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06 09:37:28
Name grrrill
Subject [질문] 미국은 물가 상승률이 왜그렇게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도 요 근래 물가가 많이 오른것 같긴 한데

뉴스를 보면 미국은 우리나라 보다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른것 같더라구요.

미국 물가 상승률이 우리나라 대비 그렇게 높은데 이유가 있을까요?

과잉 유동성 / 공급충격 이런건 우리나라가 더 심할것 같은데 말이에요.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건지..

아니면 실제로는 미국 물가 상승은 우리나라랑 비슷한 수준인데

뉴스만 봐서 착각을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어요.

정말 미국 물가 상승률이 높긴 할까요? 그러면 그 이유는 뭘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라지
23/01/06 09:44
수정 아이콘
코로나때 돈을 많이 풀었던게 원인중에 하나라고 알고 있습니다.
23/01/06 09:45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기에 미국정부에서 돈을 엄청나게 풀었고, 그렇게 되자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한 노동을 하지 않게 되고, 사람을 못구하니까 임금이 올라가고, 결과적으로 물가가 올라갔다고 알고 있습니다.
23/01/06 09:53
수정 아이콘
미국이 돈을 많이 풀기도 했지만 우리나라는 공산품이 아닌 서비스 재화 대부분을 국가에서 가격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의료 교통 에너지 등등요.
23/01/06 09:5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보면 의외로(?) 돈을 덜 풀었던 편입니다.
연준 대차대조표만 봐도 08년 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진행해왔던 양적완화보다 코로나 이후 증가폭이 더 높습니다
다만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YoY를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을 발표하고 있으며 MoM으로 볼 때는 상승세가 많이 완화된 상황입니다.
YoY 기준으로도 점차적으로 빠지고 있구요. 다음주 발표될 미국 12월 CPI 예상치는 어느덧 6.7%네요

물론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전기, 가스 등 통제 가능한 변수를 작년엔 많이 억제시켰고
올해는 이러한 부분을 상당 부분 현실화할 것이기 때문에 YoY 기준으로는 올 하반기 쯤 우리나라와 미국의 CPI가 역전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망고베리
23/01/06 10:13
수정 아이콘
중국, 베트남같은 공급망 옆에 있는 것도 크죠
23/01/06 11:04
수정 아이콘
미국은 어려우니까 돈을 미친듯이 풀었고 - 그거 받고 일을 안 하고 - 사람이 부족하니 임금이 오르고 - 임금이 오르니 물가가 오르고의 반복이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돈을 미친듯이 풀지도 않았고, 그거 받고 일을 다 했고, 그래서 사람이 부족하지 않았죠. 임금 상승은 있었지만 일반적인 범위였구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 요인은 내부적 요인보단 대부분 에너지 등의 외부적 요인이었습니다.
반면 미국은 외부적 요인은 우리나라보다 적더라도 거기에 내부적 요인이 크게 들어가니 물가상승률이 커진거라 볼 수 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23/01/07 11:07
수정 아이콘
미국은 진짜 너무 할 정도로 돈을 풀어서... 어려워? 돈 풀자, 힘들어? 돈풀자, 애매해? 돈풀자, 활황이야? 돈풀자 때됐네? 돈풀자 이 짓을 그냥 끊임 없이 해왔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312 [질문] 방문세치? 마트나 백화점에 있는 내부세차장? 어디가 좋을까요? [1] 카푸스틴7841 23/01/08 7841
168311 [질문] 7호선 강남구청역 주변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7] kogang20016879 23/01/08 6879
168310 [질문] 가열식 가습기 바닥 물고임 [2] kissandcry8291 23/01/08 8291
168309 [질문] 주위에 운전하는 여자 비율이 얼마나 되시나요? [12] CastorPollux12835 23/01/08 12835
168308 [질문] 스마트 티비 무선 MAC 주소 마인부우8093 23/01/08 8093
168307 [질문] 세키로 엔딩 봤습니다. 비슷한 게임 추천드립니다. [13] 선플러9403 23/01/08 9403
168306 [질문] 아이패드 배터리효율이 늘어나기도 하나요? [2] 월터화이트7123 23/01/08 7123
168305 [질문] 최근 유튜브에 철학, 인생, 명언 관련 컨텐츠 채널이 우후죽순 늘어난 이유가 뭘까요? [13] 시나브로10926 23/01/08 10926
168304 [질문] 유튜브 검색 기록 Liberation7779 23/01/08 7779
168303 [질문] 교통사고가 났는데 처리를 어떻게해야할까요 [24] JP-pride9071 23/01/08 9071
168302 [질문] 윈도우 블루스크린 해결 방법 [5] 8364 23/01/08 8364
168301 [질문] 티비용 사운드바 추천, 결정?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12] 용열이7830 23/01/08 7830
168300 [질문] 차량용 블루투스 리시버 중 고음질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현혹8200 23/01/07 8200
168299 [질문] 폰게임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추천좀 해주세요! [9] 분당선9252 23/01/07 9252
168298 [삭제예정] 인터넷이 안되고 뭔가 파티션이 많아졌습니다 [3] 삭제됨8359 23/01/07 8359
168297 [질문] 컴퓨터 ssd 질문입니다 [5] 8288 23/01/07 8288
168296 [질문] 컴퓨터 소음 질문입니다. [2] 마제스티7163 23/01/07 7163
168295 [질문] 뇌물을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샐러드12104 23/01/07 12104
168294 [질문] PGR에서 읽은 단편 소설을 찾는중인데 도저히 못찾겠습니다 ㅠㅠ (해결) [7] 공실이8982 23/01/07 8982
168293 [질문] 카이엔 하이브리드 경고등 질문입니다 [6] 삭제됨10942 23/01/07 10942
168292 [질문] 이북 리더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사상최악8691 23/01/07 8691
168291 [질문] 이번 설날때 해외여행 가는건 늦었겠지요? [10] 클레멘티아7478 23/01/07 7478
168290 [삭제예정] 유부남 분들 처가 행사 다 참석하시나요? [47] 삭제됨12007 23/01/06 120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