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08 21:27:44
Name 오하영
Subject [질문] 스포츠 - 축알못, 농알못의 궁금증
KBO리그는 챙겨보지만
축구와 농구 소위 말하는 S급 선수들 밖에 모릅니다.

1. 월드컵 질문입니다.
손흥민, 황희찬, 김민재 선수를 포함해
한국 선수들 모두 풀 컨디션이었다면
2승 1무 정도로 16강 1등으로 진출할 수 있었을까요??

2. 1번과 연결된 질문일수도 있는데
유럽리그는 리그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월드컵이 개최되었는데
평소의 월드컵처럼 시즌이 끝난 뒤
해외리그를 뛰고 있는 선수들이 차출되었다면
월드컵 전반적인 경기 양상이 달라졌을까요??

3.농구 질문입니다.
한국인으로 미국NBA를 뛴 선수가 하승진 선수가 유일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농구선수로 비교했을때 하승진 -  허재, 서장훈 세 명의 우위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22/12/08 22:38
수정 아이콘
1. 아니요. 물론 운이 좋다면 그랬을 수도 있겠지만, 가능성만 놓고 봤을 때 높지는 않죠.
2. 유럽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 컨디션이 아마도 지금보다는 조금 더 처져있을테니, 달랐을 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어차피 잘하는 선수들은 다 유럽에서 뛰고 있으니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 같아요.
오하영
22/12/08 23:5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월드컵은 크게 변화가 없었을 것이라는게 정설인가 보네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22/12/08 22:45
수정 아이콘
1. 결과가 크게 달라질거란 생각은 안 듭니다. 누구한테 이기고 누구한테 비기고, 누구한테 지냐는 달라질 수 있는데
결론은 1승 1무 1패 또는 1승 2무로 끝났을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2. 차이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 월드컵이 지난 월드컵보다 특별히 유럽 리그 도중이라는 이유로 달라지진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3. KBL은 거의 이견 없이 서장훈, 한국농구 전체로는 허재라는 의견이 많긴 하지만 서장훈, 이충희, 신동파 등 여러 후보들이 같이 거론됩니다.
하승진은 저 둘과 견주기 어렵습니다.
오하영
22/12/08 23:5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3년 탈퇴예정
22/12/08 23:04
수정 아이콘
1. 우리가 풀전력으로 우루과이랑 비기고 가나 이기면 포르투갈이 전력으로 나왔을 거라서(조1위 못하면 브라질만남) 최종결과는 1승1무1패 그대로일거 같네요
22/12/08 23:33
수정 아이콘
1-2번은 다른분들 답변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고 3번만 추가로 얘기하자면

서장훈-허재는 사람따라 갈릴 것 같은데, 하승진은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에 드랲된것도 솔직히 까놓고 말하면 다른게 좋았다기보다 [키가 깡패라서]에 가깝습니다. 무려 7피트 3인치인데 이런 빅맨은 후순위로라도 일단은 뽑아놓고 다른 스킬 향상되기를 바라는거죠. 하승진의 경우 안타깝게도 드랲 이후에도 큰 성장은 없었고, 결국 국내로 돌아와야 했습니다.

솔직히 하승진의 경우는 키는 깡패인데 다른 스킬(슛이나 스크린 및 스위칭되었을때의 대처 등)이 느바 기준으로는 수준 미달이었기때문에... 근데 그래도 크블 기준으로는 결국 몸이 워낙 깡패라 어느정도 통했다고 봐야합니다. 느바의 경우는 하승진을 능가하는 신장의 소유자는 적긴 합니다만, 워낙 스킬풀한 리그라 단순히 키가 크다고 살아남을 수 있는 리그는 아니구요(키가 큰게 최고라면 보반 마리야노비치는 지금쯤 밀워키나 보스턴에서 주전센터 하고 있겠죠). 게다가 본인 몸관리도 실패해서 매 오프시즌마다 살이 불어서 왔다고 하죠. 허재와 서장훈이야 포지션도 시대도 다르니 단순 비교도 힘들고 허재의 경우 좀 나중에 태어나서 체계적인 관리 받고 좀 더 발전된 리그에서 뛰었다면 또 모른다 정도는 얘기할 수 있지만, 하승진은 가진 탤런트가 신장만 빼면 저 둘에 훨씬 못미칩니다.
오하영
22/12/09 00:05
수정 아이콘
정확한 비교는 힘들겠지만
허재 - 선동렬 // 하승진 - 김선우선수나 여타 메이저 직행이후 kbo 리턴 선수로 보면 비슷할까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2/12/09 00: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하승진을 일반적인 MLB 리거와 비교하긴 어렵습니다.
하승진은 야구로 치면 공이 100마일 가까이 나오는 엄청나게 빠른 선수인거죠. 제구력이나 변화구는 없는거고. 일반적이라면 뽑히기 어려운데
일단 볼이 빠르니 뽑은거에 가깝습니다. 빠른 공을 통해서 이득을 봤지만 제구력과 변화구가 없어서 대성하지 못 한거죠.
오하영
22/12/09 00:51
수정 아이콘
신체적인 피지컬만 보고 일단 뽑았는데
거기서 끝이었다는거군요.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及時雨
22/12/09 13:41
수정 아이콘
맞으면 홈런인데 메이저에서는 1할도 못쳤고 크보에서는 시즌 타율이 2할이 채 못되는 느낌이었을거 같네요.
그런데도 40개 쳐서 홈런왕 한번은 해본 느낌...?
분쇄기
22/12/10 00:09
수정 아이콘
서장훈은... 다른 국내 선수들이 거의 다가가지도 못하는 정규시즌 20득점 10리바운드를 네 번이나 한 것에서 위엄을 찾아야 할 것이고(하승진은 10-10도 딱 1회), 허재는 프로만 치면 서장훈에 밀리지만 농구대잔치나 국제대회 다 합쳐보면 서장훈에 동등에서 약우위쯤 되지 않을까 싶네요. 하승진이 몸 관리만 제대로 되었다면 그래도 벤치로라도 오래 살아남았을 수도 있는데, 비시즌에 관리가 전혀 안 됐다고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275 [질문] 미국은 물가 상승률이 왜그렇게 높은가요? [7] grrrill8931 23/01/06 8931
168272 [질문] 달러 환전 질문드립니다 [2] 더치커피6370 23/01/05 6370
168064 [질문] 월200신발공장vs소방관vs공인중개사vs전파무기마인드컨트롤연구 [48] 신은있다10416 22/12/27 10416
168047 [질문] 킹 오브 파이터즈 94 질문합니다. [6] 애플댄스6964 22/12/26 6964
168039 [삭제예정] 미국주식 계좌상태인데 앞으로 어떡하면 좋을까요? [1] 삭제됨6461 22/12/25 6461
167964 [질문] 이직 문제 고민 [3] DoubleB6849 22/12/21 6849
167947 [질문] 웹툰 나혼자만 레벨업, 원작 소설 [21] 진산월(陳山月)7648 22/12/20 7648
167911 [질문] 어떤 자동차가 안전/고급감이 있나요? [4] grrrill7120 22/12/19 7120
167893 [질문] 한국이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이민 성공률이 높은 이유가 뭘까요? [14] 보리야밥먹자9094 22/12/18 9094
167870 [질문] 미국계정 PS5 에서 한국어 위쳐 3 하는 방법 질문 [6] vitaminwater7437 22/12/17 7437
167756 [질문] 환율 관련해서 미국주식 매매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보리야밥먹자6864 22/12/11 6864
167751 [질문] 스팸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되나요? [21] 대출 30년9495 22/12/11 9495
167733 [질문] 사우디가 원유를 일부 위안화 결제한다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4] 씨드레곤8056 22/12/10 8056
167705 [질문] 스포츠 - 축알못, 농알못의 궁금증 [11] 오하영5878 22/12/08 5878
167650 [삭제예정] 안녕하세요 핸드폰 대여(?)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5] SaNa5889 22/12/05 5889
167626 [질문] 중국, 홍콩, 일본 주식시장이 최소 100주단위 거래만 가능한 이유는 뭔가요? [3] 보리야밥먹자8903 22/12/04 8903
167622 [질문] ebten.jp에서 카드를 쓸 수 없습니다. [4] PGR안내인8298 22/12/04 8298
167575 [질문] 옛날 공중파에서 아담스 패밀리 비슷한 드라마 있지 않았나요? [2] mudvayne8155 22/12/01 8155
167484 [질문] 미국 시민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20] 로스7581 22/11/26 7581
167468 [질문] 롤 선수들의 병역 문제 질문 [6] endand7397 22/11/25 7397
167405 [질문] 영국식 발음에 익숙하면 미국식 발음도 잘 들리는지요..? [9] nexon7819 22/11/21 7819
167375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어빈8612 22/11/21 8612
167336 [질문] 영국시험에서 미국식 스펠링 쓰면 [5] 우자매순대국9487 22/11/19 94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