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18 08:02:04
Name 헛스윙어
Subject [질문] 혹시 일본 오래 사셨거나 거주 오래 하신분들 있으실 까요?
일본은 복수국적을 인정 안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미국, 캐나다나 영국 시민권을 획득할 경우 일본 국적을 포기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외국에 사는 일본인이 일본국적을 상실 할 경우 어떤 불편함이 있을까요?

예를들어, 한국인경우는 남자는 군대문제가 있겠고, 경험상 상속할때도 복잡했는데 그 외에 방문은 별로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이것 처럼 일본인 입장에서 일본 국적을 잃었을때 현실적으로 어떤 불편한점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1/02/18 08: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거야 일본국적을 포기하면서 취득하게 되는 해당 국가 제도에 따르지 않을까요?
어느 나라건 간에 상대방이 '일본사람'이라서 적용제외가 됐던게 아니라 그냥 외국국적이니까 적용제외됐던 것을 이제 자국민이 되면서 적용하는 것일 테니...
헛스윙어
21/02/18 08:51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설명을 자세히 안한것 같은데,
외국거주 일본인이 일본국적을 상실했을때, 일본에서 불편한 점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예를들어 한국인같은경우는 은행일 하는것도, 심지어 네이버 아이디 만드는것도 너무 힘들어서... 그런게 있나 싶어서요.
요한슨
21/02/18 09:13
수정 아이콘
뭐 일본도 한국이랑 비슷하게 주민등록번호같은 주민번호 있으니까 그거 말소되지 않을까요?이제는 일본인이 아니니까 외국인용 주민번호로 새로 발급받아야될테고

국적포기한 순간 당연히 기존 국가에서 누리던 인프라를 그대로 적용하는데 애로사항이 생기는건 일본이 아니더라도 똑같을거 같은데요.
츠라빈스카야
21/02/18 09:39
수정 아이콘
그 번호 받은 사람이 (외국인 포함) 전국민의 20퍼센트정도밖에 안되는게 함정...국적상실이나 외국인의 국적취득하고는 상관없이 받은 번호는 계속 유지된다는군요.
다만 코로나때문에 통합관리 필요성이 대두되는데도 보급이 지지부진하다고..
HA클러스터
21/02/18 09: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충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면,
일본국적이 아니게 되면 일본은행에서 새로 구좌만드는데 애로사항이 생깁니다. 휴대폰도 만들기 어렵고요. 외국인일 경우 정당한 체류 자격을 가지고 일본에 거주하면서 은행구좌가 있어야 휴대폰 만드는게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원래 일본인이였던 사람이 국적을 바꿔도 좀 생각이 있는 사람은 기존 은행구좌와 기존 휴대폰 번호를 쓰지 않더라도 계속 유지합니다. 국적바뀌었다고 가지고 있던걸 바로 뺃지는 않더군요. 다만 신용카드는 때마다 갱신해야 되고 은행도 휴무계좌는 없애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일본에 거주하지 않고 일본인 대리자도 없다면...
은행융자 받는데도 애로사항이 생깁니다. 특히 주택론같은건 일본국적이나 영주권자 아니면 절차가 복잡해지고 이자도 비싸집니다. 다만 불가능하지는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선거권/피선거권은 없어지고 공무원 및 국가기간직에 취업이 안됩니다.
일본에서 장기거주할 경우 때마다 비자를 수수료와 발품을 팔면서 꾸준히 갱신해야 되고 거류자격 문제(직업자유제한)가 있는데, 저같은 경우 과거 기술자격으로 입국해서 IT회사에 취업했었는데 회사에서 잘리면 3개월 이내에 동종업계에 재취업을 못할 경우 거류자격이 없어집니다. 어느정도 유도리는 있긴 한데 하필 회사 그만두는 시기가 비자 재발급시기와 겹치게 되면 갱신이 안되서 강제출국당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IT 지겹거나 전망이 않좋다고 다른 직업으로 바꿀 수도 없고요.
그밖에 내국인과 사소한 법적 문제라도 생기면 그게 다 흠집이 되서 다음 비자갱신시 불이익을 당하는 수가 있습니다. 즉 트러블 생길 것 같으면 상대편 책임이 더 크고 내 책임이 10%밖에 안된다고 해도 오히려 이쪽에서 주눅들어서 굽히고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거죠.
또한 남의 나라라서 조금이라도 밉보이면 바로 꺼져라는 말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 사회 시민으로서의 많은 권리가 거세됩니다. 그나라 국민이 아니니까요.
헛스윙어
21/02/18 09:5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220 [질문] 데스크탑 추천해주세요! [4] 위너스리그6358 21/02/28 6358
153190 [질문] [투자] 지수추종 상품 vs 개별종목 직접구매로 지수화 / 뭐가 더 이득일까요 [9] ace_creat5870 21/02/27 5870
153107 [질문] [주식] 삼성증권에서 나무증권 옮겨도 되나여? [4] 연애잘합니다7541 21/02/24 7541
152970 [질문] 혹시 일본 오래 사셨거나 거주 오래 하신분들 있으실 까요? [6] 헛스윙어6584 21/02/18 6584
152913 [질문] 경력직 지원 관련 질문 드립니다. [5] 무료통화6902 21/02/16 6902
152875 [질문] 상대과실 100% 폐차 사고 [11] 다록알9220 21/02/14 9220
152874 [질문] 운동 사이사이에 쉬는 시간 관련 질문입니다 [12] OrBef8056 21/02/14 8056
152856 [삭제예정] 미국주식 TQQQ/TMF 리밸런싱은 장미빛인가요? [51] 삭제됨8971 21/02/14 8971
152753 [질문] 미국에서 차량 구입 후 한국으로 가져오는것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6] Capt.Tim6198 21/02/09 6198
152729 [질문] 요즘 인천공항 출국장 분위기 어떤가요?? 코로나가 많이 위험할까요? [10] 하얀마녀5100 21/02/08 5100
152647 [질문] 미국 스포츠에서 아메리칸/내셔널이라는 분류는 어디서 온 걸까요? [10] 及時雨4756 21/02/05 4756
152632 [질문] Car T therapy 한국에서 받을 수 있나요? [2] 1123584600 21/02/04 4600
152586 [질문] 디즈니플러스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la에있을때5421 21/02/03 5421
152496 [질문] 텔루라이드 vs. GV80 [5] 쭈니5955 21/01/31 5955
152466 [질문] 6월에 미국을 가는데 혹시 백신 안 맞은 사람 입국 금지 할까요? [10] -Aka7431 21/01/29 7431
152381 [질문] 영국 흑인들은 어떤 영어를 쓰나요? [9] 인민 프로듀서5660 21/01/26 5660
152356 [질문] 신한은행 앱 잘 돌아가시나요? [5] 허세왕최예나4708 21/01/25 4708
152310 [질문] 한국 입국시 자가 격리 질문입니다 [13] OrBef6551 21/01/23 6551
152259 [질문] 미국 복권의 국내 구입이 가능한가요? [11] 설사왕6546 21/01/21 6546
152243 [질문] 미국 지수Etf 질문입니다. [10] 카서스6389 21/01/21 6389
152241 [질문] 미국 조달청 쇼핑사이트 질문 교자만두4309 21/01/21 4309
151968 [질문]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는 어떻게 들릴까요? [9] 시한부잉여8151 21/01/12 8151
151815 [질문] 영화 하나 찾습니다. 영재 꼬마가 주인공인 영화 같은데.. [6] 이쥴레이6101 21/01/07 61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