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2/14 23:25:02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대한민국이 금융 후진국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4 23:31
수정 아이콘
저는 금융은 잘 모르지만 관치금융, 국가자본주의, 아시아의 힘 정도 생각나네요
Old Moon
22/02/15 00:27
수정 아이콘
경제 사범들에 대한 방지와 대처도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02/15 00:50
수정 아이콘
금융이란 시장에서 연료, 촉매제, 윤활제의 성격을 띠는데 한국은 기본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으면서 지리적으로도 하필이면 거대 시장이 근접해 있어 중간 다리 역할을 할 형편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금융 시장이 발달하는 데 구조적으로 큰 제약이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수적으로는 정부든 민간이든 사회적으로 딱히 시장 친화적이거나 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다는 점도 한몫하고요.
StayAway
22/02/15 01:14
수정 아이콘
일단 학교에서 경제학이나 투자에 대한 지식을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
22/02/15 06:57
수정 아이콘
재벌들 양도세 상속세 생각하면 주가 오르는 것보다 유지되는 게 이득이니
그러 이유들로 주식쪽으로 재미보기 힘들단 시선도 많죠
안올리려고 마음먹고 안올려줘버리니..
신류진
22/02/15 09:15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학교에서 경제학에 대해서 가르치지 않는게 제일 문제라고 봅니다.

인생에서 국영수보다 훨씬 중요한게 경제학인데, 이걸 안가르치는게 말도 안된다고 봐요
22/02/15 10:09
수정 아이콘
금융 후진국인지는 모르겠지만 윗 댓글처럼 자본주의나 금융 전반에 대해 고등학교까지는 잘 못배우고 오히려 저는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주식 거래는 도박 내지 노동으로 돈을 버는 게 아니므로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끔 배운 것 같긴 합니다. IMF를 성장 과정 속에 정통으로 겪어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
Ainstein
22/02/15 10:49
수정 아이콘
주변국이라고 해서 딱히 경제지식이나 투자같은 걸 가르쳐서 금융선진국이 된 것 같진 않고요(특히 일본 국민들의 자산투자에 대한 공포는 한국보다 훨씬 심하죠). 현실적으로는 투자하기에 마땅찮아서 그렇죠. 원래부터 부자여서 해외금융자산을 사모은 일본, 대만도 아니고(게다가 일본은 통화 파워까지 준기축통화로 강하죠) 구 대영제국의 인프라를 물려받은 홍콩이라든가, 중화권 시장에 접근이 용이하고 역시 물려받은 유산이 대단한 상하이에 비교하면 후발 선진국인 한국이 도통 경쟁력이 있을 부분이 없다 봅니다.
회색사과
22/02/15 10:51
수정 아이콘
일단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자본 소득 / 금융 소득 / 레버리지 에 대해 전혀 가르쳐주지 않는게 큰 것 같습니다.

존 리가 한 말 중에… 다른 건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를 것 같지만
“돈이 일하게 하는게 자본주의다” 라는 말은 대부분 이견이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걸 경제 주체가 되고 (사회에 나오고) 나서야.. 늦은 사람은 결혼할 때 되서야 깨닫는다는게 문제인 거 같아요.
썬업주세요
22/02/15 13:28
수정 아이콘
돈이 일하는건 자본의 속성중에 하나로 보이고 자본주의의 정의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네요.
회색사과
22/02/15 13:56
수정 아이콘
아 옙 제가 말을 잘못 옮긴 것 같네요.

돈이 돈을 벌게 해야 한다 였나 ..
(자본주의란 이런 것이다 - 나 정의를 얘기하는 건 아니었던 것 같아요)

그런 뉘앙스였던 것 같아요 흐흐

지적 감사합니다
썬업주세요
22/02/15 13:32
수정 아이콘
단순히 금융산업이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무작정 저축'을 벗어난 것만 봐도 금융에 대한 일반인들의 생각은 많이 진보되고 있고 이미 꽤 됐다고 봅니다.
공모주 청약 건수가 돈되는건 찾아서 한다는 방증이죠.
22/02/15 17:12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6UUePe6mwws
https://www.youtube.com/watch?v=qtISRMRLhp4
https://www.youtube.com/watch?v=ez2aYrDN7ZY

금융시스템의 근간은 신뢰죠. 사람과 기업과 정부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후진국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794 [삭제예정] 차량선택 조언바랍니다. 그랜저 하이브리드 vs g80 [28] 삭제됨7463 22/02/16 7463
161793 [삭제예정] 5개월 정도 된 아기가, 갑자기 아빠만 보면 우는데 왜 그럴까요? [8] LG의심장박용택5595 22/02/16 5595
161791 [질문] 다른 나라에선 젓가락질 못하면 어떤가요? [6] liten4745 22/02/16 4745
161790 [질문] 공유기 허브에 연결된 메인 PC를 찾는 방법이 있을까요? [5] 열혈둥이2404 22/02/16 2404
161789 [질문] 퇴직시점에 따른 연차수당 정산 관련 문의.. [12] 츠라빈스카야6055 22/02/16 6055
161788 [삭제예정] 가족끼리 같이 살 때 세대분리 가능한가요? [8] 삭제됨6582 22/02/16 6582
161787 [질문] 30만원 정도 생기는데 뭐하면 좋을까요? [18] 크리스 프랫5215 22/02/16 5215
161786 [질문] 엑셀에 한칸에 두줄 이상일때 텍스트 나누는 방법 [6] 회전목마5320 22/02/16 5320
161785 [질문] 고데기,롤빗같은 머리손질 오프라인으로 배우는법이 있을까요? [2] 푸끆이5518 22/02/16 5518
161784 [질문] 범용 공인인증서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메타몽3548 22/02/16 3548
161783 [질문] 사업자등록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3] 외계소년4817 22/02/16 4817
161782 [질문] 8연속 서브에이스는 어느정도 기록일까요? [8] 알파센타우리5071 22/02/15 5071
161781 [질문] 바둑을 배우고 싶습니다 [4] 꿀행성6001 22/02/15 6001
161780 [질문] 다이어트 유경험자분들에게 질문입니다. [32] League of Legend8134 22/02/15 8134
161779 [질문] 포켓몬 카드 질문있습니다. [1] 레몬막걸리5271 22/02/15 5271
161778 [질문] [드래곤볼] 이 영상에 나오는 드래곤볼 영상은 어느 게임의 영상일까요? [2] 회색사과7719 22/02/15 7719
161777 [질문] 로아 이제 막 스익 끝낸 뉴비 각인이랑 악세 질문이요 [4] 루엘령6978 22/02/15 6978
161776 [질문] 대식가들이랑 밥먹고 엔빵할때 억울한데 저 쫌생인가요? [41] 김치맨10583 22/02/15 10583
161775 [질문] 커플여행 코스 잘 정리된 블로그/인스타? [2] 꿀행성5242 22/02/15 5242
161774 [질문] 코로나 걸리면 증상과 완치기간 얼마나 걸리나요? [13] Stranded6965 22/02/15 6965
161773 [질문] 로아 찍먹 캐릭 추천부탁드려요 [23] 과수원옆집7675 22/02/15 7675
161772 [질문] 한글 워들 하다가 나온 단어 질문인데 [1] 오분만4428 22/02/15 4428
161771 [질문] 의알못)완치된 감염병은 어떻게 안 옮나요? [3] 형리4767 22/02/15 47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