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8 14:09:03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중국은 대졸자 사무직 기준 월급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되나요?
중국 경제 자체가 이제는 성장할만큼 성장 많이해서 한국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주장도 있고

아니면 상하이 집세는 서울 집세보다 비싼 주제에 상하이 대졸자 월급은 80만원 정도밖에 안된다는 주장도 있던데

실제로 중국의 월급은 평균적으로 얼마나 되나요? 물론 물가는 그동안 많이 올라갔을테니 따로 묻지 않겠습니다

진짜로 중국에 가보신 분들이 답변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海納百川
23/05/18 14:25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 7,000위안이 좀 안되는 정도라는 통계가 있네요.
사람인 같은 취직 사이트를 보면 8,000이라고 나오구요.
보리야밥먹자
23/05/18 14:26
수정 아이콘
음 그러면 한화로 대략 150만원 정도인건데요? 이건 8000위안 기준입니다
대출 30년
23/05/18 14:29
수정 아이콘
오 생각보다 한국이랑 얼마 차이 안나는 기분..? 우리도 사람인에서 대충 돌리면 ...
海納百川
23/05/18 14:36
수정 아이콘
그 정도 아닐까싶어요.
80만이면 상하이에서는 애초에 생활이 안됩니다.
나이스후니
23/05/18 14:32
수정 아이콘
회사마다 다른데 한국과 같은 제조업중 상위레벨의 회사는 한국대비 7~80%쯤 되었습니다. 그런데 1차, 2차로 내려가면 떨어지는 폭이 굉장히 커서 월 100이하로 까지 떨어집니다. 1,2차벤더에서도 능력있고 외국어 되면 억대연봉도 받기도 하고요. 반면에...화웨이나 텐센트, 은행들은 대기업은 능력에 따라 한국 대기업보다 더 받습니다.
즉, 평균으로는 한국이 높다, 단 상위와 하위는 중국이 더 극단적으로 높고 낮다로 볼수 있습니다.
나이스후니
23/05/18 14:4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상하이는 가보면 물가차이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상하이는 집을 돈이 있다고 사는게 아니라, 직장이 있고 몇년이 지나야 살수 있는 구조이고 80만원이라는 건 크게 신뢰도 없는 말로 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덴드로븀
23/05/18 14:56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81052?sid=104
[중국 대졸자 평균 초봉 월 110만원…6.1%만 190만원 넘어] 2023.02.27.
중국 컨설팅 업체 마이커쓰(麥可思)의 대졸자 소득 분포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졸업 학부생의 평균 월급은 5천833위안(약 110만 원)으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졸자 초봉은 4천∼6천 위안(약 75만∼113만 원) 구간이 38.4%로 가장 많았고, 6천∼8천 위안(약 113∼151만 원)이 23.7%로 뒤를 이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4대 1선 도시의 평균 초봉은 7천332위안(약 138만 원)으로, 중국 평균보다 25.7% 많았다.]

연봉 환산시 상위도시 대졸 초봉 : 8~9만위안 수준 (1700~1800만원)
10만 위안 = 1900만원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120000129
[중국 고임금 기업 베이징 상하이 집중 현상 가속] 2022년11월20일
20일 중국 국가통계연감에 따르면
베이징의 도시 비사영 기업(국유기업 외자 등)과 사영기업 임금은 각각 19만 4651위안과 10만 11위안,
상하이의 비 사영기업과 사영 기업임금은 19만 1844위안, 9만 6011위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20만 위안 = 3800만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71918?sid=101
[지난해 직장인 평균 연봉 4024만원… 세종시 가장 높아] 2022.12.08.
세종시 4720만원
[서울시 4657만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838016?sid=101
[중소기업 대졸 신입 연봉 2881만원, 대기업 절반 수준] 2022.05.18.
사람인이 중소기업 기업 898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신입사원 연봉 현황'을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 : 4년제 대졸 신입 연봉 평균 2881만원(세전 기본급 기준)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94개사 기준) : 4년제 대졸 사원 평균 연봉 5356만원

상하이 상위 기업에 입사한 대졸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졸 초봉 수준은 받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구름달
23/05/18 15:40
수정 아이콘
오늘 본 중국 하녀구인 기사를 보니, 상하이 평균월급이 218만원이고 다른 중국지역 2배 수준이라고 하더라구요
로하스
23/05/18 15:52
수정 아이콘
아는 분이 난징에 있는 한국회사 법인에서 일하고 있고, 얼마 전에 잠깐 귀국해서 중국 얘기 들었는데
그 법인에 근무하는 중국인들 급여는 한 100만원 조금 넘는 정도 된다는거 같더라구요.
23/05/18 15:5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까 간병인으로 많이 오는 조선족? 중국인 아주머니들은 굉장한 고연봉자로 생각할 수 있겠네요. 물론 중국으로 대부분의 수익을 보낸다는 전재하에.
사나없이사나마나
23/05/18 16:15
수정 아이콘
mycos라는 중국회사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1년 졸업생의 평균 연봉이 5,833위안이고, 이는 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하네요. 38.4% 사람들이 4천~6천 구간이고, 6천~8천이 23.7%, 1만을 넘는 고연봉자들은 6.1%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소프트웨어쪽이 비교적 초봉도 높고 상승속도도 높은데, 21년 기준 6781위안이고, 18년도에 졸업한 사람들은 3년이 지난 21년 현재 10691위안 받는다고 하네요.
또, 일선도시(베이징, 상하이, 광동, 심천) 대졸자가 수입이 좀 더 높은데 18년도에 7332위안을 받고 3년이 지난 21년도에 11281위안을 받는다고 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05/18 19: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들 중합해보면 동부해안의 핵심도시권같은 일선이나 이선도시들은 아마 우리보다 큰 차이가 없을거고 그 외에서 평균을 다 까먹는거 아닐까 싶군요...
뾰로로롱
23/05/18 19:37
수정 아이콘
중국경제의 핵심은 시키면 시키는대로 하는 저임금의 고급 노동자가 무궁무진하다는 거죠. 임금 많이 올라왔다고 해도 아직 한국 수준 오려면 한참 넘었고,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임금 상승을 찍어누르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은 중국 따라가는게 불가능합니다. 거기다가 환경규제도 타국에 비하면 없는 수준이죠. 국력과 다수 국민의 행복을 교환한 국가가 중국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5/18 20:09
수정 아이콘
뭐 근데 중국의 문제는 그 요소투입성장으로 올라갈 수 있는 한계점에 도달해서...
벽을 넘느냐 마느냐죠...
23/05/18 22:39
수정 아이콘
개도국은 임금은 선진국수준 못되더라도 물가지수가 워낙 낮아서 돈의 가치가 틀리죠.
그리고 중국은 정책적으로 임금상승을 찍어누른적 없습니다.
오히려 최근 몇년은 공동부유때문에 임금이 물가상승대비 많이 오르고있어요.
환경문제는 우리도 플라스틱사용량 탑3에 몇안되는 기후악당국이라 뭐라할 처지는 아닌것 같아요.
나이스후니
23/05/18 22:51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임금수준은 많이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물가 특히 식비등에서 압도적으로 싸다보니 집문제만 없으면 분명 한국이 더 버는데 월급의 효용성(?)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일반인의 경우 한국과 다를바가 없어서, 공산주의로 인해 무언가를 못한다는 해당이 안됩니다. 부동산 투자도 하고 놀거다 놀고 잘 살아요. 국력과 다수 국민의 행복을 교환했다는 건 어떤 근거인지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233 [질문] 아이폰 구매 조언/투표 해주세요.. [5] 리얼월드6665 23/06/19 6665
171232 [질문] 책을 스캔하려고합니다. [4] 로스7220 23/06/19 7220
171231 [삭제예정] 주차장에서 접촉사고가 났는데 이 정도면 보통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11] 삭제됨5914 23/06/19 5914
171230 [질문] 브루노 마스 내한공연에서 부른 곡 리스트 알고 싶습니다! [4] 나혼자만레벨업9145 23/06/19 9145
171229 [질문] 직구 배송지 주소가 없어 반송 받아보신분 있나요 [10] 늅늅이5337 23/06/19 5337
171228 [질문] 주재원 나가있는 친구집 방문시 애들 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4] Dresden4879 23/06/19 4879
171227 [삭제예정] 전세집 구하는것 대출(자금조달) 관련 질문입니다. [2] 삭제됨4392 23/06/19 4392
171226 [질문] 부산-울산 출퇴근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2] 흰둥7594 23/06/19 7594
171225 [질문] 구글 드라이브에 공유폴더 업로드만 가능할까요? 방구차야5426 23/06/19 5426
171224 [질문]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클래식 게임에서요 [4] 흰둥6289 23/06/19 6289
171223 [질문] 신혼 가전 구입 질문입니다 [13] longtimenosee5685 23/06/19 5685
171222 [질문] 새치에 효능있는 음식이나 대안이 있을까요? [7] 알렉스터너5435 23/06/19 5435
171221 [질문] 윈도우 블루스크린 원인? [4] Grundia4797 23/06/19 4797
171220 [질문] 화장실 변기 곰팡이 질문입니다. [9] kogang20016418 23/06/19 6418
171219 [질문] 군무원이란 직업은 인식? 대우가 어떤가요? [16] 레너블8103 23/06/19 8103
171218 [질문] 등기부등본 예전 주소로 사람 찾아내는 법 있을까요 [2] 큐브님6922 23/06/19 6922
171217 [질문] 일본여행 준비물 질문입니다 [12] 더높은곳으로8206 23/06/19 8206
171216 [질문] 어깨인공관절 수술 잘하는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2] 목캔디5936 23/06/19 5936
171215 [질문] 피씨방에서 일어난 일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원딜은안해요6268 23/06/19 6268
171214 [질문] 하드 외부 연결을 위한 케이블 질문. 동굴곰5827 23/06/19 5827
171213 [질문] 현대차 순정네비+카플레이 조합 관련 문의입니다. [3] Klopp6432 23/06/19 6432
171212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 드립니다 [1] IDEAL.OF.IDOL6379 23/06/19 6379
171211 [질문] 이글루스 폐쇄 이후 sonnet님의 글은 싹 다 날아간 건가요..? [4] No.99 AaronJudge8148 23/06/19 81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