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06 16:47:03
Name 너와나의연결고리
Subject [질문] 주택청약 계약금 관련 신용대출 및 주담대질문 (수정됨)
안녕하세요,

요번에 수도권이라 부르기 민망한 경기도 지역에 청약이 당첨되었습니다.
서류심사통과가 된다면 계약을 해야되는데 문제는 계약할 금액 대부분이 국내 및 미국 주식 파란색계좌에 들어가있습니다.
(주식계좌에 약 3~4천만원 정도 넣었는데 현재 평가 금액이 5백만원정도 마이너스인 상태입니다)
계약금(10%)과 이외금액이 합쳐서 4천만원 이하라 물론 현재 주식가격청산 및 현재 가지고 있는 금액으로 계약금 및 이외금액들을 납부가능합니다만 마이너스 500만원이 너무 아까워서 신용대출을 받을려고합니다.

서두가 기네요 하기 3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중도금(60%)은 집단대출이라는 개념으로 계약할때 운영단체 측에서 단체로 대출받는다고 알고있고 중도금 이후 잔금(30%)을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서 전체 잔금을 해결하면 된다고 알고있는데 이게 맞나요?


2. 신용대출을 받으면 주택담보대출 혹은 중도금 대출받을때 문제 혹은 불이익이 있나요? 신용대출은 3천만원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마통 혹은 신용대출을 주담대 받기전에 다 상환하면 문제없을까요?


3. 한국은행에서 대출금리를 점점 올릴 계획이라고 하는데 신용대출은 변동금리인가요? 이럴경우 이자율도 올라가는건지 궁금하네요.


부알못이라 정말 모르는게 많네요. 유튜브로 계속 공부하고 찾아보고 있는데도 햇갈려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06 17:02
수정 아이콘
1. 알고계신 내용이 맞고 중도금 대출 절차는 건설사/시행사쪽에 확인해보시는게 정확할겁니다.

2. 케바케지만 신용대출 잔고가 남아있으면 글쓴분 소득에 따라 대출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DSR이라는 수치로 대출총액을 규제하기때문이고, 이 리스크는 주담대 전에 상환하시면 상관 없습니다.

3. 변동금리 고정금리 선택이 가능하고 고정금리가 좀 더 비쌉니다. 단기간에 상환하실거면 변동금리, 장기간 대출하시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도 많이 합니다
너와나의연결고리
21/09/06 17:26
수정 아이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리자몽
21/09/06 18:00
수정 아이콘
집 완공 이전엔 중도금 대출, 집 완공 이후 입주 시에는 중도금 대출을 주담대로 새로 대출 계약을 맺습니다

이 때 내가 진 빚이 많으면 주담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담대는 요즘 최소 30년~40년을 하는데 고정금리가 이율이 많이 높은데 앞으로 금리가 계속 오를꺼라고 생각하면 고정금리 가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봅니다
너와나의연결고리
21/09/06 19:04
수정 아이콘
빛이 없거나 적어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1/09/06 2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맞습니다. 다만 잔금 대출이 30%라는게 아니고 다 지어진 건물을 담보로 주담대를 일으키고 중도금 대출을 상환하는 것입니다. 결국 남는건 잔금 대출계좌 하나인 것이죠.

2. 신용대출을 받게되면 가계대출 심사시 고려하는 dsr/dti에 영향을 줍니다. 다른 부채가 없다면 3천만원 정도면 그리 큰 금액은 아니라 크게 문제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3. 금리는 고정금리로할지 변동금리로할지 고르시는 것입니다. 다만 개인 신용대출의 경우 만기 일시상환으로 한다면 만기가 1년입니다. 1년마다 연장해서 5년을 보통 쓰시죠. 즉 고정금리를 하더라도 1년마다 금리는 바뀝니다. 그리고 고정금리의 경우 향후 금리 인상을 예상해서 변동 금리보다 금리가 더 높습니다. 은행 직원에게 고정금리 변동금리 금리 들어보시고 고르시면 될거 같아요.
너와나의연결고리
21/09/06 23:40
수정 아이콘
와 명쾌한설명 감사드립니다. 답변해주신내용을 토대로 은행원에 가서 상담해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503 [질문] 약정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공기계를 구매해서 유심을 끼워 사용하는게 가능한가요? [4] 민머리요정8584 21/09/27 8584
158405 [질문] 영어로 업무 메일 쓸 때 주의 사항이 따로 있을까요?? [6] 원스7111 21/09/23 7111
158311 [질문] 영화고수님들, 영화 하나만 찾아주십쇼. [4] 로랑보두앵7355 21/09/18 7355
158254 [질문] 영상을 찾습니다. [3] ELESIS6270 21/09/16 6270
158189 [질문] Remarkable 태블릿 사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3] 휵스10362 21/09/13 10362
158172 [질문] 베스트바이에서 물건 사보신 분 계실까요? [4] 인생은아름다워9963 21/09/12 9963
158156 [질문] 미국 팝 노래를 찾습니다 [2] 뜨거운눈물7006 21/09/11 7006
158100 [질문] [주식] QLD/TQQQ 20년 장기투자 괜찮을까요? [29] 난할수있다19696 21/09/09 19696
158026 [질문] 주택청약 계약금 관련 신용대출 및 주담대질문 [6] 너와나의연결고리10491 21/09/06 10491
158010 [질문] 해외여행 관련 정보 아시는분 + 어디서 알아보나요? [1] 리얼월드9669 21/09/05 9669
157903 [질문] 아주 얇은 남성 손목시계를 사고 싶습니다. [7] 흡-흡-허-11661 21/09/01 11661
157867 [질문] 백신 부스터샷 질문입니다. [3] 포코포코7623 21/08/30 7623
157775 [질문] 넷플릭스 7세 남자아이가 볼수 있을만한 영어컨텐츠 (포켓몬스터같은?) [5] 하나둘셋10140 21/08/26 10140
157763 [질문] 주린이 ETF 질문 좀 할게요 [11] 롯토10184 21/08/26 10184
157679 [질문] 혹시 탁재훈 씨 이혼소송 관련 재산분할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13] 교대가즈아16581 21/08/22 16581
157634 [질문] 통관수수료 문의 [9] Cherish7118 21/08/20 7118
157601 [질문] 신혼부부 부동산 재테크 질문입니다. [17] 부처12296 21/08/19 12296
157584 [질문] 샤오미도 화웨이 처럼 보안 문제가 있을까요? [10] 맛있는새우6833 21/08/18 6833
157564 [질문] 스위치 수리하느냐, 새로 사느냐.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12년째도피중14137 21/08/18 14137
157541 [질문] 미국이 개입해서 거의 유일하게 성공한 나라가 한국일까요?... [22] 우주전쟁14715 21/08/17 14715
157437 [질문] 순수외국인이 해당나라 국어 과목을 가르칠수있나요? [11] 시오냥8652 21/08/13 8652
157338 [질문] 대출해서 우량주 or 배당주 투자하기? [23] 난할수있다9821 21/08/09 9821
157284 [질문] 미국 주식 단체 소송 해보신 분 있나요? [3] Alynna8129 21/08/07 81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