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17 13:50:24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닷컴버블 시절에 타격 많이받은 나라로 일본이 언급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2000년대 극초반 닷컴버블로 인한 피해가 가장 심했던 나라들로 미국, 한국, 독일 3나라가 대표적으로 꼽히는데

왜 유독 일본은 닷컴버블로 인해 얼마나 피해를 봤는지에 대해 언급되는 경우가 없을까요?

심지어 일본은 닷컴버블과 같이 엮이는 경우도 잘 없더군요 중국은 당시만 해도 경제적으로 급부상하기 전이었으니 그렇다쳐도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베리
22/11/17 14:05
수정 아이콘
제조업 중심이고 이미 버블이 터져서 딱히 타격이 받을 게 더 없었죠
사업드래군
22/11/17 14:29
수정 아이콘
일본이 타격을 받지 않은 게 아니라, 일본도 똑같이 IT bubble의 타격을 받았는데, 이미 1990년대부터 주가폭락과 장기불황에 빠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언급될 뿐입니다. IT bubble의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건 미국이었죠.
일본은 플라자 합의 이후 미친듯이 오른 Nikkei 225지수가 1989년 12월 말 39,000까지 찍었다가 1990년부터 버블붕괴가 일어나면서 1992년 8월까지 16,000으로 시총의 60%가 날아갑니다. 이후 불황에 빠진 일본정부가 양적완화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경기가 살아나기 시작해 1998년 10월 13,000까지 찍었던 지수는 IT bubble의 정점이었던 2000년 4월 20,300까지 올랐다가 역시 버블이 붕괴되면서 다시 2003년 4월까지 7,600으로 추락합니다. 역시 시총의 60% 이상이 증발하였습니다.
이후에 또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으며 똑같은 상황이 반복되었고,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말이 나오게 됩니다. 2013년부터 아베노믹스를 시작으로 2021년 9월 니케이 지수가 30,300까지 상승합니다. 기존의 전고점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현재는 약 27,000 정도의 지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HA클러스터
22/11/17 14:31
수정 아이콘
일본경제는 1991년에 이미 최악의 버블붕괴를 격어서 닷컴버블때도 일명 헤이세이불황이라고 일컬어지는 지독한 경기침체와 취업빙하기가 계속되고 있어서 IT관련투자가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닷컴버블 붕괴의 영향은 대표적인 국가들에 비해 제한적이었습니다.
22/11/17 14:34
수정 아이콘
닷컴이전에 인류 역사에 남을 버블을 미리 터트린게 일본이라 상대적으로 임팩트가 적었을 뿐이죠. 닷컴당시 일본도 자산시장은 또 터졌습니다. 다만 이미 90년대부터 장기 디플레 드간 상황이라 극적으로 다가오질 않아서 그렇지..
별빛다넬
22/11/17 15:15
수정 아이콘
선반영...
22/11/17 16:48
수정 아이콘
일본은 더 큰 게 진작 터져있었던 상황이라
닷컴버블 따위(?)는 임팩트가 없었죠.
멍멍이개
22/11/17 20:03
수정 아이콘
시드가 없어서 날릴 돈도 적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336 [질문] 영국시험에서 미국식 스펠링 쓰면 [5] 우자매순대국9515 22/11/19 9515
167305 [질문] 닷컴버블 시절에 타격 많이받은 나라로 일본이 언급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7] 보리야밥먹자9219 22/11/17 9219
167300 [질문] 한국전쟁배경의 헐리우드 영화가 별로없는이유는 뭘까요? [13] 슈가붐9131 22/11/16 9131
167193 [질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달러가 중요한 화폐인가요? [7] 아리아6504 22/11/11 6504
167130 [질문] 미국 중간선거 관련 영어 단어 문의 드립니다 [8] 고오스10281 22/11/09 10281
166941 [삭제예정] [이공계 대학원] 두 사례 중에 하나를 고른다면 [7] 루체른7253 22/10/31 7253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8124 22/10/26 8124
166854 [질문] 왜 방송계 드라마 작가들은 여초현상이 심할까요? [14] 보리야밥먹자10230 22/10/26 10230
166821 [질문] 마일리지 항공권 관련 [10] 서쪽으로가자8235 22/10/24 8235
166784 [질문] 이스라엘 무기가 가성비 좋은 이유? [10] 아스라이7778 22/10/22 7778
166779 [질문] 회사 혹은 업무적인 내용 위주의 미국 드라마 있는지요..? [8] nexon9152 22/10/21 9152
166732 [질문] 향후 중고차 값이 어떻게 될까요? [8] 토끼공듀12470 22/10/19 12470
166595 [질문] 캐나다 애플공홈 관련 질문 (가격, 직구 등) [1] 달달한고양이9961 22/10/13 9961
166573 [질문] 차은우가 미국 고등/대학생이면 백인 여학생들도 잘 생겼다고 할까요? [27] 깐부10760 22/10/11 10760
166555 [질문] 시중은행 예금 금리는 언제 최고점을 찍을까요? [16] 새침한 고양이7978 22/10/10 7978
166518 [질문] 한국인의 아이큐 평균은 100인가요? [1] 노익장8353 22/10/08 8353
166285 [질문] 국익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2] 일신8534 22/09/26 8534
166153 [질문] 외국에서는 샤프를 별로 안 쓰는 이유가 있는지요..? [14] nexon9285 22/09/19 9285
166128 [질문] 환불가능 비행기표에 대해서 (델타) [1] 휵스8827 22/09/19 8827
166027 [질문] [미국 이민 질문 드립니다] [10] 문재인대통령8322 22/09/13 8322
166011 [질문] 미국 코로나관련 입출국 준비물 [4] BestOfBest8220 22/09/13 8220
165987 [삭제예정] 항공업계 요즘 어떤가요? [1] 공유10351 22/09/12 10351
165967 [질문] 라면은 타식품에 비해 건강에 확실히 나쁜가요? [25] 기술적트레이더10366 22/09/11 103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