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22 16:01:58
Name 일신
Subject [질문] 슬더슬 진엔딩 에메랄드 열쇠는 몇 층에서 먹는 게 보통인가요? (수정됨)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정작 궁금하던 걸 빼먹어서...
제목 수정해서 추가 질문합니다.
그 특수 엘리트 잡아야 먹는 초록 열쇠 있잖습니까.
이건 보통 몇 층에서 노리시나요?
저는 1층 엘리트가 쉬울 거 같아서 잡아보는 중인데
얼추 덱 완성된 3층에서 트라이하는 게 성공률이 높으려나요?


아래는 원래 본문입니다.
slay the spire 800원 할인에 낚여서 샀다가
인생이 실시간 삭제되고 있는 일신입니다.

너무 몰입이 심해져서; 레알 위기감을 느끼는 터라
아이언클래드 진엔딩만 보고 빨리 지워버리려고 합니다.

근데 아클은 해금 다 했는데도
이거 열쇠 세 개 먹고 진엔딩 보는 게 쉽지 않네요;

덱 구성이든, 아이템 선택이든, 기타 무엇이든
아클 팁 부탁드립니다.

챗지피티(무료)는 너무 뻔한 말만 해주네요 OTL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22 16:03
수정 아이콘
아클이면 완벽한타격 두어개 들고 기타 등등 '타격'카드 좀 줏은 다음 강화해서 무덤에 버렸다 퍼올렸다 하는 트리가 노승천에선 살인적으로 셉니다
23/03/22 16:30
수정 아이콘
명쾌하네요 감사합니다. 맨날 피가 모자라서 죽길래 방어 위주로 짜느라 타격에 소홀했네요.
23/03/22 16:06
수정 아이콘
저도 며칠 전에 샀는데, 벌써 플레이타임이 24시간이 됐네요... 얼마 안 한 것 같은데.. 후...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조합으로는 '타격'과 '힘' 조합이 있다고 합니다!
23/03/22 16:30
수정 아이콘
힘은 키카드 빨리 나오면 어떻게든 가는데 (방금도 힘타다 망함...)
타격을 생각도 안 했네요. 맨날 기본타격 카드 제거만 했는데.

감사합니다.
서스펜스
23/03/22 16:14
수정 아이콘
아클은 덱에서 카드를 찾거나 패를 늘려주는 보조카드가 빈약하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시고 플레이하시는게 좋습니다. 가능한 꼭 필요한 카드만 집어서 덱의 크기가 너무 커지지 않게 조정해둬야 패가 말려서 얻어맞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클 덱은 크게 봤을때 힘을 쌓아서 공격력을 높이는 힘덱, 완벽한 타격을 활용하는 타격덱, 각종 소멸 조건부 카드를 활용하는 소멸덱, 바리케이드 카드를 이용해 방어력을 쌓고 몸통박치기로 딜하는 방어덱이 있습니다. 이 덱들의 핵심 키카드나 파워카드를 발견하셨다면 덱 컨셉을 확실히 잡고 운영해야 시너지가 강하게 나옵니다. 컨셉덱의 정보는 각종 위키를 참고하시거나 유튜버들의 플레이를 참고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서스펜스
23/03/22 16:23
수정 아이콘
힘덱은 힘을 쌓아야 딜이 강한만큼 방어카드를 소홀히 하면 망하기 쉬워서 밸런스 있는 덱구성이 중요하고, 완벽한 타격덱 역시 완벽한 타격 딜뽕에 너무 취해서 공격카드가 지나치게 많으면 엘리트 방에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밸류 방어카드를 챙기는 퍈이 좋습니다. 소멸시너지는 소멸된 카드는 그 전투 내에서는 다시 못쓰기 때문에 소멸덱의 핵심카드인 무감각과 타락 두카드가 전부 갖춰져야 강력해집니다. 타락카드 하나만 있으면 방어카드를 쓰면 소멸되서 다음 턴에 쓸만한 방어카드가 남지 않을수도 있기 때문에 타이밍 조절이 필요합니다. 방어덱은 무난하고 강력하며 조건도 별로 안타서 가장 추천드립니다. 바리케이드만 있으면 방어카드를 많이 집고 몸통박치기를 두장 정도 집으면 덱이 완성됩니다. 몸통박치기는 강화가 필수기 때문에 강화 이벤트나 횃불에서 미리 강화해두셔야 운영이 쉬워집니다.
23/03/22 16:32
수정 아이콘
필요한 카드 위주로 집고, 필요없다 싶으면 카드 선택에서 과감히 패스해야겠군요.
진엔딩 가장 가까이 간 게 방어덱이었긴 합니다.
소멸덱은 아직 초보라 그런지 감이 없네요 OTL
위키를 좀 더 뒤져보겠습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23/03/22 16:19
수정 아이콘
23/03/22 16:32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23/03/22 16:23
수정 아이콘
윗 분이 올려주신 것처럼, 파워카드 바리케이트를 이용한 방어도 쌓기 + 몸통박치기가 제일 승률이 높은 느낌입니다.
23/03/22 16:32
수정 아이콘
근데 방덱가야지 가야지 마음먹으면 꼭 상인놈이 엄한 것만 팔고 있고... 드랍 카드도 구리고...OTL
Lazymind
23/03/22 16:27
수정 아이콘
난관극복 + 기사회생으로 방어도를 쌓고 부상카드는 소멸로 날려버리고 몸통박치기로 딜을 넣는덱. 바리케이드까지 있으면 금상첨화
바리케이드 + 참호,무적,난관극복,기사회생 등등 방어도쌓고 몸박
타락으로 스킬카드0코, 타락으로 소멸될때마다 가지로 카드가 생성되는 가지타락

방어도를 기반으로 몸박으로 마무리하는게 쉽고 완성난이도도 낮습니다.
가장 강한건 가지타락인데 이건 가지를 먹는 실력이 필요합니다.
23/03/22 16:33
수정 아이콘
아직 가지 한 번도 못 봤네요 OTL
타카이
23/03/22 16:30
수정 아이콘
방밀전사가 제일 쉬운편인데 결국 운빨이라 빠른 리셋이 필요합니다
23/03/22 16:33
수정 아이콘
빠른 리셋 크크크크크
좋은 팁 감사합니다.
RedDragon
23/03/22 16:46
수정 아이콘
1층 보스만 잡으면 그 후에 다시 시작할 때 보스 랜덤 유물 선택할 수 있는데 (기본 유물 포기), 여기서 좋은거 나오면 프리패스 입니다 크크
23/03/22 17:10
수정 아이콘
아하! 이거 보고 빠른 리셋해야겠군요
서스펜스
23/03/22 16:48
수정 아이콘
엘리트를 무난하게 잡을 수 있는 덱이 완성되면 에메랄드 키를 얻기 쉽죠. 첫 엘리트 보상에서 좋은 카드나 유물을 먹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면 1막에 가겠지만 보통은 덱의 방향성이 잡히고 핵심카드도 충분한 3막에 가는게 가장 무난합니다. 2막은 동시에 다수를 상대하는 엘리트가 많아서 웬만큼 덱이 강하지 않은 이상은 잘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23/03/22 17:11
수정 아이콘
상세하고도 정성들여 써 주신 답변 고맙습니다 ㅠㅠ
괜히 자꾸 1막에서 어려운 애한테 들이댔군요.
화서역스타필드
23/03/22 16:54
수정 아이콘
저는 스네코의눈 / 타락 / 어둠의 포용 / 무감각 이렇게는 무지성으로 줍습니다
23/03/22 17:11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 타락 쓰는 법에 익숙치 않아서 그런지 OTL
눈여겨보겠습니다.
은때까치
23/03/22 16:58
수정 아이콘
전직업 심장클리어율 40%정도 나오는 고인물입니다 (고인물.... 맞겠죠?)

보통 열쇠는 전부 3막이죠. 체감 난이도가 2막 >>>> 3막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게임 진행이
1막: 극초반에 나오는 공격카드를 이용해 엘리트 최대한 잡고 / ? 밟으면서 덱압축 / 휴식 [안하고] 최대한 째기
2막: 어떻게든 그동안 쌓아놨던 빠워로 [생존], 덱 방향성 잡기
3막: 2막을 거치면서 잡은 방향성대로 [성장성 확보] - 심장을 위한 준비

슬더스의 핵심은 저층부터 굴리는 스노우볼이고,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모든 빨파초 열쇠는 최후의 최후까지 미뤄두는게 좋습니다.
23/03/22 17:12
수정 아이콘
이야 명쾌하네요. 가이드라인 고맙습니다.
스노우볼이 핵심이었군요.
테네브리움
23/03/22 17:25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렇게 쓰려고 왔는데 늦었네요..
추가하자면 엘리트 대처카드 잘 집었고 동선까지 좋으면 갈만하다!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라가불린 남았는데 악마화, 파수기 남았는데 무감각/화형 들고 있는 상황이죠.
아니면 인공물+스테로이드포션or몸풀기+같이 사기치는 조합이던가요.
23/03/23 08:07
수정 아이콘
엘리트, 보스마다 잘 대처할 수 있는 세팅이 있다는 생각을 못해봤네요. 원 베스트 웨이만 생각했는데.감사합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3/22 17:26
수정 아이콘
저는 1층에서 노립니다.
수틀리면 그냥 빠른 리트!

아클은
고점 높음 완성 빡셈 = 나뭇가지(유물) + 타락 + 소멸덱 or 방밀덱
고점 적당 완성 무난 = 힘덱
23/03/23 08:08
수정 아이콘
크크크 빠른 리트 생활화를 해보겠습니다
삼화야젠지야
23/03/22 18:40
수정 아이콘
여유가 생기면 틈틈이라고 밖에....?

로그라이크 특성상 트라이를 늘리면서 운이 좋은 판을 많이 갖는게 클리어에 유리하고, 1막에 열쇠를 다 먹어봤자 2막에서 죽으면 말짱 황이기 때문에, 2막 중반부까지는 열쇠보다 덱을 강화하는걸 우선하고 선택지가 맛없다 싶을 때 틈틈히 한 두 개 집어두는 정도.

아클은 방밀, 힘, 타격, 연타, 드롭킥 등등 컨셉덱들은 모두 군더더기 없이 잘 빠져야 힘이 나오기 때문에 좀 짬뽕이어도 밸류가 나오는 잡덱(소멸+방밀)이 제일 쉬웠던거 같습니다.
23/03/23 08:09
수정 아이콘
그르니까요 이게 컨셉을 아무리 잡으려 해도 마음대로 잘 안되고, 컨셉에 안 맞다고+덱 압축한다고 카드 선택지 패스하고 넘어가면 결국 덱이 너무 약해지고... 초보에겐 너무 어렵습니다 ㅜㅜ

그래도 재밌으니 기가 막히네요.
23/03/22 23:32
수정 아이콘
다른 친구들 3명도 해주세요~ 나름 재밋씁니다
23/03/23 08:06
수정 아이콘
사실 최애 취향은 사일런트입니다 크크크
카드 계속 드로우+독뎀 늘리기가 꿀잼이드라고요.
인생은서른부터
23/03/23 08:23
수정 아이콘
폭주촉매 줄여서 폭촉 콤보 한번 넣어보십쇼
23/03/23 15:15
수정 아이콘
1막에서 엘리트 하나만 잡을 생각이면 1막에서 잡는것도 방법이긴 합니다. 보통 1막에선 체력이 좀 남으니까요. 둘 이상 잡기엔 모자란 경우가 많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667 [질문] 회사에서 장기 출장을 다녀오라는데.. [3] 비행기타고싶다6829 24/06/14 6829
176666 [질문] 파워포인트 붙여넣기시 위치고정이 안됩니다 [5] 니플6343 24/06/14 6343
176665 [질문] 경기광주의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39] 교자만두9202 24/06/14 9202
176664 [질문] 옛날 게임을 찾습니다 [8] 이선화6700 24/06/14 6700
176663 [질문] 유튜브 요약 ai가 아닌 유튜브 전문을 텍스트로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3] 아싸라비아똥구멍6103 24/06/14 6103
176662 [질문] 중고차 질문입니다. 1인소유 차량인데, 렌트카 전환 이력 있음 [8] LG의심장박용택6987 24/06/13 6987
176661 [질문] 휴가철 전기차 충전 질문합니다. [11] 보아남편7000 24/06/13 7000
176660 [질문] 그래픽카드 풀로드 모니터 꺼짐현상 [11] 엘제나로11309 24/06/13 11309
176659 [질문] 롤 이벤트 패스 구매해두고 3주 안에 깨야하는 건가요? [2] 허느6628 24/06/13 6628
176658 [질문] 노트북도 가동시 미가동시 방 온도 습도 차이가 그렇게 많이 나나요? [1] Pika487271 24/06/13 7271
176657 [질문] 실거래 뜬 아파트의 강제경매개시결정 질문드립니다 기다리다6228 24/06/13 6228
176656 [질문] 미국 올랜도 치안 어떤가요? [2] 성야무인7188 24/06/13 7188
176655 [질문] 태블릿 비교부탁드리겠습니다. [18] 먼산바라기6667 24/06/13 6667
176654 [질문] 청약을 도전하고 싶은데 세대분리 해놓으면 좋나요? [3] bifrost6260 24/06/13 6260
176653 [질문] 삼성전자 데스크탑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16] BK_Zju6613 24/06/13 6613
176652 [질문] imgur 링크 이미지 로딩 속도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이화5675 24/06/13 5675
176651 [질문] 교통 사고나면 어떻게 하는게 정석인가요? [4] 라리6000 24/06/13 6000
176650 [질문] 혹시 중국에서 정의(justice)에 대한 인식이 [8] 차라리꽉눌러붙을5501 24/06/13 5501
176649 [질문] 트렁크에 몇달 넣어놓은 와인 괜찮나요? [7] 호비브라운6521 24/06/13 6521
176648 [질문] 잇몸 안쪽에서 음식이 부패할수있나요? [5] Dunn6013 24/06/13 6013
176647 [질문] 정부부처 시상결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2] 무냐고5652 24/06/13 5652
176646 [삭제예정] 1금융 신용대출 관련 문의입니다.(삭제 예정) [6] 삭제됨4772 24/06/13 4772
176645 [질문] 당뇨 발 관련해서 급한 상황일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T.F)Byung47417 24/06/13 74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