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19 19:23:11
Name 토끼공듀
Subject [질문] 향후 중고차 값이 어떻게 될까요?

제곧내입니다. 판단의 근거만 몇자 보태보자면...


1. 반도체 대란 이후 신차 공급이 원할하지 못해서 중고차 값이 잘 안떨어지고, 하브등의 인기 차종의 경우 오히려 신차 값보다 같거나 높은 경우도 있다.


2. 올해 들어 미국발 금리인상 때문에 우리나라의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3. 작년 이맘때 삼성카드 오토할부 60개월 금리는 2.3%였으나 요즘은 4.9%로 올랐다.


4. 국제적인 원자재값 상승 + 달러 환율 문제로 기본적으로 100~200만 정도는 신차 값이 오르고 있다.


여기까지 나름 팩트라고 생각되는 것들만 좀 적어봤구요, 여기에 제 의견을 덧붙이자면 이렇습니다.


어쨌든 제조사 입장에서는 중복 계약 등으로 인한 뻥대기열이라고 할지라도 일단 없어서 못파는 것은 현실이고, 금리든 원자재 값이든 뭐든 가격 인상 요인은 분명하니까 차량 가격은 계속 올라가리라 봅니다.


그리고 구매자 입장에선 할부 금리가 오르고, 차 값이 계속 인상되니까 점점 신차 사는 것이 부담스러워 질 것 같습니다.


그래서 구매자들이 신차를 안 사고 타던 차를 계속 탄다는 이야기는 즉, 중고차 시장에 차량 공급이 안된다는 소리이므로 중고차 값은 계속 고공행진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0/19 19:36
수정 아이콘
리세션이 오면 중고차 가격은 떨어집니다. 2008년에도 그랬음
22/10/19 20:04
수정 아이콘
경기침체로 인해 급전마련이나 리스료/할부금 감당 못해 나오는 매물도 많아지겠죠.
덴드로븀
22/10/19 21:1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기준으론 내년초중반까진 중고차 값이 쉽게 안떨어질것 같습니다. 신차 대기기간이 아직 너무 길거든요.
물론 08년급 경제 충격이 오면 좀더 빠르게 내려가긴 할테구요.
22/10/19 21:18
수정 아이콘
박살이 정배죠. 경기침체 온다고 난리인데
고오스
22/10/20 08:57
수정 아이콘
아반떼 밑의 급은 모르겠는데 독일3사급 이상은 조만간 물량 많이 풀릴꺼 같습니다

자산, 소득 대비 무리하게 차 산 사람들이 많거든요
러신머닝
22/10/20 08:57
수정 아이콘
경기침체 때문에 전반적인 차 수요가 떨어져서 중고차 가격도 낮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피를마시는새
22/10/20 09:07
수정 아이콘
주식, 집하고 똑같죠.
The)UnderTaker
22/10/20 09:40
수정 아이콘
신차도 못사면 중고차 못사는것도 똑같아서 가격 떨어질거라 봅니다. 물량이 풀려도 사는사람이 있어야 가격이 오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305 [질문] 닷컴버블 시절에 타격 많이받은 나라로 일본이 언급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7] 보리야밥먹자9197 22/11/17 9197
167300 [질문] 한국전쟁배경의 헐리우드 영화가 별로없는이유는 뭘까요? [13] 슈가붐9125 22/11/16 9125
167193 [질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달러가 중요한 화폐인가요? [7] 아리아6495 22/11/11 6495
167130 [질문] 미국 중간선거 관련 영어 단어 문의 드립니다 [8] 고오스10266 22/11/09 10266
166941 [삭제예정] [이공계 대학원] 두 사례 중에 하나를 고른다면 [7] 루체른7242 22/10/31 7242
166863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11] 난할수있다8112 22/10/26 8112
166854 [질문] 왜 방송계 드라마 작가들은 여초현상이 심할까요? [14] 보리야밥먹자10213 22/10/26 10213
166821 [질문] 마일리지 항공권 관련 [10] 서쪽으로가자8219 22/10/24 8219
166784 [질문] 이스라엘 무기가 가성비 좋은 이유? [10] 아스라이7764 22/10/22 7764
166779 [질문] 회사 혹은 업무적인 내용 위주의 미국 드라마 있는지요..? [8] nexon9131 22/10/21 9131
166732 [질문] 향후 중고차 값이 어떻게 될까요? [8] 토끼공듀12467 22/10/19 12467
166595 [질문] 캐나다 애플공홈 관련 질문 (가격, 직구 등) [1] 달달한고양이9947 22/10/13 9947
166573 [질문] 차은우가 미국 고등/대학생이면 백인 여학생들도 잘 생겼다고 할까요? [27] 깐부10741 22/10/11 10741
166555 [질문] 시중은행 예금 금리는 언제 최고점을 찍을까요? [16] 새침한 고양이7973 22/10/10 7973
166518 [질문] 한국인의 아이큐 평균은 100인가요? [1] 노익장8346 22/10/08 8346
166285 [질문] 국익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2] 일신8515 22/09/26 8515
166153 [질문] 외국에서는 샤프를 별로 안 쓰는 이유가 있는지요..? [14] nexon9276 22/09/19 9276
166128 [질문] 환불가능 비행기표에 대해서 (델타) [1] 휵스8809 22/09/19 8809
166027 [질문] [미국 이민 질문 드립니다] [10] 문재인대통령8314 22/09/13 8314
166011 [질문] 미국 코로나관련 입출국 준비물 [4] BestOfBest8204 22/09/13 8204
165987 [삭제예정] 항공업계 요즘 어떤가요? [1] 공유10333 22/09/12 10333
165967 [질문] 라면은 타식품에 비해 건강에 확실히 나쁜가요? [25] 기술적트레이더10350 22/09/11 10350
165944 [질문] 영국식 영어 미국식 영어 궁금해요 [7] 기술적트레이더8118 22/09/09 81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