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8 14:09:03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중국은 대졸자 사무직 기준 월급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되나요?
중국 경제 자체가 이제는 성장할만큼 성장 많이해서 한국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주장도 있고

아니면 상하이 집세는 서울 집세보다 비싼 주제에 상하이 대졸자 월급은 80만원 정도밖에 안된다는 주장도 있던데

실제로 중국의 월급은 평균적으로 얼마나 되나요? 물론 물가는 그동안 많이 올라갔을테니 따로 묻지 않겠습니다

진짜로 중국에 가보신 분들이 답변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海納百川
23/05/18 14:25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 7,000위안이 좀 안되는 정도라는 통계가 있네요.
사람인 같은 취직 사이트를 보면 8,000이라고 나오구요.
보리야밥먹자
23/05/18 14:26
수정 아이콘
음 그러면 한화로 대략 150만원 정도인건데요? 이건 8000위안 기준입니다
대출 30년
23/05/18 14:29
수정 아이콘
오 생각보다 한국이랑 얼마 차이 안나는 기분..? 우리도 사람인에서 대충 돌리면 ...
海納百川
23/05/18 14:36
수정 아이콘
그 정도 아닐까싶어요.
80만이면 상하이에서는 애초에 생활이 안됩니다.
나이스후니
23/05/18 14:32
수정 아이콘
회사마다 다른데 한국과 같은 제조업중 상위레벨의 회사는 한국대비 7~80%쯤 되었습니다. 그런데 1차, 2차로 내려가면 떨어지는 폭이 굉장히 커서 월 100이하로 까지 떨어집니다. 1,2차벤더에서도 능력있고 외국어 되면 억대연봉도 받기도 하고요. 반면에...화웨이나 텐센트, 은행들은 대기업은 능력에 따라 한국 대기업보다 더 받습니다.
즉, 평균으로는 한국이 높다, 단 상위와 하위는 중국이 더 극단적으로 높고 낮다로 볼수 있습니다.
나이스후니
23/05/18 14:4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상하이는 가보면 물가차이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상하이는 집을 돈이 있다고 사는게 아니라, 직장이 있고 몇년이 지나야 살수 있는 구조이고 80만원이라는 건 크게 신뢰도 없는 말로 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덴드로븀
23/05/18 14:56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81052?sid=104
[중국 대졸자 평균 초봉 월 110만원…6.1%만 190만원 넘어] 2023.02.27.
중국 컨설팅 업체 마이커쓰(麥可思)의 대졸자 소득 분포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졸업 학부생의 평균 월급은 5천833위안(약 110만 원)으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졸자 초봉은 4천∼6천 위안(약 75만∼113만 원) 구간이 38.4%로 가장 많았고, 6천∼8천 위안(약 113∼151만 원)이 23.7%로 뒤를 이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4대 1선 도시의 평균 초봉은 7천332위안(약 138만 원)으로, 중국 평균보다 25.7% 많았다.]

연봉 환산시 상위도시 대졸 초봉 : 8~9만위안 수준 (1700~1800만원)
10만 위안 = 1900만원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120000129
[중국 고임금 기업 베이징 상하이 집중 현상 가속] 2022년11월20일
20일 중국 국가통계연감에 따르면
베이징의 도시 비사영 기업(국유기업 외자 등)과 사영기업 임금은 각각 19만 4651위안과 10만 11위안,
상하이의 비 사영기업과 사영 기업임금은 19만 1844위안, 9만 6011위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20만 위안 = 3800만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71918?sid=101
[지난해 직장인 평균 연봉 4024만원… 세종시 가장 높아] 2022.12.08.
세종시 4720만원
[서울시 4657만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838016?sid=101
[중소기업 대졸 신입 연봉 2881만원, 대기업 절반 수준] 2022.05.18.
사람인이 중소기업 기업 898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신입사원 연봉 현황'을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 : 4년제 대졸 신입 연봉 평균 2881만원(세전 기본급 기준)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94개사 기준) : 4년제 대졸 사원 평균 연봉 5356만원

상하이 상위 기업에 입사한 대졸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졸 초봉 수준은 받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구름달
23/05/18 15:40
수정 아이콘
오늘 본 중국 하녀구인 기사를 보니, 상하이 평균월급이 218만원이고 다른 중국지역 2배 수준이라고 하더라구요
로하스
23/05/18 15:52
수정 아이콘
아는 분이 난징에 있는 한국회사 법인에서 일하고 있고, 얼마 전에 잠깐 귀국해서 중국 얘기 들었는데
그 법인에 근무하는 중국인들 급여는 한 100만원 조금 넘는 정도 된다는거 같더라구요.
23/05/18 15:5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까 간병인으로 많이 오는 조선족? 중국인 아주머니들은 굉장한 고연봉자로 생각할 수 있겠네요. 물론 중국으로 대부분의 수익을 보낸다는 전재하에.
사나없이사나마나
23/05/18 16:15
수정 아이콘
mycos라는 중국회사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1년 졸업생의 평균 연봉이 5,833위안이고, 이는 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하네요. 38.4% 사람들이 4천~6천 구간이고, 6천~8천이 23.7%, 1만을 넘는 고연봉자들은 6.1%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소프트웨어쪽이 비교적 초봉도 높고 상승속도도 높은데, 21년 기준 6781위안이고, 18년도에 졸업한 사람들은 3년이 지난 21년 현재 10691위안 받는다고 하네요.
또, 일선도시(베이징, 상하이, 광동, 심천) 대졸자가 수입이 좀 더 높은데 18년도에 7332위안을 받고 3년이 지난 21년도에 11281위안을 받는다고 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05/18 19: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들 중합해보면 동부해안의 핵심도시권같은 일선이나 이선도시들은 아마 우리보다 큰 차이가 없을거고 그 외에서 평균을 다 까먹는거 아닐까 싶군요...
뾰로로롱
23/05/18 19:37
수정 아이콘
중국경제의 핵심은 시키면 시키는대로 하는 저임금의 고급 노동자가 무궁무진하다는 거죠. 임금 많이 올라왔다고 해도 아직 한국 수준 오려면 한참 넘었고,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임금 상승을 찍어누르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은 중국 따라가는게 불가능합니다. 거기다가 환경규제도 타국에 비하면 없는 수준이죠. 국력과 다수 국민의 행복을 교환한 국가가 중국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5/18 20:09
수정 아이콘
뭐 근데 중국의 문제는 그 요소투입성장으로 올라갈 수 있는 한계점에 도달해서...
벽을 넘느냐 마느냐죠...
23/05/18 22:39
수정 아이콘
개도국은 임금은 선진국수준 못되더라도 물가지수가 워낙 낮아서 돈의 가치가 틀리죠.
그리고 중국은 정책적으로 임금상승을 찍어누른적 없습니다.
오히려 최근 몇년은 공동부유때문에 임금이 물가상승대비 많이 오르고있어요.
환경문제는 우리도 플라스틱사용량 탑3에 몇안되는 기후악당국이라 뭐라할 처지는 아닌것 같아요.
나이스후니
23/05/18 22:51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임금수준은 많이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물가 특히 식비등에서 압도적으로 싸다보니 집문제만 없으면 분명 한국이 더 버는데 월급의 효용성(?)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일반인의 경우 한국과 다를바가 없어서, 공산주의로 인해 무언가를 못한다는 해당이 안됩니다. 부동산 투자도 하고 놀거다 놀고 잘 살아요. 국력과 다수 국민의 행복을 교환했다는 건 어떤 근거인지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107 [질문] 19)만화? 혹은 소설을 찾습니다. [6] 찬가(PGR21)7444 23/06/12 7444
171106 [삭제예정] 아프리카TV에서 어이없게 강퇴를 당한 적이 있었는데 [19] 삭제됨6760 23/06/12 6760
171105 [질문] 올 가을 부동산 PF의 위기가 있다는 얘기는 왜 그런건가요? [5] LG의심장박용택8201 23/06/11 8201
171104 [질문] 브랜드 아파트와 망한 건설사 아파트 차이.. [17] 마제스티7554 23/06/11 7554
171103 [질문] 에이펙스 레전드 팀원 구하는 곳 독을차고5743 23/06/11 5743
171102 [질문] 하이브리드 자전거 질문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아스트랄8791 23/06/11 8791
171101 [질문] 파이썬이 배울만할까요? [8] 토꺙7461 23/06/11 7461
171100 [질문] 와우 복귀 유저인데 초보랑 같이 하는법 [3] Payment Required5711 23/06/11 5711
171099 [질문] 혹시 컴퓨터가 오래되면 인터넷이 끊길 수 있는건가요? [9] 55만루홈런5832 23/06/11 5832
171098 [질문] 돌잔치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더미짱5504 23/06/11 5504
171097 [질문] 허벅지 땡김 통증+무릎 옆 피멍이 있다면 어느 병원을 가야할까요... [2] 시논6448 23/06/11 6448
171096 [삭제예정] 아프리카TV중에 이런 거 대세인가요? [6] 삭제됨6667 23/06/11 6667
171095 [질문] [디아 4] 두 가지 질문 Love.of.Tears.5755 23/06/11 5755
171094 [질문] 스파6 구매 시 에디션 문의 [4] 하얀사신5557 23/06/11 5557
171093 [질문] (20+5)×0.1=? [41] LeNTE7106 23/06/11 7106
171092 [질문] 코세척기 사용해보신분 혹시 소독은 어떻게 하시나요? [5] 슬라임6788 23/06/10 6788
171091 [질문] 윈도우설치 후 msi 자동 업데이트 설치 이게 뭔가요? [4] 환상회랑7123 23/06/10 7123
171090 [삭제예정] 바지에 맥주 쏟았을 때 어떡해야 될까요? [2] 삭제됨5214 23/06/10 5214
171089 [질문] 근래 있었던 대학병원 의사의 범죄행위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된장까스7075 23/06/10 7075
171088 [질문] 서울 칵테일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마제스티5775 23/06/10 5775
171087 [질문] 디아4 주로 나오는 불만사항 한가지 관련 질문입니다. [12] 오레오레오나5166 23/06/10 5166
171086 [질문] 범용성 좋은 시판 양념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사람되고싶다6024 23/06/10 6024
171085 [질문] 이 사양으로 디아4 돌아갈까요? [3] 응 아니야6497 23/06/10 64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