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3/12 15:13:44
Name 멋진신세계
Subject [질문] 운동(달리기) 하던 중에 건강 향상을 위해 질문드립니다.
일단 운동 목표는 건강해지기/체력향상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체력이 떨어지니까 더 안 움직이고, 안 움직이니까 더 체력이 떨어지고, 이게 악순환이 되는 거 같아서요.
일차적으로는 회사 생활(+야근) 하면서 이것저것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만큼의 체력을 기르고 싶었습니다.
겸사겸사 체지방도 좀 줄면 좋겠다 했고요.. (체중은 아슬하슬하게 비만이 아닌 정도입니다)

일단 헬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고 습관이 안 들어서 조깅(가볍게 달리기 +  걷기 반복)을 작년부터 하고 있었습니다.
대강 한 번에 30~40분 정도 운동하고 있습니다. 너무 추워서 헬스장을 끊었었는데 가서도 일단은 러닝머신을 30~40분 정도 달리기만 합니다.
일단 습관은 든 것 같아서 관찰해보니 일주일에 4~5일 정도는 운동을 하고 있는 거 같고요.
체력은 좀 좋아졌다는 생각이 들고, 움직이기 싫어하던 운동 전에 비해서는 일단 운동화 신고 밖으로 나가는 정도까지는 발전했습니다



상황은 이런 상황인데, 유산소운동만 계속해도 괜찮나? 고민이 되어서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근력을 극도로 싫어하긴 하는데.. 일주일에 2번 정도는 유산소 대신 맨몸운동으로라도 근력운동을 하는 게 건강에 더 좋을까 싶어서요.
(이러면 일주일에 2번 정도 근력운동, 2~3번 달리기를 할 거 같습니다.)

참고로 회사가 재택근무가 있어서 일주일에 이틀 정도를 몰아서 출근합니다. 헬스장은 회사 근처에 있고요.
(예를 들면 월화, 목금, 이런식으로 출근합니다.)
그래서 근력운동을 기구 위주로 한다고 하면 이렇게 몰아서 근력운동을 해야 할 것 같은 상황입니다.
즉 월/목에 출근하면서 근력운동하고 다른 날은 달리기 이런 건 어려운 상황입니다ㅜㅜ

질문을 정리하면
1. 현재 달리기에 투자하는 시간을 4:6이나 5:5 정도로 근력 운동에 일부 투자하는 게 나을까요?
   (그래도 달리기를 더 좋아할 것 같지만 어쨌든 짬을 내서 근력운동도 하는 게 맞는 것인지..)

2. only 달리기보다 근력운동을 하는 게 낫다면 혹시 추천하시는 프로그램(?)이 있으실까요? (일주일에 2번 정도 예상됨)
    지금은 스쿼트 + 푸시업 + 플랭크 + 윗몸일으키기(나 기타 복근 운동)을 다 합쳐서 30분 정도 한다고 생각할까 싶습니다.
    헬스장에 가는 날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보다는 상관없이 달리기와 번갈아가면서 근력운동을 하는 게 낫지 않나 싶어서요.
    혹시 다른 방법을 추천하시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2/03/12 16:43
수정 아이콘
근력운동을 병행하면 무조건 좋습니다
다만 본인이 움직이는거 싫어하는 타입이고 그마저도 타협하는 선이라면 러닝이나 걷기만이라도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예전에 해온게 아니라면 걷는거 혹은 러닝만으로도 상당히 벅찰 수 있거든요

그리고 주변에 친구 혹은 가족중에 그런거 즐겨하시는분이 있다면 슬쩍간보기도 괜찮습니다
예를들어 누군가가 조기축구를 한다면 그거 따라가 본다던가 자전거를 탄다면 따릉이라도 빌려서 타본다던가 하는식으로요
그거 하면서 재미느끼다보면 내가 그걸 즐기는데 체력이 부조족하다 싶어서 기초체력 늘리는 운동을 찾게 마련이거든요
막걸리+파전 즐기려고 매주 일요일 산을 탄다...이런 식으로 말이죠
22/03/12 16:48
수정 아이콘
체력을 위한 운동이면 그냥 안다치고 안질리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달리기가 좋으면 달리기를 하고 쇠질좀 하고 싶으면 쇠질하고 이러면됩니다.
22/03/12 16:56
수정 아이콘
심장이 빠르게 뛸만큼 강한 운동은 무엇이든 좋습니다. 특히 심혈관계에 좋아요. 근력운동도 병행하면 더 좋겠지만 유산소운동만으로도 충분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운동이라는게 중독성이 있어서 무슨운동이든 습관이 들으시면 다른 운동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실거에요 이왕하는거 재미있는 운동하세요
League of Legend
22/03/12 17:24
수정 아이콘
근육을 만드는게 목적이 아니라면 헬스장에 있는 기구들을 20번x5세트정도 반복운동하는 정도로도 충분히 근손실을 방지하면서 운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일단 엘리베이터를 안타기 시작했는데 이게 은근히 다리 근육에 도움이 되더라구요.
HighlandPark
22/03/12 19:26
수정 아이콘
근력운동은 무조건 하시는게 오히려 체중감량에도 도움이 됩니다. 정확히는 무산소->유산소 진행하는것과 only 유산소만 하는것과 비교하자면 전자가 압도적으로 지방연소에 유리한 조건이 됩니다.

아무튼 초보시면 무리하시지말고 3대운동 정도만 나눠서 시작해 보시는걸 권해드리구요. (예/ 월-스쿼트 수-벤치프레스 금-데드리프트)
해당 운동 12개씩 3세트 정도로 가능한 무게 찾아서 시작해 보시고 끝난 후 유산소로 마무리 한다는 마음으로 시작하셨다가, 익숙해지면 무게나 세트 수를 늘려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셔도 현재 단계에서는 충분할 것 같습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2/03/12 20:44
수정 아이콘
미용이 아니라 체력강화의 목적이라면 달리기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달리기를 하게되면 전반적으로 중력을 잡아주는 실용적인 근육들이 붙게되고, 체력적이 비약적으로 향상됩니다.
쇠질과 병행할때 만약 스케쥴이나 지나치게 시간이 빠듯한경우 체력을 위해선 달리기만 하셔도 무방하십니다.
개념은?
22/03/12 20:47
수정 아이콘
현직 트레이너입니다. 헬스를 원래 좋아하지 않는다는건 아마 보디빌딩식 웨이트 훈련을 말씀하시는거겠죠?
이런 분들은 체력을 길러주고 싶다면 인터벌 트레이닝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달리기 같은경우도 예를들면 1분 전력질주하고, 20초 쉬고, 이런식으로 사이클을 막 돌리는건데 그냥 런닝머신 뛰는것보다 체력이 확확 증가하는게 좋습니다.
근력운동도 정적인 웨이트보다는 크로스핏 계열처럼 파이팅있게 하는것도 좋다고 봅니다.
우선 이런게 재미가 있거든요.
물뿔소
22/03/13 12:24
수정 아이콘
지금하는 운동에 건강만 생각하면
런닝 때 전력질주를 넣어서 하면 다른 운동 병행 안해도 됩니다.
이게 참 좋은데 힘들어서 아무도 안해요. 다른 운동 하고말지..
멋진신세계
22/03/13 17:41
수정 아이콘
일단은 꾸준히 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위해 유산소운동을 위주로 하되 심적여유를 내서 근력운동쪽으로도 넓혀보겠습니다.
다들 너무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642 [질문] ChatGPT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2] PARANDAL1959 24/06/13 1959
172571 [질문] 가성비 탭/태블릿/패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유유할때유8356 23/09/12 8356
172130 [질문] 그림용 갤럭시 탭 vs 아이패드 프로 [8] This-Plus5895 23/08/15 5895
172004 [질문] 만화책 폭두방랑 타나카 이후 시리즈 보는 방법 없나요? This-Plus6221 23/08/06 6221
169445 [질문] 게임용 컴퓨터 견적 짜봤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9] 보로미어10003 23/03/08 10003
169167 [질문] 영어 해석 관련 질문 합니다. [3] 흐헤헿레레헤헤헿5473 23/02/22 5473
166657 [질문] 뉘앙스가 다른 이 두 문장을 영어로 표현하면 어떻게 하면 될지요...? [4] nexon7551 22/10/16 7551
162301 [질문] 운동(달리기) 하던 중에 건강 향상을 위해 질문드립니다. [9] 멋진신세계4695 22/03/12 4695
160216 [질문] 삼국지 책 추천해주세요.(일단 완료) [13] 닉언급금지7913 21/12/08 7913
156549 [질문] VBA 관련된 영어번역 질문드립니다. [7] 똥깔장군8236 21/07/08 8236
150740 [질문] (영어) before와 until을 정확히 구별하는 방법이 있을지요...? [8] nexon7022 20/12/02 7022
148670 [질문] 80만원 초중반대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차카차카5248 20/09/22 5248
148257 [질문] 오래된 모바일게임을 찾고있습니다 [1] 우들5337 20/09/07 5337
147370 [질문] 가디언테일즈 PVE 캐릭 질문 [6] 꼬추4524 20/08/07 4524
147233 [질문] 유튜브 시청용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바카스4942 20/08/03 4942
146284 [질문] [KBL] FA 계약 연봉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3] Healing4630 20/07/01 4630
144684 [질문] 비슷한 곡 알고 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Zakk WyldE3755 20/05/05 3755
142099 [질문] 영어문장 해석 질문입니다. [5] 진소한3895 20/02/12 3895
140001 [질문] [몬헌] 아이스본 관련 질문입니다 [7] 시그마4356 19/11/30 4356
134429 [질문] 저가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TV시청 정도만) [9] 파란무테2913 19/06/13 2913
133870 [질문] 운전하면서 들을만한 유튜브 채널 있을까요? [7] goldfish8802 19/05/28 8802
129057 [질문] 어벤져스 1,2,3편에서 각각 궁금한 장면이 있습니다. [9] CoMbI COLa3570 19/01/09 3570
128742 [질문] 협박성 스팸메일을 받았습니다 [17] 안프로3763 18/12/31 37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