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6 14:24:37
Name 난할수있다
Subject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요즘 경제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미국주식에 투자하는걸 좋아하는데,
금리인상이 당연히 주가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연준이 금리인상 폭, 여부를 결정할때
실업수당 청구건수나 실업률 등등을 보는데

노동시장이 견고하기때문에 연준이 더 자신감있게 금리인상을 할 수 있어서 악재다

라는 논리가 시장에 형성되고 있습니다.

근데 반대로 얘기하면, 그만큼 아직 경기가 괜찮기 때문에, 실업률이
낮고, 노동시장이 탄탄한거라면.. 중장기적으로 봤을때
건전한 국가에 내 자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안심해야하는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태위태한 회사/국가에 내 돈이 들어가는것보다, 경지침체가 와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기대감이 있는 미국에 자산이 있다는거 자체가 금리인상에 관계없이 좋은 부분이 아닌가 싶어서요.

혹시 제가 모르는게 있을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동산부자
22/10/26 14:5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미국이 탄탄하다는 사실이 현재 킹달라현상의 근본원인 아닐까요? 계속 미국주식하셔도 괜찮아 보이는데요.
난할수있다
22/10/26 14:52
수정 아이콘
누구라고는 말 못하지만, 어떤 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님은 미국은 앞으로 10년은 투자하지 말고 한국에 투자하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인가 했었습니다. 근데 우선 전 그냥 일개 투자자에 불과하니까 반론할만한 근거도 몰라서.. 여쭙게 되었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2/10/26 14:55
수정 아이콘
아마 삼전 등 국내 주식에 한참 물렸거나 정부쪽 관련 일을 하다보니 그런식으로 말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10년후에 우리나라 인구가 어떻게 되더라...
꿈트리
22/10/27 14:07
수정 아이콘
2000년대 IT버블 후 미장이 10년간 횡보한 시기가 있긴 합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중국꿀 빨면서 올라갔죠.
그런데, 미장은 그렇다하더라도 우리가 꿀빨데가 사라져서 미장이 횡보할수록 더 힘들겁니다.
바부야마
22/10/26 14:53
수정 아이콘
현재 1순위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잡는겁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실업률이 올라가야합니다. 경기둔화나 침체가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금 실업률이 견고해서 인플레이션을 못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더 하려고 있어요. 금리가 올라가면 증시는 하락하게 됩니다.
22/10/26 14:55
수정 아이콘
복합적이긴 한데 해당 부분에 대해서만 얘기하자면 (단기적)악재다 라고 해석 됩니다
무냐고
22/10/26 14:56
수정 아이콘
미국(달러)이 사정 제일 괜찮은게 맞다고 봅니다.
제목이랑 내용은 별로 상관없어 보이긴 하네요.
바부야마
22/10/26 14:58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금리가 상승하면서 강달러 현상이 생겨서 각 나라의 환율이 박살 났습니다. 결국 달러를 팔아서 환율을 방어해야하는데, 달러를 팔기위해 미국채를 팔기 시작합니다. 연준도 미국채를 팔고, 전 세계가 미국채를 팔아서 미국채 금리가 또 상승을 합니다. 채권가격이 하락하면서 채권시장에 패닉이 오고 있습니다. 채권과 주식이 동시에 하락하는 기현상이 발생중이죠.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덜 할수도 있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는데, 그럼 또 인플레이션이 문제에요. 그래서 어디 하나가 터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속에 다들 조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겨울삼각형
22/10/26 18:43
수정 아이콘
실업률이낮고, 노동시장이 탄탄한거라면.. 중장기적으로 봤을때
건전한 국가에 내 자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안심해야하는거 아닐까?

맞죠

[금리만 안올린다면요]


지금은 DJ파월이 금리올릴 구실만 찾고있으니
기존에 긍정적인 시그널도 다 부정적인 해석으로 바뀐것일뿐..
마술사
22/10/26 18:56
수정 아이콘
지금 미국투자하기엔 환율이 문제죠
평소보다 원 기준으로 30%이상 비싸게 사는꼴이니..
몇년후 환율이 1100원대로 돌아오게되면 손해가 막심해질수 있어요
공부맨
22/10/27 13:39
수정 아이콘
글로벌 경기 호황이 오거나 적어도 지금보다 나빠지지 않으면

지금과는 반대로

달러가 약해지고 미국자산 수익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질겁니다.

2020년 하반기가 그랬고
2000년~2008년이 그랬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947 [질문] 웹툰 나혼자만 레벨업, 원작 소설 [21] 진산월(陳山月)7476 22/12/20 7476
167911 [질문] 어떤 자동차가 안전/고급감이 있나요? [4] grrrill7020 22/12/19 7020
167893 [질문] 한국이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이민 성공률이 높은 이유가 뭘까요? [14] 보리야밥먹자8988 22/12/18 8988
167870 [질문] 미국계정 PS5 에서 한국어 위쳐 3 하는 방법 질문 [6] vitaminwater7294 22/12/17 7294
167756 [질문] 환율 관련해서 미국주식 매매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보리야밥먹자6783 22/12/11 6783
167751 [질문] 스팸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되나요? [21] 대출 30년9320 22/12/11 9320
167733 [질문] 사우디가 원유를 일부 위안화 결제한다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4] 씨드레곤7917 22/12/10 7917
167705 [질문] 스포츠 - 축알못, 농알못의 궁금증 [11] 오하영5834 22/12/08 5834
167650 [삭제예정] 안녕하세요 핸드폰 대여(?)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5] SaNa5816 22/12/05 5816
167626 [질문] 중국, 홍콩, 일본 주식시장이 최소 100주단위 거래만 가능한 이유는 뭔가요? [3] 보리야밥먹자8704 22/12/04 8704
167622 [질문] ebten.jp에서 카드를 쓸 수 없습니다. [4] PGR안내인8184 22/12/04 8184
167575 [질문] 옛날 공중파에서 아담스 패밀리 비슷한 드라마 있지 않았나요? [2] mudvayne7981 22/12/01 7981
167484 [질문] 미국 시민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20] 로스7429 22/11/26 7429
167468 [질문] 롤 선수들의 병역 문제 질문 [6] endand7236 22/11/25 7236
167405 [질문] 영국식 발음에 익숙하면 미국식 발음도 잘 들리는지요..? [9] nexon7724 22/11/21 7724
167375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어빈8498 22/11/21 8498
167336 [질문] 영국시험에서 미국식 스펠링 쓰면 [5] 우자매순대국9134 22/11/19 9134
167305 [질문] 닷컴버블 시절에 타격 많이받은 나라로 일본이 언급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7] 보리야밥먹자9108 22/11/17 9108
167300 [질문] 한국전쟁배경의 헐리우드 영화가 별로없는이유는 뭘까요? [13] 슈가붐9033 22/11/16 9033
167193 [질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달러가 중요한 화폐인가요? [7] 아리아6419 22/11/11 6419
167130 [질문] 미국 중간선거 관련 영어 단어 문의 드립니다 [8] 고오스10109 22/11/09 10109
166941 [삭제예정] [이공계 대학원] 두 사례 중에 하나를 고른다면 [7] 루체른7142 22/10/31 7142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8004 22/10/26 80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