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03 14:09:27
Name 난할수있다
Subject [질문] 해외에서 수입을 하시는 분에게 여쭙니다. (1.1844 의미) (수정됨)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해외에서 수입을 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해외업체와 단가 협상을 할때, 저희 이익률을 계산해보는데요.
(관세 면제 품목)

저희 대표님은 수입원가(한화)를
해외단가 x 환율 x 1.1844로 계산하기를 원하십니다.

예를 들면 한 물건의 단가가 100 USD라고 가정하면
100 X 1,339(금일 환율) X 1.1844 = 158,592원

로 계산하기를 원하십니다.

부가세는 10%이기때문에
저 1.1844를 1.1로 변경해도 문제가 없을 듯 한데..

물류비까지 감안을 어느정도 하면
844를 넣는게 맞아서 그런지 ...

혹시 이렇게 계산하는게 일반적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3/05/03 14:24
수정 아이콘
컴덕들 사이에서도 달러를 환산할 때에 해외단가 x 환율 x 1.1로 계산 많이 해서 어느정도 익숙한데, 1.1844는 처음 들어보는데요.
이러다가는다죽어
23/05/03 14:41
수정 아이콘
음..여태까지의 수입시 비용을 계산해봤을때 얼추 평균을 구하신게아닐까요?
저도 뭐 많이는 아니어도 주기적으로 수입하는데

관세 부가세 물류비 + (통관료) 까지 하면 1.1 이상은 나오더라구요...
톤업선크림
23/05/03 14:48
수정 아이콘
수입쪽 근무하는데 1.1844는 첨 들어봅니다...만 관부가세 제외하더라도 그정도 수준을 수입비용으로 책정하긴 합니다
23/05/03 14:48
수정 아이콘
관세 8% 쯤되는거 아닌가요?
해외단가에 물류비 포함되어있는게 아닌가 싶고..
그리고 관세가 없더라도 사업자 통관의경우 지켜야할것들이 매우 많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23/05/03 15:04
수정 아이콘
1.1844 가 뭔가 정해진 히스토리가 회사 내부에 있을 것 같네요.
23/05/03 15:21
수정 아이콘
0.844에 대해서 뭔 이유가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는게 맞을듯 한데

원가라고 하는게 결국 이것저것이 포함 되기 때문에, 기타 들어가게 되는 제경비에 대해 요율을 8.44%정도 잡았다고 생각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공식적인 숫자들간에서 저런식의 이상한 계산은 건보료 정도 아니면 없을텐데 (...)
톤업선크림
23/05/03 15:37
수정 아이콘
18.44%죠 크크
저희 회사도 보통 수입비용 관부가세 제외하고 20% 정도로 감안하니까 얼추 맞긴 한듯 해요
근데 18.44%가 어디서 나온 숫자인지는 아마 사장님만의 영업비밀(?)같은게 아닐지...
23/05/03 15:52
수정 아이콘
10%는 위에서들 부가세쯤으로 보시는거 같다고 하니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거 같아서 빼놨..

아 0.0844네.. 크크크
이토 미쿠
23/05/03 15:55
수정 아이콘
저희의 경우에도 부대비용으로 1.1x 곱한 비용으로 부대비용까지 넣어서 원가 계산합니다.
츠라빈스카야
23/05/03 15:58
수정 아이콘
그 회사에서 경험적으로 산출된 제반경비 비율이 제품 가격 대비 18.44%였겠지...라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른 회사에 1.1844를 물어봐도 왜 그 숫자인지는 모를거에요
23/05/03 16:21
수정 아이콘
영업비밀이겠죠

그정도로 나오더라는게 이미 노하우로 축적되어서 나왔을테니 쓰시면 됩니다.
윤지호
23/05/03 18:11
수정 아이콘
수입 시 수입자측 원가를 산출할때는 부대비용(주로 물류비)까지 합쳐서 산출하게 됩니다.
국내 보세구역까지의 운송비는 계산하시는지 모르겠는데 본문에는 언급이 없으니 스킵하고, 그걸 제외하고서도 수입할때는 부가세 외에도 통관시 보세구역에서 필연적으로 물류비가 발생하고 또 회사창고가 보세구역 바로옆에 있지 않는이상 회사창고까지 물건을 운송하는 비용도 또 발생하게 되죠.
근데 이건 품목 및 수량에 따라 달라지고 어느 운송업체를 이용하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져요. 아마 해당 비율은 대표님께서 그동안 해보니 수입원가에서 이정도 붙이면 우리쪽 원가가 나오는구나라고 파악하셔서 그렇게 정하신거라고 보면 됩니다.
상한우유
23/05/04 11:22
수정 아이콘
평균 수입 부대비용 비율이 그정도 나올껍니다. 저희회사 같은 경우는 수입관세가 없어서 1.05 곱합니다. (부가세는 논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539 [질문] (혹여라도) 미래에 (해외)주식매도 양도세 강화 or 보유세 부과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5] 난할수있다7181 23/05/09 7181
170538 [질문] 물걸레 겸용 로봇청소기 쓸만 할까요? [7] 친친나트7739 23/05/09 7739
170537 [질문] 무선충전이 되는 가장 저렴한 국산폰 추천해주세요. [9] 신촌로빈훗7002 23/05/09 7002
170536 [질문] 1인가구 식기세척기 어떨까요? [16] 휘안7321 23/05/09 7321
170535 [질문] 롤 패배시 점수가 너무 떨어지는데 어케하죠? [3] 쥬리6223 23/05/09 6223
170534 [질문] 물걸레 청소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라멘가게6314 23/05/09 6314
170533 [질문] 데탑곤볼 램, 파워,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사람되고싶다7565 23/05/09 7565
170532 [삭제예정] 너무 힘듭니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30] 삭제됨9899 23/05/09 9899
170531 [질문] TV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luvsic9227 23/05/09 9227
170530 [질문] 혹시 사주나 운세 잘 보는 가게 있을까요? [5] 클레멘티아7366 23/05/09 7366
170529 [질문] 갤럭시 탭 S9 VS 갤럭시 탭 S8 [11] 아이러브스타10464 23/05/09 10464
170528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문의합니다 [6] 데몬헌터8232 23/05/09 8232
170527 [삭제예정] 퇴직시 연금선택을 어느거로 하면 좋을까요? [5] will7276 23/05/09 7276
170526 [삭제예정] 오늘 국선변호사 미팅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에티켓(?) 등이 뭐가 있을까요? [4] WhiteBerry8536 23/05/09 8536
170525 [질문] 유튜브 첫화면이 추천영상들이 안바껴요 노래하는몽상가7689 23/05/09 7689
170524 [질문] 에어맥스 시리즈들 색생따라 가격 천차만별인 이유? [3] 스핔스핔6176 23/05/09 6176
170523 [질문] 빅스 포토샵 라이트룸용 겜트북 구매 이거 맞을까요 [3] 프라하7065 23/05/09 7065
170522 [질문] 아이패드 셀룰러 유심 질문드립니다 [2] GoodLuck6093 23/05/09 6093
170521 [삭제예정] [약혐주의] 이런건 어느 병원에 가야할까요? [13] 퍼블레인8055 23/05/08 8055
170520 [질문] 빅스 PC 완본체 구입해도 되나요? [8] 슈퍼디럭스피자8545 23/05/08 8545
170519 [질문] 만년필 선택에 조언을 요청드립니다 [10] 스토너8381 23/05/08 8381
170518 [질문] 120만원 이하 컴퓨터 견적 부탁드립니다. [9] originalcola11281 23/05/08 11281
170517 [질문] 호텔 연박(일주일)시 중간에 방을 바꿀수있나요? [8] 준스톤9349 23/05/08 93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