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3 01:50:37
Name Salmon
Subject [질문] 한국에도 실무진중에 연봉 1억이상 있을까요?
"사"짜 직업이나 임원급 제외하고
순수하게 실무진급중에 연봉 1억 있을까요? 보너스는 제외하구여

미국에서 아마존 시니어 엔지니어였나? 여기분들은 연봉이 2억 3억씩이라고 들었는데
우리나라도 실무진중 억대 연봉이 있나 해서 여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르피온
21/03/13 01:53
수정 아이콘
많쥬....
21/03/13 02:00
수정 아이콘
많은정도에요?
쿼터파운더치즈
21/03/13 01:54
수정 아이콘
금융권에 생각이상으로 많이 있습니다
21/03/13 02:00
수정 아이콘
역시 금융...
덴드로븀
21/03/13 01:57
수정 아이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09/2020120902450.html
그냥 이걸로 간단하게 정리됩니다.
임원을 뺀 [직원] 평균연봉이고, 평균이 저정도 나오려면 상위에 1억이상이 상당히 존재해야 가능하겠죠.
21/03/13 01:59
수정 아이콘
은행권은 평균이 9천도 있는거 보면 1억이 아니라 2억도 있을수있겠네요 덜덜...
친절겸손미소
21/03/14 13:11
수정 아이콘
이거 성과급 제외일까요??
덴드로븀
21/03/14 13:59
수정 아이콘
연봉이니까 저런건 성과급 제외죠.
21/03/13 01:58
수정 아이콘
엄청 많습니다
21/03/13 01:59
수정 아이콘
많다고 할수있을정도로 찾기 쉬운가요?
21/03/13 02:06
수정 아이콘
대부분 페이가 세다고 하는 업체들 세우면 실무진에서 억단위 찍는 직원들 많을 겁니다.

게임업계만 해도 넥슨, NC에서 이번 연봉상승으로 제또래 친구들 억단위 찍을 것 같단 얘기를 하더라고요
21/03/13 02:09
수정 아이콘
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알려진 게임업계에도 억단위가 계시군요 덜덜...
간손미
21/03/13 08:52
수정 아이콘
게임업계가 열악한건 근무 시간 측면인거지 페이는...
핸드레이크
21/03/13 02:06
수정 아이콘
제 친구가 네이버 과장인데 케바케겠지만 1억정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21/03/13 02:10
수정 아이콘
와 부장급도 아니고 과장에 1억이면 그 위론 가늠이 안되네요
人在江湖身不由己
21/03/13 02:13
수정 아이콘
1억을 (내가) 어떻게 하면 받는게 목적인지, 1억을 (나는) 왜 못 받는게 억울한지, 1억을 (그냥) 누가 받는지 궁금한지에 따라서 답이 다르지 않을까요...
21/03/13 02:29
수정 아이콘
아뇨아뇨 "존재"가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21/03/13 02:19
수정 아이콘
금융뿐만이 아니라, IT 쪽에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 주변에도 이제 개발자 경력이 대충 20년 가까이 된 분들이다보니,
1억 이상 or 1억에 근접하는 연봉의 분들이 제법 계세요.
21/03/13 02:29
수정 아이콘
치킨집은 옛말인가보네요 대우가 상당히 좋군요
21/03/13 02:38
수정 아이콘
아뇨. 20년이 넘도록 현업에서 그만한 실력을 쌓은 분들인거죠.
20년 일했다고 아무나 1억이 되는 건 아닙니다 ^^;
21/03/13 02:44
수정 아이콘
존경스럽네요 덜덜
깃털달린뱀
21/03/13 02:32
수정 아이콘
금융권이 돈을 진짜 많이 벌어요. 은행도 금융권 내에선 페이가 짠 편이라 하더라고요.
21/03/13 02:43
수정 아이콘
그 이상이면 사모펀드 같은데려나요... 세상은 넓군요
타츠야
21/03/13 02:32
수정 아이콘
제가 한국 인텔에서 근무할 때 보너스 포함해서 연간 1억 넘었었습니다. 이직해서 가긴 했습니다만 경력 13년차일 때였고, 보너스도 어렵지 않게 달성 가능한 수준이었고. 그것과 별개로 2년차부터 회사 주식 스톡옵션으로 받았었구요.
21/03/13 02:44
수정 아이콘
와 존경스럽습니다...
21/03/13 02: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21/03/13 02:44
수정 아이콘
2년차 1억이라니 와 미쳤다라는 말이 절로 나오네요
21/03/13 03:05
수정 아이콘
예전보다 인플레가 많이 진행되서 이젠 1억이 생각보단 큰 급여가 아닙니다
(당장 물가부터 2배 이상 올랐으니...)

대기업이나 전문직 가면 1억대 은근 많이 보이죠
21/03/13 03:23
수정 아이콘
서른 후반 나이고 제 나이 또래에서 주변에 인센제외한 순수 연봉으로 억넘는 친구는 셋정도 있는 것 같고,

그냥 수입이 1년에 1억넘게 버는 사람은 그보다 훨씬 많습니다. (주변에 전문직 개인사업자들이 많아서 대다수가 그사람들 이긴 합니다만 인센포함 연봉1억이상 직장인들도 꽤 있습니다.)
우리고장해남
21/03/13 05:43
수정 아이콘
연봉 1억 실수령액표 보니깐 642만원이네요.
제가 세후 650 버는데 주변에 다 기관사,항해사라서 여기선 제가 월급이 적네요. 여기서 제일 많이 받는 사람은 1200정도 돼요. 선장님이 그정도 되겠네요
오일관련 회사나, 조선소 일할 때 선주감독관, 메이저 서비스엔지니어들은 세후1억 이상 버는 사람들이 많아서 주변 영향인지 몰라도 누가 세전 월500 번다고 하면 많이 번다고 느껴지지도 않네요.
21/03/13 07:17
수정 아이콘
30살 5년차인데 영끌 9천정도 됩니다. 저희는 성과급이 많지 않아서 항상 일정하고.. 한 3년 있으면 1억 넘겠네요
Rumpelschu
21/03/13 07:51
수정 아이콘
S전자 직원도 억소리나는분들 많습니다 임원 말고요
Deus ex machina
21/03/13 08:11
수정 아이콘
사모펀드 3년차면 1억 나오죠.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0082127871

그 외에, 전략컨설팅, IBD 쪽엔 드글드글...
뒹구르르
21/03/13 08:37
수정 아이콘
전문직, 특정 금융 관련, IT업계는 말할 것도 없고
업계 무관하게 이름 알려진 대기업 그룹사 정도만 되도
과장급 넘어가면 드글드글합니다 흐흐
간손미
21/03/13 08:54
수정 아이콘
전문성이 있는 곳이면 많이 넘습니다
뭐 당장 구체적으로 생각나는 것만 해도 탑급 컨설팅 회사만 해도 사이닝 보너스 포함하면 1년차부터 7천~8천 수준에서 시작이니까요.
거기에 인상률 생각하면 뭐...
21/03/13 09:15
수정 아이콘
요즘 물가에는 많죠
훌게이
21/03/13 09:22
수정 아이콘
일반 제조업도 차장, 부장 원천 1억 넘는 곳은 흔합니다.
21/03/13 09:39
수정 아이콘
몇년 전(4~5년 전쯤?)에 여의도였나 광화문이었나 금융권 투자 회사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외근 갔을 때 벽에 붙어 있던 대자보가 생각나네요. 사원들이 회사측을 성토하는 내용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무슨 내용이었냐면.. 회사에서는 복지 잘해준다고 생색내는데 잘해주는거 아니다. 이쪽 업계 평균 연봉은 다 1억이 넘는다. 연봉 1억 가지고 생색내지 마라, 업무 강도에 비하면 결코 높은 연봉이 아니다. 직원들이 자꾸 경쟁회사로 이직하게 다 이유가 있다 개선해라. 뭐 그런 내용을 봤던게 기억이 나네요.
21/03/13 0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타트업 c레벨되면 많습니다
시리즈 a 펀딩부터?
다만 안정적이냐가 문제 ㅠㅠ
21/03/13 10:05
수정 아이콘
증권사 세일즈쪽은 진짜 발에 채일정도로 많습니다
다이어트
21/03/13 10:08
수정 아이콘
요즘 게임업계 연봉 올리기 전에도 연봉 세전 1억 이상 찍히는 분들은 실마다 몇분 있었죠
21/03/13 10:57
수정 아이콘
IT 업계도 연봉 1억 이상이 꽤 많죠..
avatar2004
21/03/13 11:13
수정 아이콘
근데 보너스(성과급), 야근수당 이런거 제외하고 (이게 아무리 왠만하면 받을수 있는 상황이라도요) 순수 계약 연봉만 얘기해야죠..그래도 뭐 많긴 하겠습니다만 지금 대부분은 다 포함해서 얘기하는듯하네요..
슈퍼디럭스피자
21/03/13 14:36
수정 아이콘
그게 어쩔수 없는게 금융권 보면 보통 실무진 베이스는 몇천밖에 안해요. 특히 세일즈쪽은 보너스가 베이스의 100% 넘는 경우가 수두룩하니.
Scavenging Hyena
21/03/13 15:46
수정 아이콘
그럼 공무원은 기본급만 얘기하나요? 수당이 반인데?
그냥 원천징수 찍히는 세전 연간총급여로 얘기하는게 제일 정확합니다.
avatar2004
21/03/13 16: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원글 쓴 분 가정이 보너스 제외라고 하잖아요.. 애초에 질문이 그건데.. 수당같은걸 보너스에 넣어야 할런지는 좀 애매합니다만 야근 수당도 안하면 못하는거고 무슨 지역수당 이런거는 무조건 나오는거니까 들어가야 하겠고요. 위에서 많이 언급되는 삼성전자의 경우에 최소한 삼성전자의 PS PI는 그동안 거의 받아오긴했지만 그래도 그거는 보너스가 명백한거죠
StayAway
21/03/13 11:13
수정 아이콘
현장직 기준 10년 전에도 있었습니다. 지금이야 뭐.. 물론 많지는 않구요.
이교도약제사
21/03/13 11:20
수정 아이콘
특정 준거집단 기준으로 주변에서 찾아보면 은근히 많이 나오고.
나라 전체로 보면 소수죠;;;
스카야
21/03/13 12:23
수정 아이콘
부럽당
This-Plus
21/03/13 12:57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머도 있고 디자이너도 있고 상위엔 꽤 있죠.
21/03/13 13:25
수정 아이콘
요즘 세후도 아니고 그냥 연봉1억은 그렇게 엄청 잘버는것도 아니라 생각보다 많을겁니다
-PgR-매니아
21/03/13 14:26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들어왔다가 댓글보고 시무룩해져서 나갑니다~ㅠ
Scavenging Hyena
21/03/13 15:42
수정 아이콘
대기업들 급여 좋은데 많아요. 삼성전자 평균연봉이 1억입니다.
서울집값이 괜히 비싼게 아니에요.
21/03/13 16:06
수정 아이콘
당장 엔씨/네이버/카카오 신입 초봉이 5-6천인데 당연히 1억 넘는 사람 아예 없진 않은데.. 또 그렇다고 생각보다 많진 않습니다..

그리고 실리콘벨리 연봉 중위값은 23만불로 알고 있습니다..
21/03/13 16:21
수정 아이콘
그냥 연봉이라도 실수령은 600근처고, 많이 계세요.
공인중개사
21/03/13 17:26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 강남3구인구가 3%쯤 되니까, 대한민국에서 강남사는 사람 비율만큼 연봉 1억이 있다고 볼 수 있겠죠? 사짜 제하면 강남구 정도 되지 않을까요. 사는 위치에 따라 많다면 한없이 많고, 적다면 한없이 적죠.
21/03/13 22:47
수정 아이콘
정유나 화학쪽 생산직 다녀도 15년 정도 넘으면 1억 찍어요
미치지 않는이상 짤릴일도 없고...
21/03/13 23:21
수정 아이콘
실제 들은 말 중에 "과장 연봉이 1억이 안 돼요?" 가 있어서..
사당보다먼
21/03/13 23:51
수정 아이콘
금융권이 은행, 증권만 알려져서 그렇지 카드, 보험사도 은근 많이 받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841 [질문] 아이패드 에어3에서 프로5세대(12.9인치)로 갈아타도 될까요? [12] 맛있는새우6663 21/05/03 6663
154838 [질문] 미국이 강대국이 된 원인을 분석해놓은 글이 있을까요? [3] 아웅이6263 21/05/03 6263
154737 [질문] 주린이 etf질문입니다. [3] Fysta8469 21/04/29 8469
154704 [질문] 주린이 질문 하나 드립니다(ETF에 대해서) [3] 난할수있다9749 21/04/27 9749
154665 [질문] 노트북 직구시 주의할점 [6] 라니안7468 21/04/26 7468
154538 [질문] 해외출장 조건 이직 조언구합니다. [11] K57470 21/04/20 7470
154495 [질문] 미국의 양적완화는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7] 6775 21/04/19 6775
154494 [질문] 미국에 있는 친구에게 기프티콘 등 선물이 가능할까요? [4] StondColdSaidSo7819 21/04/19 7819
154254 [질문]  텐센트 주식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2] Alynna6194 21/04/10 6194
154219 [질문] 대만해협 분쟁&미중전쟁 발발 시 개미투자자가 해야 할 일이 뭘까요? [8] 2021반드시합격6990 21/04/08 6990
154141 [질문] 미국 주식 증권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기억의습작6542 21/04/05 6542
154139 [질문] 박수홍 폭로관련 궁금한점 [9] 알마7151 21/04/05 7151
154041 [질문] [슬램덩크]질문드립니다. [5] 흥선대원군6526 21/04/01 6526
153994 [질문] 영어 네이티브분들 궁금한게 있습니다! [11] backtoback7392 21/03/30 7392
153914 [질문] 모든 사람들이 지금 기억을 가지고 20년전으로 돌아간다면? [10] Bard35676265 21/03/28 6265
153907 [삭제예정] 우리나라는 왜 성인에게도 ya동을 허용하지 않는걸까요? [43] AaronJudge998994 21/03/27 8994
153846 [질문] 욕 관련 감정변화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7] 날아가고 싶어.5526 21/03/25 5526
153766 [질문] 혹시 오늘 날짜로 일어난 굵직한 세계사 사건을 조회하게 해주는 사이트 있을까요? [4] 옥동이5362 21/03/22 5362
153743 [질문] 북미와 유럽 국가들의 음악 문화가 제각기 다른가요,,,?? [7] 해피새우7024 21/03/21 7024
153559 [질문] 다음 행위가 혹시 인종비하로 볼 수 있는 행위일까요??(오타만 수정했습니다 내용 동일) [5] Rei_Mage6146 21/03/14 6146
153541 [질문] 한국에도 실무진중에 연봉 1억이상 있을까요? [59] Salmon10409 21/03/13 10409
153452 [질문] 미국편에 붙어야 한다는 분들께 질문 있습니다 [78] 실제상황입니다9765 21/03/10 9765
153392 [질문] 미국 연수 때 받은 j1비자의 ssn을 만료 후 사용해도 되나요? [6] Jean Coq de Raltigue6704 21/03/07 67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