사나없이사나마나8551 23/05/22 8551
170745 [질문] 장정결제(장 비우는 거) 구매는 불가능한가요? [2] wook989058 23/05/21 9058
170744 [질문] 반려동물(펫) 공기청정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kafka7344 23/05/21 7344
170743 [질문] 유럽 패키지 여행 다녀오신 분 있으신가요? [13] 깔치10748 23/05/21 10748
170742 [삭제예정] [젤다왕눈] 기존 말 어떻게 버리나요? [7] 리버스시어링10935 23/05/21 10935
170741 [질문] 애니 버프된거 있나요? [4] 월터화이트8335 23/05/21 8335
170740 [질문] msi 보다가 질문 올립니다. [4] 회색사과6979 23/05/21 6979
170739 [질문] 피잘 노래박사님들 노래좀 찾아주세요 [6] Liberal7181 23/05/21 71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