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29 10:56:04
Name LG의심장박용택
Subject [삭제예정] 법률 관련 질문) 가족이 없는 분의 재산 증여? 상속? 관련 질문입니다
사정상 가족과 법적인 가족으로 묶이지 못 한 가족에게

재산을 사망후 상속? 하려고 하면..

변호사를 통해 유언장을 작성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변호사를 통해 유언장을 작성하고 하는데는 변호사 수임료?

는 얼마나 나오게 되는지

이러한 작업은 아무 변호사나 찾아가면 되는지.. 이러한 것도 전문 변호사가 있는지 등이 궁긍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29 11:05
수정 아이콘
굳이 변호사 없어도 유언장 작성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법정상속인이 아니라면, 유언장을 통한 유증을 받아야 하겠고요.
유언에 관한 민법 규정은 아래 소개하는 1065조부터 1072조까지의 규정을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만에 하나 삑사리(?)가 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만사불여튼튼이라고 안전하게 진행하길 원하신다면 보통 변호사 말고요....
1068조의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을 선택해서 '공증인가 법무법인'에 증인 2명과 함께 방문하시는 게 안전하겠죠.
비용은 공증하는 변호사 사무실에 직접 문의하시는 게 정확하겠고요.

제1065조(유언의 보통방식) 유언의 방식은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비밀증서와 구수증서의 5종으로 한다.

제1066조(자필증서에 의한 유언) ①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그 전문과 연월일, 주소, 성명을 자서하고 날인하여야 한다.
②전항의 증서에 문자의 삽입, 삭제 또는 변경을 함에는 유언자가 이를 자서하고 날인하여야 한다.

제1067조(녹음에 의한 유언) 녹음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유언의 취지, 그 성명과 연월일을 구술하고 이에 참여한 증인이 유언의 정확함과 그 성명을 구술하여야 한다.

제1068조(공정증서에 의한 유언)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증인 2인이 참여한 공증인의 면전에서 유언의 취지를 구수하고 공증인이 이를 필기낭독하여 유언자와 증인이 그 정확함을 승인한 후 각자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제1069조(비밀증서에 의한 유언) ①비밀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필자의 성명을 기입한 증서를 엄봉날인하고 이를 2인 이상의 증인의 면전에 제출하여 자기의 유언서임을 표시한 후 그 봉서표면에 제출연월일을 기재하고 유언자와 증인이 각자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②전항의 방식에 의한 유언봉서는 그 표면에 기재된 날로부터 5일내에 공증인 또는 법원서기에게 제출하여 그 봉인상에 확정일자인을 받아야 한다.

제1070조(구수증서에 의한 유언) ①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은 질병 기타 급박한 사유로 인하여 전4조의 방식에 의할 수 없는 경우에 유언자가 2인 이상의 증인의 참여로 그 1인에게 유언의 취지를 구수하고 그 구수를 받은 자가 이를 필기낭독하여 유언자의 증인이 그 정확함을 승인한 후 각자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②전항의 방식에 의한 유언은 그 증인 또는 이해관계인이 급박한 사유의 종료한 날로부터 7일내에 법원에 그 검인을 신청하여야 한다.
③제1063조제2항의 규정은 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에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1071조(비밀증서에 의한 유언의 전환) 비밀증서에 의한 유언이 그 방식에 흠결이 있는 경우에 그 증서가 자필증서의 방식에 적합한 때에는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 본다.

제1072조(증인의 결격사유)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유언에 참여하는 증인이 되지 못한다.
1. 미성년자
2. 피성년후견인과 피한정후견인
3. 유언으로 이익을 받을 사람, 그의 배우자와 직계혈족
②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에는 「공증인법」에 따른 결격자는 증인이 되지 못한다.
22/07/29 11:29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으로,
유언장을 통한 유증을 받았고 사망하시고 나서 법적상속인이 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상속을 받은 사람이 상속재산불할소송이나 유류분반환 소송 같은 것을 받을 수가 있나요?
22/07/29 12:32
수정 아이콘
네 법정상속인이 유류분 반환청구소송을 걸어올 수 있습니다.
22/07/29 11:06
수정 아이콘
보통 필요한 경우 공증 받는 걸로 알고 있고 비용이 재산 금액에 비례해서 최대 300만원 정도라고 들었습니다.
karlstyner
22/07/29 11:08
수정 아이콘
1. 유언
2. 사인증여계약
3. 유언대용신탁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두딸아빠
22/07/29 11:28
수정 아이콘
일단 변호사를 여기저기 찾아보시면 보통 전문분야를 적어놓습니다. 상속/증여 전문분야 변호사를 찾으시면 됩니다.

내용은 상황에 따라 다르고 전문가에게 받으시겠지만 아는 선에서 말씀드리자면 유언장에 적는다고 해서 그것대로 이행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가 아는 한국 상속법은 기본적으로 상속 순위에 따라 끝까지 쫒아 가며 유언에 적혀있더라도 일부 상속권이 있는 분에게 드려야 하는 경우가 많은걸로 압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253 [삭제예정] 롤 중에 있었던 채팅 내역을 게임 끝나고 확인할 방법이 있을까요? [1] 환경미화6109 22/08/04 6109
165220 [삭제예정] 롤파크 좌석 교환 관련 질문 [3] 박민하7376 22/08/02 7376
165202 [삭제예정] 편한 어머니 신발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시은5927 22/08/02 5927
165201 [삭제예정] . [9] 삭제됨4713 22/08/02 4713
165187 [삭제예정] 코로나 양성판정관련 질문입니다. [3] 삭제됨6408 22/08/01 6408
165131 [삭제예정] 법률 관련 질문) 가족이 없는 분의 재산 증여? 상속? 관련 질문입니다 [6] LG의심장박용택6365 22/07/29 6365
165110 [삭제예정] 제 자리에 웹캠을 이용한 CCTV 설치 [13] 재가입6981 22/07/28 6981
165103 [삭제예정] 주말에 소개팅이 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삭제됨8068 22/07/28 8068
165060 [삭제예정] 마이너스 통장으로 몇년 살아도 문제 없을까요? [10] grrrill5592 22/07/26 5592
165054 [삭제예정] 장거리 연애가 될 연애를 시작하는게 맞을까요? [18] 삭제됨6116 22/07/26 6116
165035 [삭제예정] 이별 참 힘드네요. 원래 후유증이 이렇게 긴가요..? [19] 까만고양이8382 22/07/25 8382
165022 [삭제예정] 잠실 소개팅 질문입니다. [12] 보급보급6251 22/07/25 6251
164986 [삭제예정] 비가 예정되어있는 날 세차 하시나요? [11] 삭제됨6198 22/07/23 6198
164976 [삭제예정] 소개팅할때... 주로 어떤대화를 나누나요..? [25] 바람의여행기7130 22/07/22 7130
164975 [삭제예정] 지금 갤럭시(A31)폰 맛이 가신 분 안계신가요? (...) [1] Aiurr4775 22/07/22 4775
164963 [삭제예정] 일본 입국금지로 경유도 불가능한가요? [4] 삭제됨5669 22/07/21 5669
164946 [삭제예정] 환승이별 당했습니다. [29] 삭제됨7610 22/07/21 7610
164931 [삭제예정] 공동명의의 집을 한명의 명의자만 바꿀 수 있나요? [9] 삭제됨5903 22/07/20 5903
164908 [삭제예정] 장트러블이 잦은데 소화기쪽 내과가면 효과볼수있나요? [26] klunak6362 22/07/19 6362
164904 [삭제예정] 스카웃 제의를 받았습니다. [9] 삭제됨6751 22/07/18 6751
164903 [삭제예정] (사회생활) 말을 옮기며 이간질을 하는 인간을 대처할 때 [8] 삭제됨5846 22/07/18 5846
164892 [삭제예정] 높은(?) 분들과 면담 시 할만한 이야기 [14] 새벽바람6331 22/07/18 6331
164887 [삭제예정] 연봉 깍고 이직 괜찮을까요?? [38] 모어모어7896 22/07/18 78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