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4 21:35:00
Name Salmon
Subject [질문] 코로나 vs IMF. 둘중 어떤사건이 경제적으로 더 고통적이었을까요?
imf땐 너무 어려서 기억이 없는데 상당히 고생했다고 들었습니다.
코로나는 지금 보면 알수있다싶이 대학가, 관광지,번화가 상권 타격이 크죠.

대규모 정리해고의 IMF
서비스업, 대면상권 박살의 코로나



경제적 고통만 따졌을때 코로나 vs IMF 둘중 어디가 더 힘들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플라톤
20/12/24 21:41
수정 아이콘
뭐 당연히 한국 한정이야기일테니 IMF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 중에 한국 IMF 시기보다 큰 피해를 입은 곳은 있을 수도 있으려나..

만약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심각하게 위협할 정도로 보급된 상황이라 인간들이 러다이트 운동 시즌 2를 찍을랑 말랑하는 타이밍에 코로나가 터졌으면 코로나가 더 큰 경제적 고통을 줬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몇몇 가게에서 로봇이 음식 손님에게 전달하고 그런 걸 마케팅으로 이용하는 정도의 상황이라 다행이지 아니었으면 이 기회에 인간들 싹다 로봇으로 갈아치웠을 수도..
호랑이기운
20/12/24 21:44
수정 아이콘
단연코 imf아닐까요 국내 한정으론
마감은 지키자
20/12/24 21:44
수정 아이콘
코로나가 진행형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IMF 같습니다.
피쟐러
20/12/24 21:45
수정 아이콘
대기업 발 연쇄부도나야 그 규모가 비교가 될텐데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지금이 힘드니 비교할 수도 있겠다 싶네요
20/12/24 21:48
수정 아이콘
imf는 일단 전국민의 세계관 인생관이 완전붕괴한 역사적인 이벤트라...
단순 경제적으로만 봐도 대기업이 줄도산했고요.
지금 고통받는 분들께는 죄송하지만 아직은 비교불가라고 생각합니다.
Blooming
20/12/24 21:53
수정 아이콘
1998년 경제 성장률이 -5.5%, 2020년 추정 경제 성장률이 -1.1%입니다. IMF때가 더 힘들었다고 봐야죠.
백검유
20/12/24 21:54
수정 아이콘
imf 는 국가 경제구조 자체를 바꾼 사례라....
20/12/24 22:02
수정 아이콘
Imf죠 비교불과
해질녁주세요
20/12/24 22:07
수정 아이콘
imf죠. 젊은 시절 사장소리 안 들어본 사람없다는 말이 있죠.
요즘 나이드신 분들 중에 젊었을 때 사장소릴 들었는데 지금 못 듣는 사람 상당수가 IMF 때 망한 사람들입니다.
코로나는 힘들고 장사가 안 되지만 imf때는 대기업이고 영세자영업이고 한순간에 부도났어요.
주식으로 치면 코로나가 계속 하한가 맞는 거라면 imf 는 상장폐지급.
섹무새
20/12/24 22:10
수정 아이콘
거짓말 좀 보태서 imf 때문에 저희 집은 지금도 힘든 것 같습니다
죽력고
20/12/24 23:08
수정 아이콘
제가 죽는 날까지 imf 미만 잡일겁니다.
하우두유두
20/12/24 23:37
수정 아이콘
코로나로 아직 대량해고는 벌어지지 않았으니까요.
그때보다 사회 안전망도 갖추어졌고 전국민 돈 뿌리는것도 없었구요.
20/12/24 23:59
수정 아이콘
imf
20/12/25 01:14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는 코로나에도 굳건한 분들이 많죠.
도라곤타이가
20/12/25 08:28
수정 아이콘
imf.... 완전 imf죠....
20/12/25 10:44
수정 아이콘
그땐 한번도 경험해보지못한 상황에서 처음 맞은거라 방법을 몰랐죠. 나라가 망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IMF때 어떤 회사들이 부도났는지 생각해보면..코로나랑은 비교하기도 민망합니다.
다만 조정방어율같은걸로 따지면, 자영업자들이 느끼는건 별 차이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저는 IMF의 타격이 그나마 적었다고 생각하는지역에 살아서, 제 IMF때 생각하면 코로나랑 솔직히 느낌은 비슷하긴하네요.
20/12/25 11:05
수정 아이콘
IMF가 경제는 압도적이죠

코로나는 일상생활에 타격이 큰거지

코로나왔다고 재계서열 상위기업이 눈뜰때마다 부도나진 않았죠
20/12/25 11:25
수정 아이콘
IMF는 그 어린나이에도 나라가 망하는줄 알았어요.
레필리아
20/12/25 11:49
수정 아이콘
비교가 안되죠.. imf는 극복 이후로 우리나라 전반적 사회문화가 달라졌습니다..
20/12/25 12:11
수정 아이콘
이건 비교불가에요.
-안군-
20/12/25 13:36
수정 아이콘
IMF랑 비교하려면, 예를들어 롯데, 한진, 두산... 급의 재벌그룹이 한두개정도 파산을 하고, 중견그룹은 말할것도 없고,
지하철역에 양복입은 노숙자들이 들끓고, 멀쩡하게 대기업에 잘 다니던 4~50대 가장들이 명예퇴직을 당하고, 은행들이 파산하고,
원달러 환율은 1600원대를 찍고, 코스피 지수가 800까지 떨어지며, 기준금리가 10%에 육박해야 하죠.

현재 코로나는 자영업자들이 무척 힘들어진 상황은 맞는데, 그 상황과 비교할 바는 아닙니다.
네오크로우
20/12/25 17:22
수정 아이콘
하루 아침에 회사가 아예 문을 닫은 곳이 수두룩했고, 그나마 안 닫은 곳들은 정리해고로 실업자가 넘쳐났던 imf가 압도적이죠.
뭐 그렇다고 지금 코로나가 만만한 건 아니죠,
신류진
20/12/26 13:03
수정 아이콘
IMF는 생존의 재앙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508 [질문] 배달기사와 트러블 발생시 대처법?? [19] neogeese6328 20/12/27 6328
151507 [질문] 엘지 그램 2021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5] BlueSKY--6212 20/12/27 6212
151506 [질문] 로스트 아크 현질 질문입니다. [4] 네오크로우5788 20/12/27 5788
151505 [질문] 코시국이긴 한데.. 방어낚시가 해보고싶어요 살려는드림4698 20/12/27 4698
151503 [질문] 아시아나항공의 대체재로 이용하기 좋은 항공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쓸때없이힘만듬5657 20/12/27 5657
151502 [질문] 코로나 종식되면 영화관은 이전처럼 다시 붐빌까요? [20] Healing6288 20/12/27 6288
151501 [질문] 카페의 매니저 직책에 대해 아시거나 해보신분 계신가요? [3] 삭제됨5412 20/12/27 5412
151500 [질문] 코로나 진정되고 난 뒤에도 당분간 해외여행은 바가지 엄청나게 심할까요? [8] 신불해7192 20/12/27 7192
151499 [질문] 보건소 코로나 검체 채취검사 장갑 1회용일까요? [5] 귀여운호랑이7665 20/12/27 7665
151498 [질문] 스위트홈 드라마랑 웹툰 원작 둘 다 보시분들 답변 좀...[스포주의] [8] 냠냠주세오7958 20/12/27 7958
151497 [질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같은 애니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니꽃6527 20/12/27 6527
151496 [질문] 어머니께서 키보드 쌍자음 치는걸 힘들어하시는데요 [11] 티타늄7089 20/12/27 7089
151495 [질문] 140만원대 조립피씨 문의드려요 [19] 뿜차네 집사8816 20/12/27 8816
151494 [질문] 한때 유행했던 인도 뮤직비디오를 찾습니다 [8] 웃음대법관6174 20/12/27 6174
151493 [질문] 조립pc 견적받았는데이거 조합 괜찮나용 [9] 의문의남자6444 20/12/27 6444
151491 [질문] 이 목공 도구 이름이 뭔가요? [8] ArcanumToss7685 20/12/26 7685
151489 [질문] 아이패드 연결해서 사용할 모니터 추천해주세요 ! [2] 캐로6315 20/12/26 6315
151488 [질문] 이정도 PC견적이면 이륙 가능할까요? [3] Skyfall6724 20/12/26 6724
151487 [질문] 양적고 맛있는 과자 추천해주세요 [20] StondColdSaidSo7686 20/12/26 7686
151486 [질문] 애들 재우고 연휴에 볼만한 영화 추천 드립니다. [11] 모나크모나크7944 20/12/26 7944
151485 [질문] 자동차보험 가입경력 인정 관련 궁금한 게 있습니다. [4] 퀴즈노스6415 20/12/26 6415
151484 [질문] 아기 있는 집 TV 보호기 어떤 것을 쓰시나요? [7] 세인트6513 20/12/26 6513
151483 [질문] 와우 어둠땅용 컴퓨터 견적 검토 요청드립니다. [3] 잘생김용현6891 20/12/26 68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