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18 15:59:57
Name 떡국떡
File #1 77432_79760_4317.jpg (261.5 KB), Download : 103
Subject [질문] 운동회에서 응원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중고등학생 때 운동회를 하면 반 별로 점수를 내서 순위를 가리곤 했죠.
각 종목마다도 점수를 매겼지만 생각해보면 응원점수라 해서 그것도 꽤 큰 비중을 줬던 것 같습니다.
학생 때는 날도 더운데 경기하는거 아니면 좀 편히 앉아있고 싶구만 굳이 목아프게 소리지르라 해서 싫어했습니다

문득 오늘 생각을 좀 해봤어요. 왜 그랬을까?


미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경기하는 선수와 팀을 응원하는 것, 그리고 경기를 보러 온 관객들에게 준비한 응원 율동(?) 을 보여주는 거라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건 응원단'만' 하는거니 좀 다르죠. 일반 학생들은 그냥 지켜보는거고
연세대의 아카라카 라면 학생들이 응원 자체가 신나서 하는건데 그건 워낙 특이한 경우인것 같고..


한국의 중고등학교 운동회의 응원은 무엇을 위해서 일까요?
운동회를 관람하는 관람객이 있었던건 아니었던 거 같아요.
하나의 운동장에서 여러 경기가 펼쳐지는 상황 상 우리 반의 응원이 선수들에게 큰 힘이 되었으려나..
우리팀이 경기하지 않을때도 운동장 가장자리에 반별로 앉아서 응원 목소리 대결을 했던것도 같고..
대학에서 하니까 무작정 따라 한건지,
다같이 목소리를 내는 경험 자체가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건지

교장선생님 보기에 우리 이렇게 신나게 잘하고 있어요 라고 부장 선생님들이 어필하는 용이었던거냐 싶다가도
축제 문화가 좀 더 오래되고 고도화된(?) 일본에서도 응원은 중요한 부분이었던것 같아요.
그것도 어떤 의도가 있으니 자꾸 시켰을텐데, 그게 뭘까요?

현업 선생님은 제가 놓친 의미를 알고 계시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18 16:02
수정 아이콘
굳이 의미를 찾자면 공동체의식 함양...?
현직 초등교사지만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요샌 운동회도 거의 없어지는 추세라
떡국떡
21/05/18 16:03
수정 아이콘
운동회는 왜 사라지고있나요?
다른 행사로 대체되고 있나요?
21/05/18 16:07
수정 아이콘
운동회보단 소규모 체육행사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죠. 일단 전통의 적폐 단체율동이 사라지다보니(가르치기도 어렵고, 학생들도 어렵고, 의미도 없고) 경기에만 초점이 맞춰지고, 그마저도 예전처럼 단체로 룰 숙지하고 질서 딱딱 맞춰서 진행할수가 없으니 작은 부스 만들어놓고 학생들이 돌아다니면서 미니게임 하고 다음으로 이동하고 하는 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에는 운동회 한다고 하면 한달 전부터 땡볕에 모아놓고 단체경기다 율동이다 연습시켰지만 요새 그럴수는 없으니까요. 그래서도 안되고
떡국떡
21/05/18 16:23
수정 아이콘
다행이네요 이제라도 단체율동을 안한다니!!
21/05/18 16:25
수정 아이콘
사실 10년 전쯤에도 단체율동은 거의 사라지는 추세였죠. 5학년땐가 곤봉체조 한다고 손가락에 물집 벗겨져가며 연습한거 생각하면 으으으으으으으으
애기찌와
21/05/18 16:06
수정 아이콘
함께 수학하는 친구들이 땀 흘리며 달리고 힘쓰고 있는데 힘내라고 응원하는 건 여러모로 좋은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보통 반이나 학년 대항이니까 같은 목적을 갖고 있는 친구들끼리 서로서로 응원하고 응원 받으며 나아가는 것이나 여기서 파생되어
승리한 친구들과 기쁨을 나누거나, 패배한 친구들과 슬픔을 나누고 위로하는 것 그 자체가 응원으로서의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떡국떡
21/05/18 16:22
수정 아이콘
흐흐 말씀해주신 바는 이상적인 상황입니다만
저는 응원이 기쁨이나 슬픔을 나누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지는 못했거든요.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오랫동안 준비한 결과를 보는 게 아니라
각 종목 별 좀 한다 하는 친구들 나가서 뛰다 오는거고
그나마 줄다리기 정도만 당일에 영차영차 합을 맞춰보고 함께하는정도였네요

각 종목에선 우리반이 1등했으면 이란 자존심 싸움이 있었지만
반 통합 점수로 1등한다 한들 리워드가 크지도 않았던 기억이라 응원전은 이게 무슨의미가 있나.. 싶었어요
애기찌와
21/05/18 16:35
수정 아이콘
떡국떡님의 경험과 느낌은 존중해요~!!

운동회는 아니지만 보편적으로 월드컵이나 프로스포츠(pgr이니까 e스포츠두요!!)를 통해서도 응원이란 나와는 실질적으로 겹치는 부분이 없더라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희비를 함께 나누곤 하니까요.
사람마다 느끼는바가 다 다르니 정답이 있겠냐 싶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5/18 18:30
수정 아이콘
기왕이면 우리가 이겨야하지 이런 구도가 되면...돌아오는건 없더라도 다르긴 하죠...
아웅이
21/05/18 16:41
수정 아이콘
그냥 우리반 대표해서 나간 친구 응원하는게 재밌는거죠.
올림픽 월드컵 프로스포츠 보면서 응원하는거랑 본질적으로 같지 않을까요?
학교에서는 여러 경험을 해야하니 이런 즐거움도 있다는걸 알려주려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뒹구르르
21/05/18 16:47
수정 아이콘
예전엔 학교입장에선 그냥 일본식 전체주의적인 공동체 의식 함양 이런 의미가 있었을것 같긴 하구요.
억지로 응원시키고 레크레이션 하는건 저도 극혐이긴 했는데

이건 좀 다른 얘기긴 하지만 운동회 같은데서 주로 나가서 뛰던 입장에서는
의외로(?) 응원이 경기력에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보통은 반대표로 나가서 뛰는 애들이 잘 했으면 하지 않나요?
같은 반 애들이 니가 잘하던 말던 뭐 이런 생각이라면
선수 입장에서 좀 슬플거 같은데...
쉽지않다
21/05/18 17:13
수정 아이콘
우리반 친구 나가서 고생하는데 힘내라 한마디 안나오면 의미는 없죠
Nasty breaking B
21/05/18 17:29
수정 아이콘
같은 반 친구들이 뛰고 있으면 응원해주는 것 정돈 충분히 의미가 있죠. 그룹 내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구요.
탄산맨
21/05/18 18:12
수정 아이콘
운동 잘해서 운동회에 선수로 참여하는 친구들 외에도, 운동능력이 떨어져서 선수로는 출전 안하는 친구들한테도 운동회가 의미있어야 하니까요.
선수로 출전한다고 하더라도, 매 경기에 나서는게 아닌 이상 하루종일 진행하는 운동회에서 자기 출전경기 아니면 관심이 없을수도 있는거니,
출전 안하는 친구들은 응원하면서 같이 운동회를 즐기는 느낌 아닐까요?
21/05/18 18:37
수정 아이콘
같은 반 = 같은 팀 이런 구도라고 봐야죠. 팀대항전이라 생각하면 응원하는 재미도 찾을 수 있고, 뛰는 사람도 응원하는 사람들 있으면 재밌어요. 중간중간 음료수도 주고, 끝나고 밥도 먹고.
근데 억지로 나와있는 사람들만 있다면, 없는 게 낫겠죠.
어렸을 때는 하기싫은 단체활동도 막상 하면 재밌더라구요.
미카엘
21/05/18 19:22
수정 아이콘
여러 종목 자주 뛰던 입장에서는 도움이 됩니다. 반이나 이름 연호해 주면 자신감과 의지 버프가 걸리더군요.
21/05/18 20:06
수정 아이콘
프로선수들도 응원을 들으면 힘이나고 경기력도 좋아진다고 하는데.. 하물며 아마추어는 더 하겠죠.
떡국떡
21/05/18 20:38
수정 아이콘
응원이 경기뛰는 친구들에게 도움이 된다
출전안하는 친구들에게도 운동회에 참여할 기회를 준다
함께하는 경험을 준다
등등 이군요
댓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6323 [질문] 주린이 미국 ETF 질문입니다(VOO vs SPYD) [8] slipzealot12530 21/06/30 12530
156296 [질문] 건강,수명) 책이름을 알고싶습니다. 문문문무8650 21/06/29 8650
156216 [질문] 경제 기사 질문드립니다 [3] 쁘띠도원13081 21/06/25 13081
156162 [질문] 혹시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모으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4] 부처8729 21/06/23 8729
156114 [질문] 애플워치 관련 질문입니다. [3] Orient7103 21/06/21 7103
155959 [질문] 미국 대학에서 학습용으로 사용할 노트북 LTE 기능이 꼭 필요할까요? [3] ipa8099 21/06/15 8099
155927 [질문] 한국은 아직 임산부 백신 접종 계획은 없는 것이죠? [1] LG의심장박용택7126 21/06/14 7126
155864 [질문] 노년층 얀센은 부작용 어떤가요? [2] LG의심장박용택5805 21/06/12 5805
155860 [질문] 현재 한국 거주 20대 후반 남성은 백신을 맞을 기회가 따로 없을까요 ? [7] -Aka7070 21/06/11 7070
155812 [질문] 자녀 주식 투자 방법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9] 기억의습작8866 21/06/10 8866
155783 [질문] 얀센 접종 후 음주문제 [2] longtimenosee6790 21/06/09 6790
155769 [질문] 코인도 가짜거래소가 있을까요? [12] 이라세오날10903 21/06/09 10903
155650 [질문] 60대 어머님 백신 관련 질문입니다. [6] LG의심장박용택9501 21/06/04 9501
155608 [질문] 아이패드10.5인치와 11인치 화면 크기 체감 클까요? [3] 맛있는새우6773 21/06/02 6773
155584 [질문] 백신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질문합니다. [11] 보아남편8293 21/06/01 8293
155376 [질문] 혹시 개인 스토리지 사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4] 김유라7031 21/05/24 7031
155271 [질문] 연금저축 ETF 구입 가능한 증권사 추천 요청 [4] MelOng8876 21/05/21 8876
155205 [질문] 운동회에서 응원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18] 떡국떡8634 21/05/18 8634
155198 [질문] 비상장 미국 주식회사 재무제표 보는 곳 아시나요? [5] Vertigo11555 21/05/18 11555
155157 [질문] 한국,일본,대만 같이 방역 잘된나라들이 집단면역에 더 불리한게 사실인가요? [15] 여기9397 21/05/16 9397
155150 [질문] 주린이가 미국s&p500 etf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4] 오우거7586 21/05/16 7586
155076 [질문] [주식] 코스피도 계속 폭락할까요? [13] 탈리스만11839 21/05/13 11839
154841 [질문] 아이패드 에어3에서 프로5세대(12.9인치)로 갈아타도 될까요? [12] 맛있는새우6659 21/05/03 66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