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9 13:53:29
Name 난할수있다
Subject [질문] 대출해서 우량주 or 배당주 투자하기?
안녕하세요. 평범한 37살 직장인입니다.

한창 열심히 주식으로 제테크 중입니다.

"가난한 아빠 부자 아빠" 저자 로버트 키요사키는

" 대출을 해서 자산을 구입해서 부자가 되었다"

라고 하더라고요.

따지고보면.. 아파트같이 좋은 자산을 은행의 힘을 빌려서
값다보면 자산가치 상승으로 이득을 보는 구조처럼..

정말 우량자산에 장기로 묻어둔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감당할만큼 적당히 대출해서 삼성전자 or 미국주식에 투자해도 좋다는 생각이 요즘 들더라고요.
예를 들면, 신용대출 2.8~3.5% 정도로 ?천만원 대출을 받고 + 고배당 etf(세후 4프로 이상)만 넣어도
이득이기도 하고요(미국우량주에 넣어서 시세차익을 노려보는것도 좋고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좋은빛살구
21/08/09 13:55
수정 아이콘
제가 주식에 그런 생각을 하고, 마이너스 통장을 끌어다가 해보려다가
침체기를 버틸 자신이 없어서 포기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도 저점에서 못버티고 빠지는것에서 버티지 못하는것 같은 느낌도 들고요.
무지개그네
21/08/09 13:58
수정 아이콘
범인은 절대 불가입니다.
대출 받아서 투자했는데 하락장 맞으면 못버팁니다.
벨로티
21/08/09 14:02
수정 아이콘
정기적 수입이 확실하고, 그것으로 대출금액을 온전히 감당가능하다면 상관없습니다. 여기에 더해 우량주에 대한 100%의 확신이 필요하겠죠. 하락장 속에서도 결국을 오를 거라는 굳건한 믿음이요. 보통 이러한 믿음은 철저한 기업분석을 통해 찾아오지, 어설픈 공부로는 생기지 않습니다.
이쥴레이
21/08/09 14:04
수정 아이콘
제가 올해 1월초 비슷한 생각으로 마이너스 통장 다 끌어다가 우량주로(?) 봤던 강원랜드에.. 도박 아닌 도박으로 다 때려 넣을까하다가...
그냥 있는돈만 넣었는데 그게 현재 10%이상 수익중이기는 합니다. 후회되더군요. 다 땡겨서 넣을걸 하고...
카뱅도 금요일날 느낌이 와서 6만원에 1주만 샀습니다. 가지고 있는 삼전 주식 다 팔고 카뱅 살까 하다가.. 아니다 배당금이나 받자
했는데.. 오늘 되니 또 후회되더군요.

이렇게 말하고 있지만 사실 몇년전에 잘못 넣었다가 날린적도 있어서 뭐가 정답이라고 이야기 못하겠습니다.
있는돈으로 하는건 버틸수 있지만 대출로 남의 돈으로 투자하다가 하락장은 정말 버티기 힘들다는걸 알기에...
덴드로븀
21/08/09 14:08
수정 아이콘
[신용대출 2.8~3.5% 정도로 ?천만원 대출을 받고 + 고배당 etf(세후 4프로 이상)만 넣어도 이득이기도 하고요]
--> ETF 가 10% 떨어졌을때를 생각해보셨나요? -20%는? -30%는?
2020년 2월~3월 코로나19 터지기 시작할때 전세계 주식시장 그래프 보셨나요?

투자를 할때는 상승/배당때의 흐뭇함을 생각할게 아니라 하락할때 내가 감당할수 있나를 가장 많이 생각해봐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라는걸 미리 생각안해두면 뜬금없는 악재로 떡락빔 맞고 정신이 혼미해져서 풀매도 때리고, 어어어하다 오른다고 풀매수 때리고, 또 내려간다고 풀매도 때리고 정신차려보면 잔고의 30~50% 가 날아간걸 지켜보게 됩니다.

그냥 존버하면 되는건데 누가 그러냐? 대부분 저렇게 되는게 주식시장이죠.
코로나 이후 미친듯이 다들 오르기만 하니 냅두면 이기는거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제대로 된 떡락 맞아보기전엔 대출은 정말 잘 생각해야 합니다.
리얼월드
21/08/09 14:11
수정 아이콘
주식하다 한강가는 지름길이 대출금으로 하는겁니다.
물론 잘된 사람도 있습니다.
양현종
21/08/09 14:16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하락장에서도 깔고 앉으면 되는데 주식은 언제든 현금화 할 수 있으니 범인의 멘탈로는 실시간으로 돈이 녹아내리는 하락장에서 버티기 힘들죠. 주식투자에서 대출을 통한 투자금 조달은 하락장과 같은 결정적인 슈팅 타이밍에서 쓰는 카드라고 봅니다.
21/08/09 14:20
수정 아이콘
이게 정말 오를거다라는 확신이 아니면 지양하시길 바랍니다.
김혜윤사랑개
21/08/09 14:22
수정 아이콘
대출후 주식의 가장큰 문제는 존버가 안된다는거죠....
조휴일
21/08/09 14:23
수정 아이콘
대출은 절대 X
고배당 ETF가 항상 오르는게 아닙니다.
우량주 배당주 중에 고르라면 우량주.
21/08/09 14:31
수정 아이콘
주식 대출은 초단기간 승부보는 선물/옵션같은거 할땐 의미가 있는데.. 장기투자는 정말 의미 없습니다.
물론 전자도 잘못하면 골로갑니다.
월급루팡의꿈
21/08/09 14:55
수정 아이콘
아는분이 미국 나스닥 3배 레버리지 ETF (TQQQ)로 돈을 많이 버셨습니다.
이분이 처음 샀을때가 10불 초반이었구요.. 지금 130~140을 왔다 갔다 합니다.
그러면 뭔가 대박인것 같지만, 작년 코로나로 TQQQ가 박살이 났을때 57불에서 17불까지 떨어졌었습니다.
운이 좋아서 상승기에만 투자를 한게 아니라면, 분산투자를 했던지, 아니면 원래 자산이 빠방하게 있어서 비빌곳이 있던지 해야 투자를 성공합니다.
아웅이
21/08/09 15:03
수정 아이콘
단순화 시켜서 이율 3%에 빌려서 주가 4%오르면 1%만큼 이득이고 4%빠지면 7%만큼 손해인데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21/08/09 15:09
수정 아이콘
기대수익이 어느정도인지, 감당할 수 있는 손실이 몇%인지, 이율을 초과하는 수익을 낼 자신이 있는지 냉정하게 따져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21/08/09 15:32
수정 아이콘
저점에서면 좋다고 보고, 지금은 위험하다고 봐요.
Grateful Days~
21/08/09 15:45
수정 아이콘
하지마세요. 대출해서 주식하면 마음이 급해져요. 처음엔 당연히 장기투자해야겠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시간이 지나서 원금 까먹었는데 주가는 계속 횡보아니면 흐르고 있다면.. 이자비용에다가 원금손실의 스트레스를 동시에 받게됩니다.

대출해서 자산구매는 좋은 위치의 부동산으로 족합니다. 부동산은 왜 그러냐.. 들어가는순간 금액이 큰 것도 있고 절차도 까다로우니 어지간하면 무조건 장투가 됩니다.
21/08/09 16:02
수정 아이콘
마통이랑 가족계좌 총동원해서 공모주하기른 권해봅니다.
성큼걸이
21/08/09 16:18
수정 아이콘
한 구루가 남긴 말이 생각나네요
월가에서 오래 일하면서 본 몇 가지 법칙에 가까운 것들이 있는데
대출해서 투자한 사람은 높은 확률로 실패하고 대가를 치르게 되며, 설령 성공하더라도 비슷한 시도를 되풀이하다 결국 실패하게 되더라
마리오30년
21/08/09 16:26
수정 아이콘
코로나나 9.11같이 돌발이벤트로 인해 전반적인 섹터가 다 저평가구간에 가게 되면 레버리지를 한번 활용해볼만 하지만 지금은 약간의 상승여력은 더 있을지 몰라도 대출받아서 투자를 할만큼 리스크를 짊어질만한 구간은 아닌거 같습니다. 주식 대부분이 많이 올라버렸고, 미래가치까지 미리 반영한 종목들도 많아졌습니다. 물론 그중에도 여전히 숨은 저평가 종목은 있겠지만 시장 전반적으로 그렇게 매력적인 위치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우량주가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야금야금 몇년에 걸쳐서 슬금슬금 빼서 물타기도 못하게 개미지옥 만드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겨울삼각형
21/08/09 18:45
수정 아이콘
레버러지 위험합니다.
하지마세요.

자기 여유자본만 가지고 하세요.

특히나 지금시점은 미증시도 역대최고 고점, 코스피도 역대최고 고점 근처입니다.
wish buRn
21/08/09 21:15
수정 아이콘
성공하면 실패할때까지 도전하게 되서...
21/08/09 22:06
수정 아이콘
주식비율을 높이고 신용대출 가능액을 현금보유라고 생각하면 굳이 대출받지않아도 이자만큼 수익을 내는 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죠.
다만 조정장와도 대출받아서 투자할 수 있는 판단과 실행력은 다른 문제.
이오니
21/08/09 22:12
수정 아이콘
진짜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올해 1월에 대충 4%이율로 3~4천 대출 받을 수 있던 상황이었다면...
무조건 GO...입니다.(S&P, 나스닥이... 사기였었습니다...)


근데 지금은 도박인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503 [질문] 약정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공기계를 구매해서 유심을 끼워 사용하는게 가능한가요? [4] 민머리요정8584 21/09/27 8584
158405 [질문] 영어로 업무 메일 쓸 때 주의 사항이 따로 있을까요?? [6] 원스7111 21/09/23 7111
158311 [질문] 영화고수님들, 영화 하나만 찾아주십쇼. [4] 로랑보두앵7354 21/09/18 7354
158254 [질문] 영상을 찾습니다. [3] ELESIS6270 21/09/16 6270
158189 [질문] Remarkable 태블릿 사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3] 휵스10361 21/09/13 10361
158172 [질문] 베스트바이에서 물건 사보신 분 계실까요? [4] 인생은아름다워9963 21/09/12 9963
158156 [질문] 미국 팝 노래를 찾습니다 [2] 뜨거운눈물7006 21/09/11 7006
158100 [질문] [주식] QLD/TQQQ 20년 장기투자 괜찮을까요? [29] 난할수있다19696 21/09/09 19696
158026 [질문] 주택청약 계약금 관련 신용대출 및 주담대질문 [6] 너와나의연결고리10490 21/09/06 10490
158010 [질문] 해외여행 관련 정보 아시는분 + 어디서 알아보나요? [1] 리얼월드9669 21/09/05 9669
157903 [질문] 아주 얇은 남성 손목시계를 사고 싶습니다. [7] 흡-흡-허-11660 21/09/01 11660
157867 [질문] 백신 부스터샷 질문입니다. [3] 포코포코7622 21/08/30 7622
157775 [질문] 넷플릭스 7세 남자아이가 볼수 있을만한 영어컨텐츠 (포켓몬스터같은?) [5] 하나둘셋10140 21/08/26 10140
157763 [질문] 주린이 ETF 질문 좀 할게요 [11] 롯토10184 21/08/26 10184
157679 [질문] 혹시 탁재훈 씨 이혼소송 관련 재산분할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13] 교대가즈아16581 21/08/22 16581
157634 [질문] 통관수수료 문의 [9] Cherish7117 21/08/20 7117
157601 [질문] 신혼부부 부동산 재테크 질문입니다. [17] 부처12295 21/08/19 12295
157584 [질문] 샤오미도 화웨이 처럼 보안 문제가 있을까요? [10] 맛있는새우6832 21/08/18 6832
157564 [질문] 스위치 수리하느냐, 새로 사느냐.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12년째도피중14137 21/08/18 14137
157541 [질문] 미국이 개입해서 거의 유일하게 성공한 나라가 한국일까요?... [22] 우주전쟁14714 21/08/17 14714
157437 [질문] 순수외국인이 해당나라 국어 과목을 가르칠수있나요? [11] 시오냥8652 21/08/13 8652
157338 [질문] 대출해서 우량주 or 배당주 투자하기? [23] 난할수있다9821 21/08/09 9821
157284 [질문] 미국 주식 단체 소송 해보신 분 있나요? [3] Alynna8129 21/08/07 81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