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1/05 17:48:17
Name 난할수있다
Subject [질문] 여러분들은 영어발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나름 영어로 밥벌어먹고 있는 사람이긴 합니다.

한국 영어교육 사회는 발음을.. 특히 미국발음에 대해 많은 선호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도 미국식 발음을 하고 익숙하기도 하지만요)

하지만, 전 발음이 속칭 "나쁘다"라고 불리는 분들을 보면, 그분들이 영어를 못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용 전달성, 적절한 어휘, 어감을 잘 조절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말이죠.

아무리 미국/영국/호주 발음을 잘한다한들.. 싱가폴,인도, 아프리카 등등
영어를 매우 잘하지만 "우리가 익숙한 발음"을 하지 않는 외국분들을 영어못한다고 하지 않잖아요?

왜 우리나라는 발음에 집착을 많이 하는걸까요? 단/장 모음, f/p, v/b, 동일 단어지만 뜻이 달라지는 특수 경우를 제외하고
저는 한 영어 구사자가 발음이 원어민적이지 않더라도 충분히 좋은 구사력을 가졌다면 영어를 매우 잘하는 분이라고 생각되고,
학생분들이 그분에게 영어를 배워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특정 발음을 익숙해지고픈 목표를 가진 분 제외)

여러분들은 "영어 발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2/01/05 17:54
수정 아이콘
같은 실력, 같은 비용이면
발음 좋은 사람한테 배우는게 발음 나쁜사람한테 배우는것보단 낫죠...

근데 실력, 비용이 다 평준화 되어 있으니 발음 좋은 사람이 더 인기가 있는거고, 같은 발음 이면 원어민이 더 인기가 있는거고...
22/01/05 17:55
수정 아이콘
과거 경험으로는 크게 상관 없다 생각합니다. 대충 말해도 다 잘 알아들어주더라고요.
근데 최근 경험으로는... 그래도 신경은 써야한다 생각합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너무 집착할 필요까진 없다고 봅니다.
개좋은빛살구
22/01/05 17:56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도 한국인들끼리는
말 못한다고 표현 안하는것처럼
원어민들은 잘 들으니까 그런거 아닐까요?
제 개인적으로는
제가 잘들리게 말하는 사람을 영어 잘한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크크크
League of Legend
22/01/05 18:04
수정 아이콘
영어공부는 하늘 천 따 지 검을 현 누를 황 하면서
실제로 외국인이랑 만나서 사용할 일이 없으니
교보재에 나온 발음 디테일에 집착하는거죠 뭐
실제로 영어를 일상적으로 쓰는 사람들이 병적으로 발음에 집착하는 일은 특정 직업군 제외하면 잘 없으니까요.
썬업주세요
22/01/05 18:33
수정 아이콘
많이 집착한다고 생각합니다. 속칭 '간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니까 그런게 아닐까요.
실제로 언어를 잘한다고 하면 발음보단 아니라 상황에 맞는 어휘 선택, 문장 구사가 좀 더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못 알아들을 정도의 발음이 아니면요.
22/01/05 20:01
수정 아이콘
인도엔지니어들이랑 일하다가 발음에 대한 욕심을 버렸습니다.
doberman
22/01/05 20:16
수정 아이콘
발음보다 억양교육이 더 시급해 보입니다
엔지니어
22/01/06 10:37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입니다. 억양에 대한 이해가 진짜 중요한데.. 그거 없이 발음만 가르치면 진짜 무의미해요.
발음만 가르쳐도 본능적으로 깨닫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아닌 사람이 훨씬 많아요.
22/01/05 20:54
수정 아이콘
영어 뿐 만 아니라 모든 외국어에서 발음은 중요하지만 최우선 사항이 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깨끗한 한국어 발음으로 '저는 지금 이럴수도 없고 저럴수도 없는 매우 곤란한 상황이예요' 라고 말하는 외국인보다, 다소 발음이 어눌하더라도 '저는 지금 진퇴양난에 빠졌어요' 라고 말하는 외국인이 훨씬 고급 한국어 화자이죠.
22/01/05 21:10
수정 아이콘
일하면서 중국, 인도, 유럽, 남미 이런 사람들 만나서 얘기해보고 발음에 대한 집착을 버렸습니다.
22/01/05 21:34
수정 아이콘
미국, 서양, 선진국에 대한 우상화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미국 발음 기준으로 유창하게 하면 외국 선진국 물 먹은 것처럼 멋있어 보이니까요.
22/01/06 08:01
수정 아이콘
영어발음 안중요하다 반기문 영어로 연설하는거 본적있냐고 말하던지 앞으로 ai시대가 와서 영어사교육 지금처럼 할 필요 없다 이야기하면 저를 이상한 사람으로 매도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냥 혼자 생각하고 맙니다
농심너구리
22/01/06 08:45
수정 아이콘
직업 특성 상 다국가 사람들과 얘기를 많이 하는데요. 이게 하다보니.. 대충 이 영어는 이 나라 스타일 발음이다 하는 것이 정리가 되더군요. 듣기만 해도 대충 어느 나라 애구나 구분도 되요.
제 생각에는 각 국 기본 언어와 억양 등에 의해서 영어발음이 굳어지는 느낌입니다. 그 나라의 영어발음이 되는 거죠.
따라서 영어발음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알아만 듣고 소통만 되면 된다고 생각해요.
싸구려신사
22/01/06 09:19
수정 아이콘
발음이 안좋게 들리지만 실은 영어를 잘 하시는분들도 대단하다 생각은 하지만 발음도 더 미국식으로 하시는분들을 보면 더 대단하게 느껴지는건 어쩔수 없는것 같습니다.

물론저는 발음은 좋지 않을지언정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 되고싶습니다.ㅜㅜ
회색사과
22/01/06 09:53
수정 아이콘
발음 안 좋은 사람보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입 안떨어지는 사람이 훨씬 많을 텐데요 크크

스크립트 없이 말 못하고 발음 원어민인 사람보다는
프리토킹 되는 사람이 만 배는 잘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어느 언어건 유창하게 나오는 말은 너무 멋진 것 같아요..
특히 네이티브가 아닌데 외국어를 아나운서처럼 말하는 건 (살다 왔건 뭐건..) 섹시합니다 으흐흐
농심신라면
22/01/06 14:47
수정 아이콘
저는 살짝 다른 의견인게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발음, 억양이 좋지 않으면 내용 전달이 잘 안되지 않나요?
우리말은 상대적으로 억양이 중요치 않아서 억양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것 같습니다만, 어느 언어를 잘 구사한다에는 발음이나 억양이라는 요소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우사랑
22/01/06 15:18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는 오히려 영국식 영어를 더 좋게 쳐주는데요 뭐.
22/01/06 19:27
수정 아이콘
발음이 영어공부의 최고 중요한 점은 아니지만, 소홀히 해서도 안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f/p 랑 b/v 정도는 구분이 될 수 있도록 발음해줘야죠.

저도 직장에서 다양한 국적 사람들과 가끔 마주치는데,

네이티브 발음까진 아니어도, 세계 각지 사람들이 내 영어를 알아 들을 수 있도록 중립적인 악센트를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느낍니다.
서류조당
22/01/06 22:55
수정 아이콘
외국 나가본 사람 많이 없던 시절에 돈벌려고 만들어낸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2553 [삭제예정] 코로나 확진 및 회복 후 미국 입국 [4] 삭제됨3640 22/03/24 3640
162444 [질문] 미국의 영향력을 쇠퇴시키고 다극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할지요...? [4] nexon3810 22/03/19 3810
162352 [질문] 주린이가 미장 투자 시작해보려고합니다. [19] 베가563261 22/03/14 3261
162249 [질문] 골린이 골프채 질문입니다!(미국) [2] Capt.Tim3634 22/03/10 3634
162238 [질문] 이제 저금리 시대는 끝일까요? [5] 실제상황입니다4413 22/03/10 4413
162126 [질문] 우리나라 배당주도 꾸준히 모아가는 방법이 좋은지요...? [11] nexon4277 22/03/04 4277
162077 [질문] 베이컨은 건강에 좋지 못한 음식인가요? [12] 기술적트레이더4952 22/03/03 4952
161972 [질문] 이제 미국의 시대는 저무는건가요? [18] Garnett215364 22/02/25 5364
161867 [질문] 이현중 NBA 드래프트 가능성이 현재 어떤가요? [15] 휵스5344 22/02/20 5344
161760 [질문] 미국 증시 기준 역사상 제일 심했던 폭락장은 여기서 언제일까요? [10] 산딸기먹자5229 22/02/14 5229
161752 [질문] 국방, 북한과의 전쟁, 및 국민들의 시각 관련 질문 몇가지 [9] 절대불멸마수3731 22/02/14 3731
161503 [질문] 미국 박사 학생분 계신가요? 세금환급 관련 [5] 휵스5018 22/02/04 5018
161476 [질문] 금리상승을 대비해 채권/배당주에 투자하는 것은 어떤지요...? [11] nexon6364 22/02/02 6364
161474 [질문] [미국주식] 양전했습니다 [9] 연애잘합니다6610 22/02/02 6610
161458 [질문] 영어 과외 구직 사이트? [2] 쿠쿠다스5812 22/02/01 5812
161409 [질문]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지지 않을 방법이 있었을까요...? [17] nexon5006 22/01/28 5006
161391 [질문] 그래픽카드 직구 질문입니다. [3] 테네브리움4571 22/01/28 4571
161379 [질문] 일본 거주중이신 피지알러 분들께 EMS 관련 질문 드려요 [11] 조메론4997 22/01/27 4997
161278 [질문] 주식) 1배수 투자란게 뭐죠? [3] 외계소년6603 22/01/23 6603
161275 [질문] s&p500 와 s&p500 etf 차이 [5] 외계소년5727 22/01/23 5727
161257 [질문] 운동기구 이름이 생각이 안나요 [2] 니체6035 22/01/22 6035
161134 [질문] <주식,증시>연준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관련 글 해석이 힘드네요 [1] 포인트가드5903 22/01/16 5903
161108 [질문] 외제차 배터리 교체 관련 질문 [10] 엔딤6581 22/01/14 65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