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11 02:00:36
Name 기술적트레이더
Subject [질문] 라면은 타식품에 비해 건강에 확실히 나쁜가요?
보면 건강을 위해 먹지말라는거 진짜 많잖아요.
밀가루 술 기름 붉은살고기 등등 다 지키면 먹을거 하나도 없더군요

라면 좋아해서 예전에 자주 먹었는데 건강 나빠지고는 입에도 안댔는데 너무 먹고 싶네요.

사실 좀 웃긴게 인스턴트 음식 먹지말라지만 햄버거같은거 미국사람들 주식급인데 그럼 그사람들은 다 건강이 나쁜가요?

라면이 확실히 건강에 안좋은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22/09/11 02:17
수정 아이콘
인간은 라면만 먹고도 살 수 있습니다
건강걱정 하시는분들은 국물을 먹지 말라고 하더군요
22/09/11 02:19
수정 아이콘
쉽게 접할수 있는 음식중에서 라면이랑 떡볶이는 조금이라도 알아보면 먹기 꺼려지긴 합니다.
김격식
22/09/11 02:24
수정 아이콘
라면은 잘 모르겠지만 햄버거를 주식으로 하는 미국 사람들은 확실히 건강 나쁠것 같네요.
22/09/11 16:40
수정 아이콘
저는 병 났을때 햄버거 먹습니다.

환자를 위한 최적의 식품이랄까요.

콜라 감자 안먹고 햄버거만 보면 5대 영양소에 채소까지 들어 있는 완전 식품에 소화까지 잘 됩니다.

그리고 90년대까지 햄버거랑 엄청난 서양식 기름진 삭사를 하는 미국인 평균 수명이 그 좋다는 집밥 한식을 하는 한국인 보다
길었습니다.
엔지니어
22/09/11 02:39
수정 아이콘
라면이 건강에 안좋다는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백질과 많은 지방과 나트륨 때문일겁니다. 면에서 오는 GI지수도 높을꺼라 생각했는데, 찾아보니 생각보다 낮네요.
햄버거의 경우 단탄지 비율은 생각보다 괜찮을 것 같은데, 흰빵의 GI 지수도 높고 소스나 패티에 함량된 나트륨이 많아서 건강에 안좋을 것 같네요.
22/09/11 04:56
수정 아이콘
먹어도 됩니다. 건강에 좋다는 풀때기들도 몸에 안 좋은 경우 많습니다. 라면 2개 끓여서 밥말아먹고 국물까지 비우니 문제지..
League of Legend
22/09/11 06:05
수정 아이콘
라면 3끼 오래오래 먹은 어르신이 건강했던게 방송타기도 했습니다. 의외로 비타민 같은 영양분도 있었던거 같네요.
나트륨이 많기는 합니다.
22/09/11 07:03
수정 아이콘
팜유 때문에 라면 먹으면 혈당 조절 안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확실히 라면 먹으면 속이 좋지 않긴 합니다.
건면 먹어도 양념이랑 나트륨 때문에 붓기도 하고요.
건강에 안 좋은 건 팩트입니다.
콘칩콘치즈
22/09/11 08:02
수정 아이콘
일단 당뇨쪽엔 최악의 음식이라고 하더군요. 특히 야식으로 먹는 라면은요.
타카이
22/09/11 08:13
수정 아이콘
의외로 일부 재료(계란, 비타민C)만 더해지면 밸런스가 좋은 음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물만 전부 섭취 안하면 3끼 전부 라면만 먹어도
라면만 먹고 살아도 문제없도록 만들어 뒀습니다.
그래서 비타민B 코팅해서 색깔도 노란면이고...
22/09/11 08:36
수정 아이콘
인식에 비해 생각보다, 또는 의외로
영양이 갖춰진 음식이라는건
그런 인식 없이보면 아니라는거겠죠?

근데 생각 해보면 어떤 음식 하나만 계속 먹는다 생각 해보면
건강유지를 시켜줄 수 있는 음식이 있을까 싶기도 하네요.
이브이
22/09/11 09:11
수정 아이콘
맛있게 먹으면 건강해요!!!
22/09/11 09:54
수정 아이콘
염분만 좀 주의하고, 단백질 좀 곁들여서 먹으면 괜찮다고 들었습니다.
22/09/11 10:17
수정 아이콘
라면이 유독 그런 이미지인건 실제 우리의 현대사 속에서 사정이 어려운 사람들의 식사를 대체하는 주식급 이였기 때문이죠. 본문의 햄버거도 마찬가지에요.

특정 음식이 안좋다가 아니라 그냥 품질의 문제 입니다.

인스턴트면이 아닌 라면도 있고 고급 수제햄버거도 있죠.

쟤료의 퀄이 낮고 공장에서 첨가물 섞어 대량 유통하고 그러한 이른바 가공식품이 다 마찬가지지 라면에 특별한 문제가 있는건 아니니까요.
22/09/11 10:24
수정 아이콘
국물만 안마시면 괜찮습니다.
항정살
22/09/11 10:30
수정 아이콘
건면은 나름 괜찮아요
22/09/11 10:48
수정 아이콘
라면만 먹는거 아니면 괜찮습니다
멋진신세계
22/09/11 11:01
수정 아이콘
오히려 떡볶이 같은 게 더 안좋을 거 같습니다 크크크 (탄수화물+당분인데 단백질 곁들이기도 어렵고 나트륨 덜 섭취하기도 어려운..)
리얼월드
22/09/11 11:15
수정 아이콘
라면 영향성분 보시면 나트륨만 제외하면 아주 좋은 식품입니다...
생각보다 매우 균형잡힌 음식이에요.

여기에 밥말아먹고, 이거 추가하고 저거 추가하고, 한번에 여러개 끓여먹고
이러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지지만 흐흐흐
Rouge Scout
22/09/11 11:20
수정 아이콘
면만 건져먹으면 딱히 안좋을것도 없죠.
제주삼다수
22/09/11 11:38
수정 아이콘
서양권 도시 하류층 기준으론
라면 정도면 건강식입니다. 크크크
교도소 이런데선 라면만한게 없다고 하더군요
조말론
22/09/11 11:54
수정 아이콘
영양 밸런스가 무너지겠지요 지속적으로 봉지라면 그 자체가 주식이 되면요
22/09/11 13:47
수정 아이콘
요즘 영양제가 하도 잘 나와서 문제될까 싶습니다.
정 걱정되면 단백질 좀 챙겨먹고요
22/09/11 14:03
수정 아이콘
라면 괜찮은데 너무 짜게 안드시고 탄.단.지 영양소 평소에 맞춰서 드시면 됩니다.
22/09/12 10:30
수정 아이콘
국물 안 드시고 단백질 종류 음식 추가하셔서 드심 나름 괜찮습니다. 그리고 꼭 1인분만 드세요.
라면이 은근 과식을 유도하는 식품이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854 [질문] 왜 방송계 드라마 작가들은 여초현상이 심할까요? [14] 보리야밥먹자10043 22/10/26 10043
166821 [질문] 마일리지 항공권 관련 [10] 서쪽으로가자8089 22/10/24 8089
166784 [질문] 이스라엘 무기가 가성비 좋은 이유? [10] 아스라이7629 22/10/22 7629
166779 [질문] 회사 혹은 업무적인 내용 위주의 미국 드라마 있는지요..? [8] nexon8952 22/10/21 8952
166732 [질문] 향후 중고차 값이 어떻게 될까요? [8] 토끼공듀12390 22/10/19 12390
166595 [질문] 캐나다 애플공홈 관련 질문 (가격, 직구 등) [1] 달달한고양이9807 22/10/13 9807
166573 [질문] 차은우가 미국 고등/대학생이면 백인 여학생들도 잘 생겼다고 할까요? [27] 깐부10605 22/10/11 10605
166555 [질문] 시중은행 예금 금리는 언제 최고점을 찍을까요? [16] 새침한 고양이7917 22/10/10 7917
166518 [질문] 한국인의 아이큐 평균은 100인가요? [1] 노익장8277 22/10/08 8277
166285 [질문] 국익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2] 일신8309 22/09/26 8309
166153 [질문] 외국에서는 샤프를 별로 안 쓰는 이유가 있는지요..? [14] nexon9159 22/09/19 9159
166128 [질문] 환불가능 비행기표에 대해서 (델타) [1] 휵스8562 22/09/19 8562
166027 [질문] [미국 이민 질문 드립니다] [10] 문재인대통령8195 22/09/13 8195
166011 [질문] 미국 코로나관련 입출국 준비물 [4] BestOfBest7992 22/09/13 7992
165987 [삭제예정] 항공업계 요즘 어떤가요? [1] 공유10114 22/09/12 10114
165967 [질문] 라면은 타식품에 비해 건강에 확실히 나쁜가요? [25] 기술적트레이더10228 22/09/11 10228
165944 [질문] 영국식 영어 미국식 영어 궁금해요 [7] 기술적트레이더8026 22/09/09 8026
165922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 Dell Inspiron Vs XPS [14] Titleist9830 22/09/08 9830
165789 [질문] 근데 한국 말고 이민갈데가 있나요..? [56] 호아킨10491 22/09/01 10491
165729 [질문] 언락폰 확인 방법 질문드립니다. [4] 더미짱6859 22/08/29 6859
165727 [질문] 모택동의 수어지교론은 다분히 프로파간다성 구호다? 아스라이7092 22/08/29 7092
165568 [질문] 고산 지역에 있던 나라들에서는 제철업을 어떻게 했나요? [13] 트랜스휴머니즘7066 22/08/20 7066
165557 [질문] 아이폰 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vi20nq5626 22/08/20 56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