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12 11:30:25
Name 아스라이
Subject [질문] 러시아가 나토에 가입하지 못한 or 않은 이유가 뭘까요? (수정됨)
그냥 러시아가 2000년대 초반에 나토 껴보려고 츄라이 했단 사실만
딱 알뿐 전후사정을 제대로 몰라서 질문 드립니다. 그에 앞서 백퍼 뇌피셜로
그냥 몇가지 추정을 한 번 꼽아 보겠습니다.


1. 냉전을 이긴 미국의 위상
: 그야말로 유일무이 슈퍼파워 입장에서  러시아를 나와바리에 두고 품는 게 좀
더 낫지 않을까하는 장기적 고려조차 선뜻 수용못할 정도로 당시의 미국
오만했음.

2. 9.11과 뒤이은 테러와의 전쟁
: 당장 본토 테러에 눈돌아가서 러시아는 안중에도 없었음.

3. 러혐
: 수백년을 이어온 서방의 뿌리깊은 러혐의 발로.
물론 러시아가 마냥 억울한 피해자란 건 아니고...

4. 러시아의 판단 선회
: 특히 푸틴 입장에서 내부 정치적으로 계산기 다시 두드려 보니 좀 아니다
싶었음.

5. 만만한(?) 적성국가의 필요성
: 미 정가 수뇌부들 입장에서 북한같은 쩌리보다 어느 정도 힘있는 적국이 외부의
위협요인으로써 있어주는 게 정치적으로 큰 도움이 될거라는 그런 다분히 음모론
적인 시각.

6. 나토 자체의 존재의의 상실
: 아니 , 나토가 누구 막자고 만들어진 단체인데?  중국이 CPTPP가입하려고
기웃거리는 꼴임. 애당초 어불성설.
(But, 이건 당대 러시아의 소련을 향한 자기혐오적 거부감에 대한 고려가 배제된 판단임.)

7. 그냥 정치적 쇼였음.
: 망해버린 소련의 모든 걸 혐오하며 서방과 가까워지고 싶었던 러시아의 내부사정과 승자로써
도취감을 만끽하고 팠던 서방간에 짜웅이 맞아 성립 가능했던 단기간의 쇼잉이었을 뿐.

8. 서방이 러시아한테 너무하긴 너무했음 .
: 옐친이 진짜 간이고 쓸개고 내 줄 각오로 서방이 제시하는 이런저런 방안 다 받다시피 했는데 ,
냉정한 자본의 논리에 휩쓸린 귀결이었든 특정 주체에 의한 미필적 고의였든 뭐든간에 그 결과가...


짱구 굴려서 나온 이유가 이 정돈데 , 이중 현실과 부합하는게 있는지 , 아니면
이외의 다른 중요한 이유가 또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6/12 12: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립서비스로 미국이 뭐 러시아도 상관없다정도 스탠스를 취한적은 있을걸요...
러시아도 간만 봐볼까였지 공식적으로 신청은 결국 안했고...
뭐 본격적으로 틀어진건...08년 전후에 조지아하고 우크라이나에 나토 들어오쉴 떡밥에 남오세티야 전쟁에 코소보 독립 등등 날아오면서 관계가 점점 돌이킬 수 없는 쪽으로 그리고 크름 반도 병합으로 마침표를...
22/06/12 13:09
수정 아이콘
종교,종족,문화,역사적인 복합적 문제로 로마시기 혹은 더 이전부터 서방국가들은 러시아를 같은 문화권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같은 기독교문화아니냐고 오해할수도 있는데 슬라브민족은 자신들의 종교 역사의 유래를 비잔틴쪽으로 보는편이라 예전 십자군의 주적이었던 입장이죠.
실제로 러시아랑 비잔틴과의 관계도 공주랑 혼인했을뿐 그렇다할만한 정통이 있는것도 아니었구요.
러시아를 로마시기 먼 변방의 오랑캐+어느정도 몽골족같은 중앙아시아 문화권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인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우스개소리로 러시아가 성경에서 얘기하는 곡이 아니냐하는 농담도 있을정도로 서방문화권으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는 뿌리깊은 문제들이 있어서 나토가 러시아를 받아줄 이유도 생각도 없는데 러시아의 국가성향이나 정치적인 방향도 나토가 생각하는 스탠다드랑 거리가 멀어서 절대 악 또는 적의 필요성과 더불어서 더 안받아주는거라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729 [질문] 언락폰 확인 방법 질문드립니다. [4] 더미짱6938 22/08/29 6938
165727 [질문] 모택동의 수어지교론은 다분히 프로파간다성 구호다? 아스라이7200 22/08/29 7200
165568 [질문] 고산 지역에 있던 나라들에서는 제철업을 어떻게 했나요? [13] 트랜스휴머니즘7138 22/08/20 7138
165557 [질문] 아이폰 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vi20nq5683 22/08/20 5683
165427 [질문] 미국에서는 웃을 때 엘오엘 이라고만 표현하나요? [20] 애플댄스8003 22/08/12 8003
165216 [질문] 미국 본토로 날라오는 핵미사일을 방어할 방법이 있나요?? [7] 테오도르6855 22/08/02 6855
165185 [질문] 미국의 역대 총기난사 사건 빈도를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추이를 알아보려고 하는데 방법없나요? [2] 산딸기먹자5516 22/08/01 5516
165162 [질문] 방콕에서는 무엇을 하면 될까요? [17] 제논5695 22/07/30 5695
165068 [질문] 미국책의 지질이 안 좋은 이유가 있는지요..? [11] nexon5395 22/07/26 5395
165039 [질문] 인천공항에서 입국수속 후 김포공항으로 이동시간 문의 [9] HeffyEnd5062 22/07/25 5062
164982 [질문] 고전 만화책을 찾습니다 [3] 깐딩4166 22/07/22 4166
164949 [질문] 옛날 미국 포크송 질문 드립니다!! [2] 회색사과2973 22/07/21 2973
164948 [질문] 은행에 돈을 맡기고 10년가량 아무 액션을 취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7] Right6554 22/07/21 6554
164846 [질문] 유승준이 공익 갔었으면 지금 어느급일까요? [54] 깐부7209 22/07/15 7209
164806 [질문] 해외주식 수익률은 환율 변동도 포함된건가요? [2] 오강희3755 22/07/13 3755
164720 [질문] 미국주식시장에서 NYSE랑 나스닥 분류하는 기준이 어떤건가요? [2] 산딸기먹자4960 22/07/09 4960
164719 [질문] 트럼프는 왜 한국 인터넷에서 큰 호응을 얻었을까요? [23] Aku4111 22/07/09 4111
164683 [질문] 영어로 '내 말 못알아 듣니' 할때 "Am I speaking Korean" 이라고 하는것 [5] 비상구5752 22/07/07 5752
164596 [질문] 요즘 뉴욕시에서 백신 패스 필요한가요? [1] 쿠쿠다스3069 22/07/03 3069
164504 [질문] 가벽에 벽걸이 선풍기를 설치하려 합니다. [4] 교자만두4169 22/06/28 4169
164489 [질문] 우크라이나 전황이 어떤가요 [12] 밤공기5804 22/06/27 5804
164448 [질문] 주식계좌에서 입금합계-출금합계보다 자산평가가 높게 나올수가 있나요? [5] 산딸기먹자4962 22/06/25 4962
164440 [질문] 외화예수금은 거래일 후 몇일 후에야 인출 가능한가요? [1] 산딸기먹자3979 22/06/25 39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